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시간을 두고 연습하고 계발할 수 있도록 여러 차례에 걸쳐 반복적으로 기회를 주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언제부터 시작하여 어느 간격으로 언제까지 몇 차례까지 반복하여 지속시키면 의도한 교육목표가 달성되는 것이냐를 결정하는 일이다.
계열성: 계속성과 관련되지만 그 이상의 것으로 같은 수준이 아니라 이해, 기능, 태도, 흥미 등이 조금씩 다른 수준으로 단계적으로 깊어지고 넓어지고, 높아지도록 조직하는 것이다.
통합성: 교육과정의 요소를 수평적으로 연관시키는 것이다. 학습내용과 경험, 기능, 태도, 흥미 등이 거미줄처럼 잘 짜여져 있을 때 교육목표의 효과적 달성이 가능하다.
4) 학습경험의 평가
타일러는 평가가 학습경험이 의도한 목표를 성취하였는지의 여부를 아는데 필수적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는 학생에 관한 자료가 단지 단원의 끝에서만 모아질 것이 아니라(총합평가) 한 단원을 가르칠 때 여러 단계에서 모아져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타일러가 학생평가의 몇가지 비형식적 방법(예를 들면, 관찰, 작업표본)을 기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주로 구체적인 수업목표를 직접적으로 겨냥하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필담시험을 고안하는데 관심이 있었다.
(2) 타일러 교육과정개발 모형의 평가
1) 이점
① 모든 교과와 어떤 수준의 교수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② 따르기가 매우 쉬고 가장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것으로 보여지는 일련의 절차를 제공햇다.
③ 모형이 처음 출판되었을 때 그것은 학생행동과 학습경험을 강조함으로써 지각을 변동시켰다. 평가지침 또한 1940년대에 활용되었던 다른 것들보다 훨씬 더 종합적이었다.
2) 결점
① 어떤 목표가 다른 목표보다 왜 선택되어야 하는지 그 이유가 명백히 제시되지 않는다.
② 교사 사고와 교사 계획에 대한 연구 결과는 교사가 처음 계획단계로서 목표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적한다. 교사는 일련의 단계들을 밟지 않는다.
③ 타일러는 단지 의도된 수업목표를 평가하는데 관심이 있었다. 그는 언제나 일어날 수 있는 의도되지 않는 학습을 무시한다.
④ 네 단계의 분리는 어떤 교육과정계획 활동에서 발생하는 상호관계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이다.
⑤ 이 모형은 목표 설정과 평가에서 측정할 수 있는 결과를 지나치게 강조한다.
2. 워커(Walker)의 숙의 모형
워커는 어떻게 교육과정이 계획되어야 하는가를 처방하는 다른 접근과는 다르게 교육과정이 실제에서 어떻게 계획되는가를 묘사하고자 하였기
계열성: 계속성과 관련되지만 그 이상의 것으로 같은 수준이 아니라 이해, 기능, 태도, 흥미 등이 조금씩 다른 수준으로 단계적으로 깊어지고 넓어지고, 높아지도록 조직하는 것이다.
통합성: 교육과정의 요소를 수평적으로 연관시키는 것이다. 학습내용과 경험, 기능, 태도, 흥미 등이 거미줄처럼 잘 짜여져 있을 때 교육목표의 효과적 달성이 가능하다.
4) 학습경험의 평가
타일러는 평가가 학습경험이 의도한 목표를 성취하였는지의 여부를 아는데 필수적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는 학생에 관한 자료가 단지 단원의 끝에서만 모아질 것이 아니라(총합평가) 한 단원을 가르칠 때 여러 단계에서 모아져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타일러가 학생평가의 몇가지 비형식적 방법(예를 들면, 관찰, 작업표본)을 기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주로 구체적인 수업목표를 직접적으로 겨냥하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필담시험을 고안하는데 관심이 있었다.
(2) 타일러 교육과정개발 모형의 평가
1) 이점
① 모든 교과와 어떤 수준의 교수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② 따르기가 매우 쉬고 가장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것으로 보여지는 일련의 절차를 제공햇다.
③ 모형이 처음 출판되었을 때 그것은 학생행동과 학습경험을 강조함으로써 지각을 변동시켰다. 평가지침 또한 1940년대에 활용되었던 다른 것들보다 훨씬 더 종합적이었다.
2) 결점
① 어떤 목표가 다른 목표보다 왜 선택되어야 하는지 그 이유가 명백히 제시되지 않는다.
② 교사 사고와 교사 계획에 대한 연구 결과는 교사가 처음 계획단계로서 목표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적한다. 교사는 일련의 단계들을 밟지 않는다.
③ 타일러는 단지 의도된 수업목표를 평가하는데 관심이 있었다. 그는 언제나 일어날 수 있는 의도되지 않는 학습을 무시한다.
④ 네 단계의 분리는 어떤 교육과정계획 활동에서 발생하는 상호관계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이다.
⑤ 이 모형은 목표 설정과 평가에서 측정할 수 있는 결과를 지나치게 강조한다.
2. 워커(Walker)의 숙의 모형
워커는 어떻게 교육과정이 계획되어야 하는가를 처방하는 다른 접근과는 다르게 교육과정이 실제에서 어떻게 계획되는가를 묘사하고자 하였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