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빙과 음식문화(김용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웰빙과 음식문화(김용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다시 알게 되었다.
요즘 시대는 맛도 중요하지만 건강식품이 더 각광받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비싸고 희귀한 것만이 꼭 좋은것이 아니라 주위에서도 몸에 좋고 맛도 좋은 음식들을 찾을 수 있다.
한국 최고의 가게에 수록된 가게들에는 주위에서 쉽게 볼수 있는 영양만점의 재료들로 우리의 입맛을 돋아주는 것 같았다.
여름이라서 쉽게 지치기 일쑤였는데 전통의 맛을 고수하면서 영양도 겸비한 음식점을 알게 되어 기쁘고 꼭 한번 찾아가 봐야겠다.
3편
*동래할미파전*
싱싱한 제철 재료가 귀족의 별식이라 불리는 비결
“파의향기와 해물의 시원함이 어우러진 봄날의 맛, 봄은 만물이 소생하는 생명의 계절로 조선쪽파를 비롯해 파전에 들어가는 재료 역시 봄철에 맛이 가장 살아난다고 합니다.”
4대째 주인 김정희 씨의 말이다.
이젠 파전이 사계절 음식이 되었지만 원래는 봄철에 가장 맛이 있다. 조선쪽파는 삼짇날(음력3월3일)을 전후로 한창 물이 오르기 때문인데 나이든 손님일수록 봄철에 찾아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렇듯 동래파전은 새봄의 행기를 선사하는 계절음식 인 것이다.
동래파전은 그 재료와 만드는 과정만 보아도 여염집어선 쉽게 접하기 어려운 음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부산말로 ‘뛰뽀리’라고 부르는 멸치를 통째로 삶아 다시 국물을 우려낸다. 여기에 다시마, 무, 양파, 대파, 쪽파의 뿌리를 넣고 뭉근하게 끓인다. 주 재료인 조선쪽파는 자르지 않되 껍질은 모두 벗겨내고, 속대만 쓰는데 그래야 파가 연해지고 단 맛이 나오기 때문이다. 부재료로 들어가는 조갯살, 굴, 새우, 홍합등도 각종영양소가 풍부한 해물이다.
은은한 불로 미리 달궈놓은 번철에 찹쌀과 맵쌀을 섞어 만든 쌀가루 반죽을 한 국자 떠 놓고 양념한 쇠고기와 부재료를 골고루 얹는다. 살짝 익은 다음 그 위에 다시 반죽을 한 국자 붓고 뚜껑을 덮는다. 그래야 쌀가루가 제대로 익을 뿐 아니라 파의 향기가 날아가지 않고 골고루 스며들어 깊은 맛이 우러나온다고 한다. 번철에 두르는 기름은 제주의 유채 씨로 짜낸 채 용유를 쓴다, 부침개의 느끼한 맛을 죽여주기 때문이다. 파전을 부치는데 10분정도가 걸리는데 불의 세기를 조절하는데 신경을 써야 한다. 처음에는 센 불로 굽다가 뚜껑을 덮을 무렵에 약한 불로 낮춰 2분정도 뜸을 들인다.
파전을 찍어먹는 양념도 간장이 아니라 초고추장을 내놓는다. 해물의 풍미를 더욱 살리기 위해서이다. 부산 동래구 복천동 <동래할미파전>은 그런 방식으로 파전을 굽는다.
동래시장 동문입구에 있던 유명한 요릿집 진주관의 주 요리로 파전이 손님상에 오른 시기도 30년대 무렵이다. 부침개 하나를 해도 우리끼리 나눠먹는 것이 우리네 풍습이듯이<동래할미파전>도 그런 풍습이 계기가 되어 세상에 나왔다. 초창기에는 당연히 상호도 없었다. 시할머니 시절에 ‘제일식당’ 이라는 상호를 처음 내걸었고 1970년대 들어 <동래할미파전>으로 바꿨다. 당시 파전을 맛있게 부치는 집이 동래에서 세 곳뿐 이었는데 두 집이 문을 닫으면서 시할머니는 향토음식의 맥을 잊겠다는 생각에서 상호를 고친 것이다. 시어머니는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러운 방법으로 동래파전을 파는 일이 단순한 장사에 머물지 않고 전통음식문화를 지키는 의미가 있음을 깨닫도록 이끌어주셨다며 김 씨는 윗대 어른들의 넉넉한 마음과 정갈한 몸가짐이 <동래할미파전> 에 긴 생명력을 불어넣은 원천이라는 사실을 가슴깊이 새기고 있다.
*부여집*
한국의 음식문화 특성을 잘 살린 요리법
‘여름꼬리,겨울족’ 꼬리탕은 여름에 그리고 족탕은 겨울에 먹어야 제격이라는 우리 속담이다.
쇠꼬리는 생전에 쉴 틈이 없다. 들녘에 놓아먹이는 여름 한철에는 더욱 그런데 극성스럽게 몰려드는 쇠파리와 진드기 떼를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7.31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03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