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한국의 도자기
2. 도자기 연구의 필요성
3. 연구방법
Ⅱ본론
1. 고려청자
①청자의 뜻
②청자의 기원과 발달과정
③고려청자의 종류
④고려청자의 특징
2. 분청사기
①분청사기란?
②분청사기의 발단과 발전
③분청사기의 소멸
④분청사기의 종류
⑤막사기와 분청사기의 공통점
⑥막사기와 분청사기의 차이점
3.백자
①백자의 탄생
②백자의 종류
4.도자기 제작과정
5. 도자기 체험
Ⅲ. 결론
1. 관련자료 및 사이트
1. 한국의 도자기
2. 도자기 연구의 필요성
3. 연구방법
Ⅱ본론
1. 고려청자
①청자의 뜻
②청자의 기원과 발달과정
③고려청자의 종류
④고려청자의 특징
2. 분청사기
①분청사기란?
②분청사기의 발단과 발전
③분청사기의 소멸
④분청사기의 종류
⑤막사기와 분청사기의 공통점
⑥막사기와 분청사기의 차이점
3.백자
①백자의 탄생
②백자의 종류
4.도자기 제작과정
5. 도자기 체험
Ⅲ. 결론
1. 관련자료 및 사이트
본문내용
인녕부·덕녕부·내자시·내섬시·사섬시·등의 중앙관서명이 많다.
(9)막사기(상사기)
서유구의 <임원경제십육지>에 의하면 “광주관요에서는 자기의 가품을 번조하지만, 민요에서는 자기를 함부로 만들어 그릇이 이지러지고 빛깔이 거무충충하여 나쁘기 때문에 다만 농민들이 사용한다”고하였다.
이와같이 마구 만든 사기라 하여 막사기, 또는 농민(상민)들이나 사용하는 사기라 하여 상사기·상사발이라고도 했다.
막사기를 만들게 된 동기는, 만일 민요에서 가품을 만들게 되면 양반들 등싸렝 무보수로 다 약탈당하게 되므로 의식적으로 함부로 만들게 된 것 이라고 하겠다.
도한 막사기를 누박이사기라고도 한다. 막사기는 분원갑번처럼 갑발에 담아서 가마재임하는 것도 아니고, 중품사기처럼 도지미(괴임대)로 괴어서 가마재임을 하지도 않는다. 굵은 모래를 사발 바닥에 방접게로 뿌리고 겹겹이 가마재임하고 소성한다. 그렇기 때문에 모래가 녹아붙은 사기를 하나씩 떼면서 요출하게 되는데, 이모래 자국이 개구기 눈처럼 남게되어 눈박이사기라고도 하는 것이다.
막사기의 기원은 조선조 전기에 전성하였던 분청사기에서 시발도니다. 임진왜란 때 침략군에 의하여 수많은 도공들이 납치되었고, 분청사기와 백자는 보는 대로 약탈당했으면, 생산 시설은 모두 초토화되었다.
이와같은 치명적인 상처를 입었을 뿐 아니라 전후 복구 사업도 지지부진하여 도자기 분야에서는 사옹원 산하의 분원요만 겨우 복구 되었고, 대부분의 지방요는 도공 부족과 재정난으로 가동되지 못해 분청사기가 소멸되면서 막사기라는 서자만 남겼다.
<막사기와 분청사기의 공통점>
막사기는 비록 분청사기의 서자이기는 하지만, 분청사기의 혈통을 그대로 이어받았기 때문에 생산기법의 대부분은 다음과 같이 계승되었다.
1)기면분장
함철분이 많은 태토로 백토이장으로 분장하였으며,
2)성형
성형기법도 동일하고,
3)유약
유약 처방도 서로 유사하며,
4)가마재임
가마재임도 도지미는 다르지만 포개재임법은 동일하고,
5)소성기법
소성기법도 종말기에 약간 환원소성하는 점이 동일하며.
6)색
빛깔도 회백색이 많은 것 등등이 동일하다.
<막사기와 분청사기의 차이점>
1)품질
분청사기의 생산은 질에 치중하였지만, 막사기의 생산은 양에 치중하였기 때문에 질적으로 떨어진다.
2)기형
막사기는 양에 치중하여 성형하였기 때문에 기형이 바른 것이 대부분이지만, 그중에는 아가리가 비틀ㄹ어진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3) 유약칠
유약을 덤벙칠할 대 고르게 하지 않아서 굽에서 유약이 많이 흐르고, 이것이 불에 테서테석해진 것이 많다.
