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배경설화
2. 해독방향
⑴ 원문 및 해독
⑵ 해독 방향
3. 문학적 연구
⑴ 창작 연대
⑵ 시가적 성격
⑶ 융천사의 신분
2. 해독방향
⑴ 원문 및 해독
⑵ 해독 방향
3. 문학적 연구
⑴ 창작 연대
⑵ 시가적 성격
⑶ 융천사의 신분
본문내용
<향가여요지도론>
彗 星 歌
목 차
1. 배경설화
2. 해독방향
⑴ 원문 및 해독
⑵ 해독 방향
3. 문학적 연구
⑴ 창작 연대
⑵ 시가적 성격
⑶ 융천사의 신분
<혜성가>는 신라 제26대 진평왕 때 융천의 작이라 전하고, 현전 25수의 향가 중 가장 오래된 향가이다. 따라서 당시의 상황을 전하는 배경설화와 함께 <혜성가>는 향가의 성격과 기능을 짐작하는 데 중요한 노래라 하겠다.
이러한 <혜성가>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해독을 비교해 보고, <혜성가>의 창작 연대와 문학적 측면에서의 <혜성가>의 주술적 기능 그리고 작가의 신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배경설화
融天師 彗星歌 眞平王代
第五居烈郞第六實處郞一作突處郞 第七寶同郞等三花之徒 欲游楓岳有彗星犯心大星 郞徒疑之 欲罷其行 時天師作歌歌之 星怪卽滅 日本兵還國反成福慶 大王歡喜 遣郞遊岳焉 歌曰(略)
<三國遺事, 卷 5, 融天師彗星歌 眞平王代>
융천사 혜성가 진평왕대
다섯째의 거열랑, 여섯째의 실처랑(한편 돌처랑이라고도 함). 일곱째의 보동랑등 세화랑의 무리가 금강산을 유람하고자 하는데 혜성이 있어 큰 심성을 범하므로 화랑의 무리가 이것을 의아하게 생각하여 그 행차를 그만두려고 하였다. 그때에 융천사가 노래를 지어 이것을 부르니 별의 괴이함도 즉시 없어지고 일본군사도 제나라로 돌아가서 도리어 행복과 경사를 이루게 되었다. 임금이 기뻐하여 화랑들을 보내어 금강산을 유람케 하였다. 그 노래에 이르기를(생략)
2. 해독방향
⑴ 원문 및 해독
舊理東尸汀叱 乾達婆矣 녜 ㅅ
彗 星 歌
목 차
1. 배경설화
2. 해독방향
⑴ 원문 및 해독
⑵ 해독 방향
3. 문학적 연구
⑴ 창작 연대
⑵ 시가적 성격
⑶ 융천사의 신분
<혜성가>는 신라 제26대 진평왕 때 융천의 작이라 전하고, 현전 25수의 향가 중 가장 오래된 향가이다. 따라서 당시의 상황을 전하는 배경설화와 함께 <혜성가>는 향가의 성격과 기능을 짐작하는 데 중요한 노래라 하겠다.
이러한 <혜성가>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해독을 비교해 보고, <혜성가>의 창작 연대와 문학적 측면에서의 <혜성가>의 주술적 기능 그리고 작가의 신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배경설화
融天師 彗星歌 眞平王代
第五居烈郞第六實處郞一作突處郞 第七寶同郞等三花之徒 欲游楓岳有彗星犯心大星 郞徒疑之 欲罷其行 時天師作歌歌之 星怪卽滅 日本兵還國反成福慶 大王歡喜 遣郞遊岳焉 歌曰(略)
<三國遺事, 卷 5, 融天師彗星歌 眞平王代>
융천사 혜성가 진평왕대
다섯째의 거열랑, 여섯째의 실처랑(한편 돌처랑이라고도 함). 일곱째의 보동랑등 세화랑의 무리가 금강산을 유람하고자 하는데 혜성이 있어 큰 심성을 범하므로 화랑의 무리가 이것을 의아하게 생각하여 그 행차를 그만두려고 하였다. 그때에 융천사가 노래를 지어 이것을 부르니 별의 괴이함도 즉시 없어지고 일본군사도 제나라로 돌아가서 도리어 행복과 경사를 이루게 되었다. 임금이 기뻐하여 화랑들을 보내어 금강산을 유람케 하였다. 그 노래에 이르기를(생략)
2. 해독방향
⑴ 원문 및 해독
舊理東尸汀叱 乾達婆矣 녜 ㅅ
추천자료
통일신라시대 한문학의 개관에
통일신라시대의 문학
남북국시대의 문학―통일신라와 발해
고전의 이해-신라 가요
[향가][향가 형식][향가 표기][향찰][향가 배경][향가 자연물 상징][향가 특징]향가 분석 고...
[향가여요론] 향가여요론 요점정리 서브노트
[향가계 고려가요][정과정][향가][고려가요][정과정 해석]향가계 고려가요 정과정의 원문과 ...
향가계 고려가요 도이장가의 작품해제, 향가계 고려가요 도이장가의 원문과 해독, 향가계 고...
[음악][고구려시대 음악][백제시대 음악][신라시대 음악][고려시대 음악][조선시대 음악][고...
사천왕사지와 장항리사지를 통해 본 신라의 불교
[신라불교, 신라불교 특징, 신라불교 성격, 신라불교 시기구분, 신라불교 수용, 신라불교 발...
(삼국유사)와 (균여전)의 기록으로 살펴 본 향가 혹은 사뇌가의 성격
『삼국유사』,『균여전』을 통해 살펴 본 향가의 성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