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목차
1.근대문학의 태동
2.근대 문학의 탄생
3.최남선과 이광수의 문학
4.1920년대의 중요 작가들
5.1930년대의 개관
2.근대 문학의 탄생
3.최남선과 이광수의 문학
4.1920년대의 중요 작가들
5.1930년대의 개관
본문내용
단편과 취우등 4~5편의 장편 발표, 활발한 문학 활동
바. 그의 문학사적 위치
① 근대 한국 문학의 선험적 중심 인물
② 문예 비평 기초를 닦은 비평문학의 개척자
③ 최초의 사실주의 확립 작가
3. 박종화
가. 약전
1901년 서울 출생. 호는 월탄이고, 백조동인으로 출발, 1924년 흑방비곡으로 등단. 이후 10여년간 단편, 평론, 시, 수필 등 각 분야서 활동, 1932년 역사 소설 금삼의 피를 매일 신보에 연재. 일제에 항거하는 민족정신이 담긴 대춘부 전야 등의 발표. 광복 후 적색 문학 운동에 대항하는 민족 문학 운동의 지도자가 되어 ‘전국 문필가 협회’, ‘한국 문학가 협회’,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 등에서 중요 역할. 제 1회 에술원상 수여, 1957년 성균관대에서 명예 문학 박사 수여 받음.
나. 그의 선구적 공적
① 근대 문학 운동의 선험자
② 낭만주의의 강한 선창자
③ 역사 소설을 최초로 개척한 작가 : 목매는 여자(백조3호)
다. 문학 활동의 다양성
① 창작 영역의 다양성 - 시, 소설, 수필, 평론, 각 분야에 두루 걸침
ㄱ. 시 : 우윳빛 거리 밀실로 돌아가라 흑방비곡 대조선의 봄 청자부
ㄴ. 단편소설 : 목매는 여자 이년후 아버지와 아들 아리랑의 전개 은애전 논개등
ㄷ. 장편소설 : 금삼의 피 대춘부 전야 다정불심 홍경래 임진왜란 등…
ㄹ. 평론, 수필, 등 기타의 산문 : 대전 이후 신문예 운동 남행록 월탄문학선 사미인 파초와 사유 해방십년간의 문학 문 학예술의 본질 등
② 문단 외 사실적 참여 : 문학의 현실 배경인 사회적 국가적 활동에 몸소 참여
라. 그의 문학적 공적
① 표현 상의 특징 : 구체적 묘사 형식이 아닌 추상적 서술 형식 →개념적 용어로 구성( 초기 시편에 표현) 중기 이후 역사 소설엔 추상적인 서술체의 형식 으로 나타냄
② 경향상의 특성
ㄱ. 초기 시편에선 막연한 탐미적인 낭만적 경향 강했으나 역사 소설에 주력하면서 민 족주의적이 됨
ㄴ. 역사 소설의 내용은 민족적이나 인물들은 자연주의적 인생관 지님
③ 정사적 역사소설 : 역사설의 기본자세인 사실에의 충실성, 최초로 도입(역사 소설에는 실록의 일부, 그에 대한 주석과 고증, 또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후 세의 해석 및 평가까지 실음)
마. 그의 문학적 공적
① 현대문학 개척의 공로자
② 낭만적인 문학 운동의 선창자
③ 민족적인 낭만적 경향 유지시킴
④ 최초의 역사 소설가인 동시에 전형적인 정사적 역사 소설가
⑤ 문학의 국가적 사회적 지위 향상
4. 현진건
가. 약전
1900년에 대구 출생, 43년 서울서 사망, 호는 빙허. 백조 동인으로 출발, 처녀작은 희생화 빈처이후 문단에서 인정받음. 염상섭과 시대 일보 매일 신보 기자 역임, 일제 말 모든 행동 중단
나. 작품 연보
1920년 : 희생화 빈처
1921년 : 술 권하는 사회
1922년 : 추락자 유전
1923년 : 지새는 안개 할머니의 죽음 까막잡기
1924년 : 운수 좋은 날 불 B사감과 러브레터
1925년 : 새빨간 웃음
1926년 : 신문지와 철창
1929년 : 적도 무영탑 흑치상지
다. 문학적 특성
기교적 우수 - 조화의 극치, 묘사의 절미, 기교의 절정
라. 경향
