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시설의 문제점과 해결책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교시설의 문제점과 해결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학교 시설의 정의
2. 학교시설의 필요 조건

Ⅱ. 본론
1. 급식시설
(1) 급식현황
(2) 급식의 문제점
(3) 급식 문제의 해결책
2. 미술실, 음악실, 과학실
(1) 미술실, 음악실 문제점 및 해결책
(2) 과학실 문제점 및 해결책
3. 도서관
(1) 도서관 문제점 및 해결책
4.학교내부시설
(1) 교실내부의 시설의 문제점 및 해결책
5. 학교 안과 밖의 시설
(1) 시설의 문제점 및 해결책
(2) 시설현황
6. 화장실
(1) 화장실 문제점과 해결책
7. 음용수
(1) 음용수의 문제점 및 해결책
8. 보건실
(1) 보건실 문제점 및 해결책

Ⅲ. 결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은 영국의 '로빈스보고서'에서도 볼 수 있으
며, 독일과 프랑스에서도 실시하고 있다.
이 필요하다. 새로이 건설되는 대단위의 집합주거지의 계획 시 학교건설 부지에 대한 계획적 접근의 필요하며, 부지구입 당시부터 교육청과 행정구청 또는 토지개발공사 등과의 유기적인 협조도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6) 각 교육청의 시설에 관한 예산확보 방안의 재고
교육시설의 항상 적인 발전을 기하려면, 교육청의 사정(교육감의 판단 등)에 따라 시설예산을 책정하기보다는 시설예산의 확보 및 투자방안을 제도화하여 고정적이며 항상 적인 투자가 가능하도록 해야된다.
7) 새로운 학교유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교육방법이나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유형의 학교에 대한 연구나 각 교육청별로의 기술, 시공, 냉난방에 대한 효율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8) 교육시설 관련자들에 대한 인식변화의 필요성
교육시설에 대한 인식변화가 필요하다. 특히 사용자인 교사들은 학교시설이나 공간을 교수학습활동에 최대한 활용하려는 자세와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시설은 최소한 30 년 이상 유지되어야 하는 시설이라는 점에서 현재 사용상의 불편을 제기하는 것도 좋으나 다소간의 불편은 운영 등으로 극복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9) 교육시설 행정의 전문성 확보
교육시설은 크게 보아 대학교시설과 초중등학교 시설이 있다. 이 들 시설의 담당자들은 교육인적자원부 소속의 국가직 공무원과 시도 교육청 소속의 지방직 공무원들이다. 소속에 따라 담당하는 시설의 종류가 다르다. 그러나 교육인적자원부는 시설 발전을 위해 각 시도 교육청을 지도하는 입장이나 담당하는 시설의 종류가 다르므로 인하여 전문성이 부족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 것 같다.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교육시설부분의 조직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언젠가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논의된 적이 있었던 시설 공단화 등의 안을 검토하여 전문성 확보와 전문성을 지닌 인적 자원을 확보할 필요가 절실하다. 또한 당분간은 서로의 국가직과 지방직의 인사교류가 가능하게 하면 다소나마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21C대비 학교시설은 제 7차 교육과정 수행을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시설이 확보되어야 함은 물론 정보화의 혁신적인 발달에 따라 이를 학습에 효율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각종 미디어 시설공간 및 학생 인격 함양을 위한 정서적 공간 등이 요구된다. 그러나 획일화된 교사건물과 단순교육시설로는 점점 고도화되는 교육과정은 물론, 고립화개인화 되어 가는 학생들의 정서적 함양에도 기여를 할 수 없다.
“저희 아들이 고3인데 키가 180㎝입니다. 책걸상이 맞지 않아 집에 오면 허리가 아프다고 호소하기 일쑤였죠. 이러한 규격에 맞지 않는 책걸상을 교체하고 공부에 방해되지 않을 정도로 최소한의 냉난방 시설은 구비해야 하지 않을까요? 지금은 학교예산이 없어 학부모들이 자비를 들여 에어컨 등을 설치하고 있는 형편인데, 교육에 대한 투자는 미래에 대한 투자라는 점에서 정부 당국의 보다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고3아들을 둔 어느 학부모의 말이다. 학교생활을 하고 학문을 익히는데 가장 기본적인 시설인 책상과 걸상조차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학교에서 학생들이 불편하게 공부를 하고 있다. 모두가 낙후된 교육환경에서 그렇게 공부를 한다고 치부할 수 있는 세상에서는 21세기의 역군이 될 훌륭한 인재를 길러낼 수 없다.
사회 환경변화에 걸맞은 학교시설을 학생들에게 제공해 줘야 한다. 학생들이 마음껏 공부 할 수 있는 여건조차 만들어 주지 않고 훌륭한 사람이 되라고 하는 것은 억지스러운 강요밖에 되지 않는다. 그렇기에 좋은 학교는 잘 정비된 교육시설과 환경이 필수 적인 것이다.
학교시설의 1차적 기능은 학생과 교사에게 교수학습을 위한 적절한 물리적 환경을 마련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충분한 교육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고 공간과 설비는 교육 활동 및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제반 활동에 적합해야 하며 또한 쾌적성, 보건성과 위생성, 안전성 등을 갖추어야 한다. 학교시설이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학교시설에 대한 요구가 적시에 반영되어야 하고, 교육정책 주요 과제에 부응해야 하며 사회 환경에도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21세기의 주역인 성장기의 학생들에게 학교 내 환경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밀집된 학교 공간은 학생들이 생활하기에 불편함이 없는 교육시설을 갖춰야 하고 쾌적하고 안전한 곳이어야 한다. 따라서 학교내의 교육시설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학교 환경을 개선함으로서 미래의 사회를 짊어지고 나갈 수 있는 튼튼한 심신을 가진 미래의 역군을 길러 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고등학생의 생활과 문화, 김영찬이인효, 한국정신 문화 연구원, 1990
학교의 본질 : 교육학 연구 제 33권 14호 (p21~34), 김안중, 한국교육학회, 1995
학교 스트레스, 한중상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6
교육시설의 복합화의 개념 및 필요성, 류호섭, 한국교육시설학회지, 1999.6
교육시설의 복합화 재개발방안, 서창원 외 2인 한국교육시설학회지, 1999.6
안전교육 저자-권봉안,강정호,김광성 P.196-운동장과 교실내부의 환경
김종철. 교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교육문화사. 1991. p37
유향산. 경제적 교육공간 시설설비. 교육문화사. 1991. p414
http://www.sen.go.kr/hakun/data/45호원고/45호시책해설.hwp
http://kedipark.kedi.re.kr/94-22.hwp
http://kedipark.kedi.re.kr/96-18.hwp
http://www.kwcce.go.kr
http://news.media.daum.net/society/affair/200309/29/munhwa/v5112670.html
http://www.ktpf.or.kr/consult/sub3/main3-B-15.htm
http://news.media.daum.net/society/affair/200310/24/munhwa/v5318206.html
http://news.media.daum.net/society/education/200310/28/donga/v5347825.html
  • 가격2,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09.07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31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