4)모래괴임질
가마재임할 때 도지미 대신 굵은 모래를 뿌리고 포개재임을 하여 그릇 바닥에 모래 흔적이 개구리 눈처럼 남기 때문에 눈박이사기라는 별명을 듣게 되었다.
5)소성온도
분청사기에 비하여 소성 온도를 50℃ 정도 낮추면서 소성 시간도 약간 단축 시켰기 때문에 강도도 그만큼 낮다.
6)값
대량생산 위주로 생산하여 싼값으로 판매되었다.
조선조 중기 이후부터 생산되기 시작한 막사기는 당시 백자 생산량이 양반들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그러나 조선조 후기에 접어들어 백자의 생산량이 증가되면서 양반들의수요를 충족시키게 되었다. 이로써 막사기는 일반 상민들에게 보급되면서 상사기라는 별명을 듣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부터 막사기는 농민 군중 속에 뿌리 깊게 박히면서 일제시대까지 발전되 대중적인 사기였다.
3. 백자
<백자의 탄생>
조선이 건국되면서 도자기 분야에서는 고려청자와 백자를 그대로 계승 하였으나, 정치·사회적 배경이 달랐기 때문에 청자보다도 백자와 분청에 치중하였다. 즉 고려의 연질백자를 경질백자로 발전시키는 한편, 고려에서 미완성된 분청을 새로운 면모로 탈바꿈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조선조에서 청자가 백자로 바뀌게 된 것은,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화려한 불교 문화에서 소박한 유고 문화로 일변된 데서 비롯한다.
<백자의 종류>
백자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장식에 따라 순백자·청화백자·상감백자·철회백자·진사백자 등으로 구분된다.
1)순백자
순백자는 흰색 이외에 다른 색으로는 표면 장식을 하지않은 자기를 말한다. 백색 표면 장식에 잇어서는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가 있다.
소문백자·음각백자·양각백자·투각백자·상형백자 등이다.
2)소문백자
소문백자는 기면에 아무런 장식무늬를 하지 않은 민무늬 단색백자이다. 소박한 농민처럼 믿음직하면서도 친근감이 풍기는 이 자기는 조선조 초기에서 말기에 이르기까지 5백년 동안 꾸준히 생산되었다.
납작한 소문백자 편병의 정면은 떠오르는 보름달처럼 친금감이 풍겨 아무리 오래 보아도 싫증이 나지 않는다.
좁은 주둥이에 입술 같은 전으로 장식되었고, 아래로 퍼진 굽은 안정감을 풍긴다. 보기만 해도 안에 담긴 술 생각에 목젖이 꿈틀거린다.
소문백자 각병은 병 중에서 보기 드문 것이다. 몸체만 각병이 아니라 목과 주둥이까지도 사각형으로 되었는데, 순박하고도 안정감이 풍기는 각병이다.
3)음각백자
순백자 기면에 음각으로 무늬를 장식한 백자이다. 음각장식은 기면 전체를 장식한 것은 드물고, 대부분 부분적으로 음각한 것이 많다. 무늬는 십장생무늬와 꽃무늬가 많다.
호암미술관이 소장한 백자음각 십장생무늬 병은 몸이 길고 아랫배가 부른데, 목 바로 밑에서부터 굽 위의 병 전체에 가는 선무늬로 얕게 십장생무늬가 새겨져 있어, 음각선이 선명할 뿐 아니라 무늬의 배치나 솜씨가 능숙한 것으로 보아 화공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박병래 소장의 백자음각 국화무늬 필통은 아니지만 고요하고 안정감이 풍긴다. 무늬는 필통 표면 전체에 가늘고 섬세한 솜씨로 국화송이와 잎, 그리고 가지 등을 능숙하게 음각했다.
(백자음각동자운화동화문대접)
4)양각백자
순백자 바탕에 양각기법으로 새긴 무늬가 유층을 통하여 은은하게 비친다. 문양에는 매화·난초·국화·대나무·불로초·사군자 등을 간결하게 새겼는데, 한 가지 또는 두 가지를 혼합하여 새긴것도 있고, 더러는 글씨를 함께 새긴 것도 잇다. 양각백자로서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품인 백자양각 매국무늬 병은 목이 길고 아랫배가 부른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병이다. 병의 한쪽에는 국화꽃과 잎·줄기를 큼직하고 은은하게 새겼고, 그 반대쪽에는 매화가지에 매화
(9)막사기(상사기)
서유구의 <임원경제십육지>에 의하면 “광주관요에서는 자기의 가품을 번조하지만, 민요에서는 자기를 함부로 만들어 그릇이 이지러지고 빛깔이 거무충충하여 나쁘기 때문에 다만 농민들이 사용한다”고하였다.
