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대 불교 전래 및 수용시기 그리고 그 의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고대 불교 전래 및 수용시기 그리고 그 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고대국가의 불교 전래 및 수용시기
1. 고구려
2. 백제
3. 신라
4. 가야

Ⅲ. 고대국가의 불교문화
1. 유형적 불교문화
2. 무형적 불교문화
2.1 인간관의 변화
2.2. 국가관, 사회관의 변화

Ⅳ. 고대국가의 불교수용 의의

Ⅴ.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대국가의 틀을 닦는 삼국에게 전제왕권 강화의 이데올로기였다.
이기백(李基白)은 불교의 전래는 절대적인 왕권을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적 고대국가형성의 관념 형태적 표현으로서 불교는 중앙집권적 국가에서 왕권을 옹호하고 신장시키는 구실을 담당했다고 주장한다. 이기백, 「삼국시대 불교수용과 그 사회적 성격」,『역사학보』6, 1954, p.203.
고구려의 경우를 보면 불교를 공인한 소수림왕대에는 최초로 태학이 설립되고 율령이 반포되어 관료체제의 강화를 위한 율령 관료층의 확보와 공법체계의 확립에 따른 새로운 지배질서의 창출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었던 시기로 불교의 공인도 이에 일조를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잦은 전쟁으로 피폐해진 일반 민중들에게 정신적 귀의처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국가적인 공인하의 고구려불교는 고구려백제신라의 삼국이 대내외적으로 벌이고 있던 정복전쟁의 피해에 대한 정신적 귀의처로써의 역할을 재래 무격신앙에 이어 고등종교의 차원에서 담당하게 되었다. 따라서 고구려의 불교행사는 국가적으로 성행하였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광개토왕대에는 사찰은 잦은 전쟁에 따른 민생안정을 위한 신앙적인 기능이 강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찰 자체가 전략거점으로써 이용되기도 하였다. 또한 국가에서 사찰에 대하여 면세면역의 특권을 주는 대신 국가에 의한 통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는 데, 그것은 불교가 전래된 3년 후에 순도와 아도를 위해 세워진 성문사(省門寺)와 이불란사가 각각 흥국사와 흥복사로 그 명칭이 바뀌는 데서 알 수 있다. 김복순, 앞의책, pp.111~113.
셋째,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불교는 국가관과 사회관에 영향을 끼쳐 호국불교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특히 신라의 경우에는 영역을 점차로 확장해 나가는 과정속에서 불교는 자연 호국신앙의 경향을 지니지 않을 수 없게 되었고, 이것이 신라불교의 하나의 특색이 되었으며, 오래도록 후세에까지 한국불교사상의 커다란 흐름이 되었다. 미륵신앙을 통해서 신라를 이상적 불국정토로 만들며, 또한 전륜성왕과 같은 정치이념을 시행하도록 노력함으로써 정신적으로 신라 사람들을 하나의 커다란 이념 밑에 단결토록 하였다. 채인환, 「한국 초기불교의 성격과 사상」, 『한국불교사의 재조명』, 불교신문사 편, 불교시대사, 1994, pp.72~73.
넷째, 많은 유학승들의 해외진출로 우수한 문화를 전파하였다.
유학승들의 해외 진출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법을 구하기 위해서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법을 전하기 위해서였지만, 그 이면에는 대외적으로는 한민족의 자부심과 긍지를 선양하고, 대내적으로는 국가불교의 전통을 수립하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는 점에서 삼국 유학승들의 해외진출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장휘옥, 「삼국불교의 해외 진출과 그 의의」,『한국불교사의 재조명』, 불교신문사 편, 불교시대사, 1994, p.86.
다섯째, 앞에서 본 것과 같이 이렇다 할만한 문화가 확립되어 있지 못했던 당시 삼국의 사회에 불교가 전래되어 불교미술이 꽃을 피우게 되었다.
Ⅴ. 맺음말
이상으로 살펴본 것 같이 삼국시대에 불교가 전래 및 수용된 시기는 사서(史書)에서 불교가 공인된 시기로 인정되는 시기보다는 훨씬 이전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신라의 경우처럼 외국으로부터 불교가 전래된 것과 이것을 그 사회가 수용하는 것과 또한 국가가 이를 공인한 것과는 개념상으로도, 시기상으로도 차이가 있었다.
현재까지의 연구나 사료들로 판단하건데 불교가 이 땅에 최초로 전래된 시기는 고구려나 백제의 예에서 보았듯이 4세기 초, 중반쯤인 것 같다. 최초의 전래 후 그 사회에서 수용되는 과정에서 외래종교에 대한 배타적 분위기가 사라져 갈 때, 외국에서 온 고승이 크게 환영받고 왕실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국가적인 공인을 한 걸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리하여 각 국에 수용된 불교는 각 국의 토착신앙을 배제하지 않고 융화포섭하면서 전파되어 나갔다. 삼국은 모두 왕실을 중심으로 불교를 신봉하여 국가불교화하였으며, 민족문화의 급격한 발전을 가져왔다.
광개토왕 때 1년에 9개의 절을 세웠다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지만 현존 유구는 적지만 당시 불교예술이 각 국에서 크게 번창하였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불교의 전래로 삼국은 그 문화적 원시성에서 벗어나 문화적 개성을 확립시킬 수 있었고, 이는 곧 우리문화의 기틀을 형성하였다.
또한 부족국가시대에 비하여 크게 확대되고 복잡해진 고대국가의 발전 단계에서 야기되는 사회생활의 여러 문제들에 대하여 불교는 한 차원 높은 인간관과 사회관을 제시하고, 고대국가의 정신적 기반을 마련하여 준 것이다.
이처럼 불교는 한국에 전래되어 수용되면서 전 사회적인 변화와 발전을 일으키며 한국불교 특유의 사상과 문화를 만들었다. 결국 불교는 우리 나라 고대문화 발전의 선도였고, 그 토대였던 셈이다.
≪참 고 문 헌≫
1. 저서
교양교재편찬위원회, 『불교문화사』, 동국대학교출판부, 1989.
김복순, 『한국고대불교사연구』, 민족사, 2002.
김상현, 『한국불교사산책』, 우리출판사, 1995.
김영태, 『한국불교사개설』, 경서원, 1986.
신종원, 『신라초기불교사연구』, 민족사, 1992.
이기백이기동 공저, 『한국사강좌 1(고대편)』, 일조각, 1982.
가마타 시게오, 『한국불교사』, 민족사, 1988.
2. 논문
김영미, 「불교의 수용과 인간관의 변화」, 『역사비평』겨울호, 1993.
김영태, 「가락불교의 전래와 그 전개」,『불교학보』vol 27 , 1990.
남동신, 「한국 고대불교의 국가관사회관」, 『역사비평』겨울호, 1993.
박윤선, 「고구려의 불교수용」,『한국고대사연구』35, 2004.
이기백, 「삼국시대 불교수용과 그 사회적 성격」,『역사학보』6, 1954.
______, 「백제 불교 수용 연대의 검토」,『진단학보』71, 1991.
장휘옥, 「삼국불교의 해외 진출과 그 의의」,『한국불교사의 재조명』, 불교신문사 편, 불교시대사, 1994.
채인환, 「한국 초기불교의 성격과 사상」, 『한국불교사의 재조명』, 불교신문사 편, 불교시대사, 1994.
최광식, 「신라의 불교 전래, 수용 및 공인」, 『신라문화제학술발표회논문집』 Vol.12, 1991.
  • 가격2,9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7.19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93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