- 희생화제외하고 거의 전 작품이 사회주의 계열에 속함 → 현실주의적, 객관적 묘사
cf)
김동인, 염상섭
현진건
현실 폭로의 어두운 면에 강한 분석 추구
냉정한 관조
의미와 정서의 작품구성
기교로 구성
자연주의적인 방법에 적극적임
순수리얼리즘이 강함
마. 창작 과정
① 1단계 (1920년대 초기) : 체험 소설 → 1인칭의 ‘나’가 주인공이며 곧 작가 자신. 빈 처 술 권하는 사회 추락자 지새는 안개
② 2단계 (1925년 전후) : 객관 소설 → 3인칭의 제 3자적 입장에서 전개 할머니의 죽 음 운수 좋은날 불 B사감과 러브레터
③ 3단계 : 역사 소설 → 과거 사실을 통해 그 당시 민족 감정 표현 무영탑 흑치상 지
바. 선구적 공적과 문학사적 위치
① 근대 문학 전개
② 김동인과 함께 근대 단편소설 전개
③ 염상섭과 함께 사실주의 문학 전개
④ 문학에 있어서 기교의 가치 보여준 최초의 작가
5. 이기영
가. 약전
1896년 천안 출생, 호는 민촌 호서 은행 천안 지점 행원을 거쳐 1922년 동경 사립 정규 영어 학교에 입학했다 중퇴. 24년 옵바의 편지가 『개벽』현상문예에 당선되어 문단 데뷔. 곧바로 프로문학으로 전향, 후에 농촌문학에 전념. 815광복 후에 ‘조선 문학가 동맹’의 일원으로 민족주의와 민주주의에 항거. 괴뢰정권에서 요직 차지.
나. 경향 및 평가
① 프로문학 대표작 가로 빈궁의 비참과 그 책임이 부위 층에 있다는 주제로 글을 씀
② 대표작 : 鼠火 故鄕
6. 전영택, 나도향
가. 전영택
약전
아호는 늘봄, 1894년 진남포 출생, 평양 대성 학교, 동경 청산 학원 신학부, 미국 버클리의 퍼시픽 신학교 졸업. 1919년 창조동인으로 문단 활동 시작. 틈틈이 창조할동하며 협성여자신학교 교수 역임
경향
① 반계몽주의와 사실주의 영향받은 자연주의적 사실주의 요소 강함 : 천치냐천재냐 흰닭 등…
② 인도주의적 경향 농후 : 화수분
나. 나도향
약전 : 본명은 경손, 1902년 서울서 출생. 1926년 서울서 요절, 배재학당을 졸업하고 경성의전 중퇴, 1921년 백조동인에 참가한 것이 첫 출발, 동아일보에 장 편 환희를 연재하며 명성 날림
경향
① 애상적 감상주의 : 환희 젊은이의 시절 별을 안거든 우지나 말걸
② 객관적 사실주의 : 물레방아 뽕 벙어리삼룡이
평가 : 천재적 기능은 있었으나 미완성으로 끝난 도향이 미숙과 불완전성을 김동인 이 지적
7. 최학송, 이익상, 조포석, 주요섭
가. 최학송
호는 서해, 1901년 함북 출생, 1933년 서울서 사망, 일찍 양친을 잃고 유랑하며 많은 고생을 함. 이런 경험이 문학에 반영. 프로문학의 환영받음. 1924년 개벽에 고국이 입선되 출발, 다음해에 탈출기와 기아와 살육 발표. 호평 받음. 민혼 홍염이 있다.
나. 이익상
1895년 전북 출생, 1930년 사망. 생장 조선 문단 개벽 통해 작품 활동, 동아 일보 문예 부장과 매일 신보 편집장 역임, 1926년 전후해 어부
바. 그의 문학사적 위치
① 근대 한국 문학의 선험적 중심 인물
② 문예 비평 기초를 닦은 비평문학의 개척자
③ 최초의 사실주의 확립 작가
3. 박종화
가. 약전
1901년 서울 출생. 호는 월탄이고, 백조동인으로 출발, 1924년 흑방비곡으로 등단. 이후 10여년간 단편, 평론, 시, 수필 등 각 분야서 활동, 1932년 역사 소설 금삼의 피를 매일 신보에 연재. 일제에 항거하는 민족정신이 담긴 대춘부 전야 등의 발표. 광복 후 적색 문학 운동에 대항하는 민족 문학 운동의 지도자가 되어 ‘전국 문필가 협회’, ‘한국 문학가 협회’,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 등에서 중요 역할. 제 1회 에술원상 수여, 1957년 성균관대에서 명예 문학 박사 수여 받음.
