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화기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2. 정부 주도의 교육 개혁
3. 민족 선각자들에 의한 교육 구국 운동
5. 개화기의 교육 사상가
6. 교육사적 의의
<<주권 상실기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2. 일제 식민지 교육 정책의 특징
3. 주권 회복을 위한 민족교육 운동
4. 교육사적 의의
<< 해방 후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2. 미군정기의 교육
3. 대한민국의 교육
4. 북한의 교육
5. 교육사적 의의
1. 시대적 배경
2. 정부 주도의 교육 개혁
3. 민족 선각자들에 의한 교육 구국 운동
5. 개화기의 교육 사상가
6. 교육사적 의의
<<주권 상실기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2. 일제 식민지 교육 정책의 특징
3. 주권 회복을 위한 민족교육 운동
4. 교육사적 의의
<< 해방 후의 교육>>
1. 시대적 배경
2. 미군정기의 교육
3. 대한민국의 교육
4. 북한의 교육
5. 교육사적 의의
본문내용
==> 한국 실정에 무지함과 동시에 정규 대학을 이수하지 못한 직업군인
해방 이후 영어를 중시하고 미국 유학을 한 사람에게 출세길이 열리게 된 것은 이들이 크리스챤으로 영어를 중시하고 잘 구사할 수 있는 한국인의 도움 필요했기 때문
최초의 한국이 협조자는 오천석 : 학무국에서 문교부 1947년 11월 오천석이 교육부장의 책임을 맡음.
한국교육위원회 조직 (1945년 9월 16일): 유억겸, 김성수, 백낙준, 김활란, 김성달, 현상윤, 최규동 등 7명 :실질적인 교육 문제 전반에 대한 심의와 결정을 하였고, 각 도의 교육행정 책임자의 인사문제도 다룸 =>교육 방침 결정: 일제 잔재의 불식, 평화와 질서의 유지, 생활의 실제에 적합한 지식 기능의 연마
1945년 학무국 산하에 교육계와 학계의 권위자 100명으로 조선교육심의회를 구성하고 이념, 제도, 행정, 초등교육, 중등교육, 직업교육, 사범교육, 고등교육, 교과서, 의학교육 등 10개의 분과위원회로 나누어 한국교육의 정초를 다지는 작업을 함.
홍익인간을 교육이념으로 채택 6-3-3-4제의 단선형 학제를 채택 종래의 3학기제를 폐지하고 1년을 2학기1946년 9월 의무교육을 실시하기로 함
조선어학회가 중심이 되어 초등용과 성인용 국어교과서를 편찬 당시 교과서 편찬에서 특기할 사실은 상용한자를 100자로 제한, 한글 전용과 가로쓰기를 원칙으로 채택 학무국에 성인교육과를 설치하여 전국적으로 국문 강습회 운동을 벌이는 한편 공민학교를 설치하여 학령을 초과한 아동을 수용하여 기초교육을 실시
그 결과 각급 학교의 수와 학생의 수도 놀라운 증가를 보임. 절대 부족인 교사 양성을 위하여 각 사범학교에 강습과 혹은 임시 초등교사 양성을 위해 부설, 중등교사 양성을 위하여 경성사범대학, 대구사범대학, 공주사범대학: 새로운 교육이념과 교수법을 전달하기 위한 교사 재교육을 위하여 각종 강습회도 적극 추진
2) 군정기의 새교육 운동
- 새교육은 곧 민주주의 교육이념과 미국식 진보주의 교육법
① 전통적 교육의 계급주의.차별주의를 배격
② 인간을 도구화하는 교육을 배격하고 사람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교육
③ 억압과 복종의 교육이 아니라 자유인의 교육이다.
④ 획일주의 교육을 거부하고 개인차를 인정하고 개성을 존중하는 교육이다
⑤ 과거의 문화유산을 전달하는 지식중심.서적중심의 교육을 배격하고,
생활중심의 교육, 즉 삶을 풍요롭게 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 교육과정으로는 아동중심 생활중심의 교육과정이어야 함.