이와같이 마구 만든 사기라 하여 막사기, 또는 농민(상민)들이나 사용하는 사기라 하여 상사기·상사발이라고도 했다.
막사기를 만들게 된 동기는, 만일 민요에서 가품을 만들게 되면 양반들 등싸렝 무보수로 다 약탈당하게 되므로 의식적으로 함부로 만들게 된 것 이라고 하겠다.
도한 막사기를 누박이사기라고도 한다. 막사기는 분원갑번처럼 갑발에 담아서 가마재임하는 것도 아니고, 중품사기처럼 도지미(괴임대)로 괴어서 가마재임을 하지도 않는다. 굵은 모래를 사발 바닥에 방접게로 뿌리고 겹겹이 가마재임하고 소성한다. 그렇기 때문에 모래가 녹아붙은 사기를 하나씩 떼면서 요출하게 되는데, 이모래 자국이 개구기 눈처럼 남게되어 눈박이사기라고도 하는 것이다.
막사기의 기원은 조선조 전기에 전성하였던 분청사기에서 시발도니다. 임진왜란 때 침략군에 의하여 수많은 도공들이 납치되었고, 분청사기와 백자는 보는 대로 약탈당했으면, 생산 시설은 모두 초토화되었다.
이와같은 치명적인 상처를 입었을 뿐 아니라 전후 복구 사업도 지지부진하여 도자기 분야에서는 사옹원 산하의 분원요만 겨우 복구 되었고, 대부분의 지방요는 도공 부족과 재정난으로 가동되지 못해 분청사기가 소멸되면서 막사기라는 서자만 남겼다.
<막사기와 분청사기의 공통점>
막사기는 비록 분청사기의 서자이기는 하지만, 분청사기의 혈통을 그대로 이어받았기 때문에 생산기법의 대부분은 다음과 같이 계승되었다.
1)기면분장
함철분이 많은 태토로 백토이장으로 분장하였으며,
2)성형
성형기법도 동일하고,
3)유약
유약 처방도 서로 유사하며,
4)가마재임
가마재임도 도지미는 다르지만 포개재임법은 동일하고,
5)소성기법
소성기법도 종말기에 약간 환원소성하는 점이 동일하며.
6)색
빛깔도 회백색이 많은 것 등등이 동일하다.
<막사기와 분청사기의 차이점>
1)품질
분청사기의 생산은 질에 치중하였지만, 막사기의 생산은 양에 치중하였기 때문에 질적으로 떨어진다.
2)기형
막사기는 양에 치중하여 성형하였기 때문에 기형이 바른 것이 대부분이지만, 그중에는 아가리가 비틀ㄹ어진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3) 유약칠
유약을 덤벙칠할 대 고르게 하지 않아서 굽에서 유약이 많이 흐르고, 이것이 불에 테서테석해진 것이 많다.
4)모래괴임질
가마재임할 때 도지미 대신 굵은 모래를 뿌리고 포개재임을 하여 그릇 바닥에 모래 흔적이 개구리 눈처럼 남기 때문에 눈박이사기라는 별명을 듣게 되었다.
5)소성온도
분청사기에 비하여 소성 온도를 50℃ 정도 낮추면서 소성 시간도 약간 단축 시켰기 때문에 강도도 그만큼 낮다.
6)값
대량생산 위주로 생산하여 싼값으로 판매되었다.
조선조 중기 이후부터 생산되기 시작한 막사기는 당시 백자 생산량이 양반들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그러나 조선조 후기에 접어들어 백자의 생산량이 증가되면서 양반들의수요를 충족시키게 되었다. 이로써 막사기는 일반 상민들에게 보급되면서 상사기라는 별명을 듣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부터 막사기는 농민 군중 속에 뿌리 깊게 박히면서 일제시대까지 발전되 대중적인 사기였다.
3. 백자
<백자의 탄생>
조선이 건국되면서 도자기 분야에서는 고려청자와 백자를 그대로 계승 하였으나, 정치·사회적 배경이 달랐기 때문에 청자보다도 백자와 분청에 치중하였다. 즉 고려의 연질백자를 경질백자로 발전시키는 한편, 고려에서 미완성된 분청을 새로운 면모로 탈바꿈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조선조에서 청자가 백자로 바뀌게 된 것은,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화려한 불교 문화에서 소박한 유고 문화로 일변된 데서 비롯한다.
