목차
▶ 들어가며.
1. 근대 이전의 독일
1.1 정치적 측면
1.2 종교적 측면
2. 사건을 중심으로 한 독일 통일 과정
2.1 1848년 3월 혁명 실패의 경험이 미친것들
2.2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2.3 보불 전쟁
2.4 독일 민족국가 형성에 대한 평가.
3. 독일에서의 민족 국가 형성과정에서 나타났던 현상들.
3.1 민족주의적 역사학 과정 프로이센에 대한 신성화 작업.
3.2 독일 민족 국가 형성과 독일 사회민주주의
4. 독일에서의 민족국가 형성 과정이 독일 민족주의에 미친 영향
5. 결론
1. 근대 이전의 독일
1.1 정치적 측면
1.2 종교적 측면
2. 사건을 중심으로 한 독일 통일 과정
2.1 1848년 3월 혁명 실패의 경험이 미친것들
2.2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2.3 보불 전쟁
2.4 독일 민족국가 형성에 대한 평가.
3. 독일에서의 민족 국가 형성과정에서 나타났던 현상들.
3.1 민족주의적 역사학 과정 프로이센에 대한 신성화 작업.
3.2 독일 민족 국가 형성과 독일 사회민주주의
4. 독일에서의 민족국가 형성 과정이 독일 민족주의에 미친 영향
5. 결론
본문내용
히-홀스타인 지역 갈등에서 비롯되었다. 독일 주민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던 슐레스비히, 솔스타인 지역은 덴마크의 지배 하에 있었는데, 덴마크 국왕의 사망으로 상속 갈등이 발생하자 독일 아우구스텐부르크의 프리드리히 공이 이 지역을 상속하고자 개입하였고 독일의 국민운동은 이 지역과 성공적으로 결집하였다. 국민운동의 열렬한 요구는 비스마르크가 군사적으로 개입하게 하였고, 프로이센 군대는 전쟁에서 승리하며 슐레스비히와 홀스타인이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의 통치 하에 올 수 있게 하였다. 이 지점에서 비스마르크는 오스트리아와 협력하려 하였고 가슈타인 협정을 통해 공통통치를 협약하였다. 곧바로 국민들은 들고 일어서서 슐레스비히, 홀스타인의 프로이센에 의한 합병을 요구하였는데 비스마르크는 이러한 국민적 열망을 위로부터의 국민혁명에 이용하기 위해 또다시 전쟁을 일으켰다. 보오전쟁(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이었다.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의 프로이센의 승리는 프로이센을 중심으로 하는 민족국가 형성을 결정지었고, 대독일 통일을 주장하는 자들에게도 프로이센에 의한 민족국가 형성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결과를 낳았다.
2.3 보불 전쟁
보불전쟁은 비스마르크가 새로운 국민운동을 일으키는 데 좋은 재료가 되었다. 이 전쟁은 본래 스페인의 국왕 선출 문제를 둘러싼 양국의 분쟁에서 비롯되었는데 비스마르크는 독일 국민이 통합하는데 이러한 위기를 역이용하였다. 양국의 분쟁 과정에서 비스마르크는 엠스 전보 사건(프로이센 주재 프랑스 대사와 프로이센 국왕은 ‘엠스’라는 곳에서 회담을 가졌는데 비스마르크는 회담내용을 고쳐서, 프로이센인들에게는 자국 국왕이 모욕을 당한 것처럼 보이게 하였고, 프랑스인들에게는 자국 대사가 봉변을 당한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을 언론에 터뜨렸고 양 국민을 격앙케 하여 프랑스가 선전포고하게 하는 데 성공하였다. 독일민족은 갑작스런 프랑스의 선전포고에 맞서 국민적인 방어공동체를 형성하였고, 이는 1813년의 나폴레옹 전쟁 때의 국민적 통합의 경험을 떠올리게 했으며 이 애국심은 국민국가형성의 완성을 위한 동력이 되었다. (외부로부터의 충격 -> 독일국민의 일체감)
그런데 보불전쟁을 마무리하며 비스마르크는 한 가지 실수를 하였다. 그는 프랑스의 알자스와 로렌 지방을 강제로 독일에 합병시켰던 것이다. 이것은 관련 주민들의 투표를 통한 것도 아니어서 프랑스의 국민적 복수감정을 불러일으켰다. 즉, 보불전쟁으로 인해 독일국민의 통합은 이루어냈으나 반대 급부로 프랑스의 반독일 감정도 만들어 냈던 것이다. 사족이지만 두 나라의 민족적 앙금은 결과적으로 1차 세계대전의 불씨를 놓은 셈이 되었다. 독일은 프랑스의 보복전쟁의 위험에 노출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독오이 삼국동맹을 맺어야 했고, 프랑스는 독일의 예방전쟁을 방지하기 위해 러프 동맹, 삼국협상으로 맞서야만 했던 것이다.
2.4 독일 민족국가 형성에 대한 평가.
1) 소독일 적인 자기 제한
2) 군주들의 연방 - 인민주권의 기본 원칙 실현 없음
3) 제국 국민은 정치적 의지 공동체 형성 과정이 없었음, 지역-계급대립을 통한 분열된 국민
3. 독일에서의 민족 국가 형성과정에서 나타났던 현상들.
3.1 민족주의적 역사학 과정 프로이센에 대한 신성화 작업.