- 공민 역사 지리 교과를 사회생활과로 통합, 단원중심, 활동중심의 교수법 보급
- 이런 운동은 각종 강습회와 잡지의 간행 등을 통하여 전개
- 우리교육을 이끌었던 인물들이 주로 1920-30년대의 진보주의 교육의 전성기에 미국에서 교육학을 공부한 인물들.
- 결과는 열악한 교육환경에서 진보주의 교육이 성과를 거두기에는 한계
- 지나친 과거에 대한 부정이 전통의 단절로 이어짐.
3) 대학의 설립과 국대안 파동
ㆍ1946년 8월 제정된 대학설치령 -- 당시 고등교육에 대한 요구
해방 이후 영어를 중시하고 미국 유학을 한 사람에게 출세길이 열리게 된 것은 이들이 크리스챤으로 영어를 중시하고 잘 구사할 수 있는 한국인의 도움 필요했기 때문
최초의 한국이 협조자는 오천석 : 학무국에서 문교부 1947년 11월 오천석이 교육부장의 책임을 맡음.
한국교육위원회 조직 (1945년 9월 16일): 유억겸, 김성수, 백낙준, 김활란, 김성달, 현상윤, 최규동 등 7명 :실질적인 교육 문제 전반에 대한 심의와 결정을 하였고, 각 도의 교육행정 책임자의 인사문제도 다룸 =>교육 방침 결정: 일제 잔재의 불식, 평화와 질서의 유지, 생활의 실제에 적합한 지식 기능의 연마
1945년 학무국 산하에 교육계와 학계의 권위자 100명으로 조선교육심의회를 구성하고 이념, 제도, 행정, 초등교육, 중등교육, 직업교육, 사범교육, 고등교육, 교과서, 의학교육 등 10개의 분과위원회로 나누어 한국교육의 정초를 다지는 작업을 함.
홍익인간을 교육이념으로 채택 6-3-3-4제의 단선형 학제를 채택 종래의 3학기제를 폐지하고 1년을 2학기1946년 9월 의무교육을 실시하기로 함
조선어학회가 중심이 되어 초등용과 성인용 국어교과서를 편찬 당시 교과서 편찬에서 특기할 사실은 상용한자를 100자로 제한, 한글 전용과 가로쓰기를 원칙으로 채택 학무국에 성인교육과를 설치하여 전국적으로 국문 강습회 운동을 벌이는 한편 공민학교를 설치하여 학령을 초과한 아동을 수용하여 기초교육을 실시
그 결과 각급 학교의 수와 학생의 수도 놀라운 증가를 보임. 절대 부족인 교사 양성을 위하여 각 사범학교에 강습과 혹은 임시 초등교사 양성을 위해 부설, 중등교사 양성을 위하여 경성사범대학, 대구사범대학, 공주사범대학: 새로운 교육이념과 교수법을 전달하기 위한 교사 재교육을 위하여 각종 강습회도 적극 추진
2) 군정기의 새교육 운동
- 새교육은 곧 민주주의 교육이념과 미국식 진보주의 교육법
① 전통적 교육의 계급주의.차별주의를 배격
② 인간을 도구화하는 교육을 배격하고 사람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교육
③ 억압과 복종의 교육이 아니라 자유인의 교육이다.
④ 획일주의 교육을 거부하고 개인차를 인정하고 개성을 존중하는 교육이다
⑤ 과거의 문화유산을 전달하는 지식중심.서적중심의 교육을 배격하고,
생활중심의 교육, 즉 삶을 풍요롭게 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 교육과정으로는 아동중심 생활중심의 교육과정이어야 함.
- 공민 역사 지리 교과를 사회생활과로 통합, 단원중심, 활동중심의 교수법 보급
- 이런 운동은 각종 강습회와 잡지의 간행 등을 통하여 전개
- 우리교육을 이끌었던 인물들이 주로 1920-30년대의 진보주의 교육의 전성기에 미국에서 교육학을 공부한 인물들.
- 결과는 열악한 교육환경에서 진보주의 교육이 성과를 거두기에는 한계
- 지나친 과거에 대한 부정이 전통의 단절로 이어짐.
3) 대학의 설립과 국대안 파동
ㆍ1946년 8월 제정된 대학설치령 -- 당시 고등교육에 대한 요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