<백자의 종류>
백자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장식에 따라 순백자·청화백자·상감백자·철회백자·진사백자 등으로 구분된다.
1)순백자
순백자는 흰색 이외에 다른 색으로는 표면 장식을 하지않은 자기를 말한다. 백색 표면 장식에 잇어서는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가 있다.
소문백자·음각백자·양각백자·투각백자·상형백자 등이다.
2)소문백자
소문백자는 기면에 아무런 장식무늬를 하지 않은 민무늬 단색백자이다. 소박한 농민처럼 믿음직하면서도 친근감이 풍기는 이 자기는 조선조 초기에서 말기에 이르기까지 5백년 동안 꾸준히 생산되었다.
납작한 소문백자 편병의 정면은 떠오르는 보름달처럼 친금감이 풍겨 아무리 오래 보아도 싫증이 나지 않는다.
좁은 주둥이에 입술 같은 전으로 장식되었고, 아래로 퍼진 굽은 안정감을 풍긴다. 보기만 해도 안에 담긴 술 생각에 목젖이 꿈틀거린다.
소문백자 각병은 병 중에서 보기 드문 것이다. 몸체만 각병이 아니라 목과 주둥이까지도 사각형으로 되었는데, 순박하고도 안정감이 풍기는 각병이다.
3)음각백자
순백자 기면에 음각으로 무늬를 장식한 백자이다. 음각장식은 기면 전체를 장식한 것은 드물고, 대부분 부분적으로 음각한 것이 많다. 무늬는 십장생무늬와 꽃무늬가 많다.
호암미술관이 소장한 백자음각 십장생무늬 병은 몸이 길고 아랫배가 부른데, 목 바로 밑에서부터 굽 위의 병 전체에 가는 선무늬로 얕게 십장생무늬가 새겨져 있어, 음각선이 선명할 뿐 아니라 무늬의 배치나 솜씨가 능숙한 것으로 보아 화공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박병래 소장의 백자음각 국화무늬 필통은 아니지만 고요하고 안정감이 풍긴다. 무늬는 필통 표면 전체에 가늘고 섬세한 솜씨로 국화송이와 잎, 그리고 가지 등을 능숙하게 음각했다.
(백자음각동자운화동화문대접)
4)양각백자
순백자 바탕에 양각기법으로 새긴 무늬가 유층을 통하여 은은하게 비친다. 문양에는 매화·난초·국화·대나무·불로초·사군자 등을 간결하게 새겼는데, 한 가지 또는 두 가지를 혼합하여 새긴것도 있고, 더러는 글씨를 함께 새긴 것도 잇다. 양각백자로서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품인 백자양각 매국무늬 병은 목이 길고 아랫배가 부른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병이다. 병의 한쪽에는 국화꽃과 잎·줄기를 큼직하고 은은하게 새겼고, 그 반대쪽에는 매화가지에 매화
추천자료
[기업탐방 보고서] 소니코리아 기업방문 보고서
기관분석보고서[청소년회관]_사회복지 기관실습일지,종결보고서,사회복지실습보고서,청소년복...
자기주도적학습력(능력)의 개념과 필요성, 자기주도적학습력(능력) 하위능력과 단계, 자기주...
자기주도적학습의 정의와 중요성, 자기주도적학습의 원리와 필수요소, 자기주도적학습의 ICT(...
재량활동의 개념, 미디어교육 재량활동 사례, 진로교육 재량활동 사례, 한국문화교육 재량활...
[현장실습교육 보고서 참고용] 기계-전자관련 회사에서 현장실습 후 작성한 중간 보고서
이러닝(e-learning)학습활동(교육활동) 사례, 영어낱말쓰기학습활동(교육활동) 사례, 놀이학...
(A+ 보고서) 사회복지 실습기관 분석보고서
사회과 맞춤학습지도(교육지도), 수학과 극한개념학습지도(교육지도), 영어과 열린학습지도(...
에너지절약교육(에너지교육)의 목표와 중요성, 에너지절약교육(에너지교육)의 기본방침, 에너...
아동다문화교육의 필요성 및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 -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특성, 다문화교육...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목적, 초등학교 환경교육 실태, 초등학교 환경교육 내용, 초등학교 환경...
[견학보고서] 법원 견학 보고서 <서울중앙지방법원(민사) 557호 법정, 재판부-제 29민사부, ...
[사회복지실습] 서울시 동대문구 「다일 작은 천국」 사회복지 실습보고서, 사회복지 실습,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