1871년 독일 통일 전까지 수많은 연방 국가로 나뉘어 있던 독일의 경우 민족주의적 역사학의 경향은 어떤 다른 서구의 나라들 보다 강하였다. 소위 프로이센 학파의 역사가들은 역사서술을 민족의 자서전을 쓰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는 한편, 역사의 목표를 프로이센이 주도 하는 독일 통일 과업의 완수로 설정하였다. 프로이센 학파의 역사가들이 일반적으로 지향하는 독일 통일 방식은 오스트리아를 통일 민족국가에서 배제하는 소독일주의였다. 프로이센 학파의 한명인 드로이젠은 실제 역사서술을 통해서 ‘프로이센주의적 역사신화’를 정당화 하고자 했다. 그는 “헬레니즘의 역사‘에서 ’헬레니즘‘이라는 새로운 시대개념을 만들어 냄으로써 그때까지 암흑기로 알려졌던 시대에 새로운 역사적 의미를 부여했다. 그에 따르면, 헬레니즘 시대는 그리스 문화의 쇠퇴와 더불어 일어났던 혼란의 시대가 아니라, 알렉산더 대왕의 정복을 통해서 그리스 문화가 동방으로 전파 될 수 있었던 시대이다. 그런데 드로이젠이 그리스의 폴리스가 아니라 마케도니아 군국주의적 왕정에서 그리스 ’민족성‘의 구원성을 찾았던 이유는, 헬레니즘 시대의 역사를 당시 독일 상황에 견주고자 했기 때문이다. 그는 프로이센의 역사적 사명을 부각 시킬 목적으로 헬레니즘의 역사를
2.3 보불 전쟁
보불전쟁은 비스마르크가 새로운 국민운동을 일으키는 데 좋은 재료가 되었다. 이 전쟁은 본래 스페인의 국왕 선출 문제를 둘러싼 양국의 분쟁에서 비롯되었는데 비스마르크는 독일 국민이 통합하는데 이러한 위기를 역이용하였다. 양국의 분쟁 과정에서 비스마르크는 엠스 전보 사건(프로이센 주재 프랑스 대사와 프로이센 국왕은 ‘엠스’라는 곳에서 회담을 가졌는데 비스마르크는 회담내용을 고쳐서, 프로이센인들에게는 자국 국왕이 모욕을 당한 것처럼 보이게 하였고, 프랑스인들에게는 자국 대사가 봉변을 당한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을 언론에 터뜨렸고 양 국민을 격앙케 하여 프랑스가 선전포고하게 하는 데 성공하였다. 독일민족은 갑작스런 프랑스의 선전포고에 맞서 국민적인 방어공동체를 형성하였고, 이는 1813년의 나폴레옹 전쟁 때의 국민적 통합의 경험을 떠올리게 했으며 이 애국심은 국민국가형성의 완성을 위한 동력이 되었다. (외부로부터의 충격 -> 독일국민의 일체감)
그런데 보불전쟁을 마무리하며 비스마르크는 한 가지 실수를 하였다. 그는 프랑스의 알자스와 로렌 지방을 강제로 독일에 합병시켰던 것이다. 이것은 관련 주민들의 투표를 통한 것도 아니어서 프랑스의 국민적 복수감정을 불러일으켰다. 즉, 보불전쟁으로 인해 독일국민의 통합은 이루어냈으나 반대 급부로 프랑스의 반독일 감정도 만들어 냈던 것이다. 사족이지만 두 나라의 민족적 앙금은 결과적으로 1차 세계대전의 불씨를 놓은 셈이 되었다. 독일은 프랑스의 보복전쟁의 위험에 노출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독오이 삼국동맹을 맺어야 했고, 프랑스는 독일의 예방전쟁을 방지하기 위해 러프 동맹, 삼국협상으로 맞서야만 했던 것이다.
2.4 독일 민족국가 형성에 대한 평가.
1) 소독일 적인 자기 제한
2) 군주들의 연방 - 인민주권의 기본 원칙 실현 없음
3) 제국 국민은 정치적 의지 공동체 형성 과정이 없었음, 지역-계급대립을 통한 분열된 국민
3. 독일에서의 민족 국가 형성과정에서 나타났던 현상들.
3.1 민족주의적 역사학 과정 프로이센에 대한 신성화 작업.
1871년 독일 통일 전까지 수많은 연방 국가로 나뉘어 있던 독일의 경우 민족주의적 역사학의 경향은 어떤 다른 서구의 나라들 보다 강하였다. 소위 프로이센 학파의 역사가들은 역사서술을 민족의 자서전을 쓰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는 한편, 역사의 목표를 프로이센이 주도 하는 독일 통일 과업의 완수로 설정하였다. 프로이센 학파의 역사가들이 일반적으로 지향하는 독일 통일 방식은 오스트리아를 통일 민족국가에서 배제하는 소독일주의였다. 프로이센 학파의 한명인 드로이젠은 실제 역사서술을 통해서 ‘프로이센주의적 역사신화’를 정당화 하고자 했다. 그는 “헬레니즘의 역사‘에서 ’헬레니즘‘이라는 새로운 시대개념을 만들어 냄으로써 그때까지 암흑기로 알려졌던 시대에 새로운 역사적 의미를 부여했다. 그에 따르면, 헬레니즘 시대는 그리스 문화의 쇠퇴와 더불어 일어났던 혼란의 시대가 아니라, 알렉산더 대왕의 정복을 통해서 그리스 문화가 동방으로 전파 될 수 있었던 시대이다. 그런데 드로이젠이 그리스의 폴리스가 아니라 마케도니아 군국주의적 왕정에서 그리스 ’민족성‘의 구원성을 찾았던 이유는, 헬레니즘 시대의 역사를 당시 독일 상황에 견주고자 했기 때문이다. 그는 프로이센의 역사적 사명을 부각 시킬 목적으로 헬레니즘의 역사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