나. 그의 선구적 공적
① 근대 문학 운동의 선험자
② 낭만주의의 강한 선창자
③ 역사 소설을 최초로 개척한 작가 : 목매는 여자(백조3호)
다. 문학 활동의 다양성
① 창작 영역의 다양성 - 시, 소설, 수필, 평론, 각 분야에 두루 걸침
ㄱ. 시 : 우윳빛 거리 밀실로 돌아가라 흑방비곡 대조선의 봄 청자부
ㄴ. 단편소설 : 목매는 여자 이년후 아버지와 아들 아리랑의 전개 은애전 논개등
ㄷ. 장편소설 : 금삼의 피 대춘부 전야 다정불심 홍경래 임진왜란 등…
ㄹ. 평론, 수필, 등 기타의 산문 : 대전 이후 신문예 운동 남행록 월탄문학선 사미인 파초와 사유 해방십년간의 문학 문 학예술의 본질 등
② 문단 외 사실적 참여 : 문학의 현실 배경인 사회적 국가적 활동에 몸소 참여
라. 그의 문학적 공적
① 표현 상의 특징 : 구체적 묘사 형식이 아닌 추상적 서술 형식 →개념적 용어로 구성( 초기 시편에 표현) 중기 이후 역사 소설엔 추상적인 서술체의 형식 으로 나타냄
② 경향상의 특성
ㄱ. 초기 시편에선 막연한 탐미적인 낭만적 경향 강했으나 역사 소설에 주력하면서 민 족주의적이 됨
ㄴ. 역사 소설의 내용은 민족적이나 인물들은 자연주의적 인생관 지님
③ 정사적 역사소설 : 역사설의 기본자세인 사실에의 충실성, 최초로 도입(역사 소설에는 실록의 일부, 그에 대한 주석과 고증, 또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후 세의 해석 및 평가까지 실음)
마. 그의 문학적 공적
① 현대문학 개척의 공로자
② 낭만적인 문학 운동의 선창자
③ 민족적인 낭만적 경향 유지시킴
④ 최초의 역사 소설가인 동시에 전형적인 정사적 역사 소설가
⑤ 문학의 국가적 사회적 지위 향상
4. 현진건
가. 약전
1900년에 대구 출생, 43년 서울서 사망, 호는 빙허. 백조 동인으로 출발, 처녀작은 희생화 빈처이후 문단에서 인정받음. 염상섭과 시대 일보 매일 신보 기자 역임, 일제 말 모든 행동 중단
나. 작품 연보
1920년 : 희생화 빈처
1921년 : 술 권하는 사회
1922년 : 추락자 유전
1923년 : 지새는 안개 할머니의 죽음 까막잡기
1924년 : 운수 좋은 날 불 B사감과 러브레터
1925년 : 새빨간 웃음
1926년 : 신문지와 철창
1929년 : 적도 무영탑 흑치상지
다. 문학적 특성
기교적 우수 - 조화의 극치, 묘사의 절미, 기교의 절정
라. 경향
- 희생화제외하고 거의 전 작품이 사회주의 계열에 속함 → 현실주의적, 객관적 묘사
cf)
김동인, 염상섭
현진건
현실 폭로의 어두운 면에 강한 분석 추구
냉정한 관조
의미와 정서의 작품구성
기교로 구성
자연주의적인 방법에 적극적임
순수리얼리즘이 강함
마. 창작 과정
① 1단계 (1920년대 초기) : 체험 소설 → 1인칭의 ‘나’가 주인공이며 곧 작가 자신. 빈 처 술 권하는 사회 추락자 지새는 안개
② 2단계 (1925년 전후) : 객관 소설 → 3인칭의 제 3자적 입장에서 전개 할머니의 죽 음 운수 좋은날 불 B사감과 러브레터
③ 3단계 : 역사 소설 → 과거 사실을 통해 그 당시 민족 감정 표현 무영탑 흑치상 지
바. 선구적 공적과 문학사적 위치
① 근대 문학 전개
② 김동인과 함께 근대 단편소설 전개
③ 염상섭과 함께 사실주의 문학 전개
④ 문학에 있어서 기교의 가치 보여준 최초의 작가
5. 이기영
가. 약전
1896년 천안 출생, 호는 민촌 호서 은행 천안 지점 행원을 거쳐 1922년 동경 사립 정규 영어 학교에 입학했다 중퇴. 24년 옵바의 편지가 『개벽』현상문예에 당선되어 문단 데뷔. 곧바로 프로문학으로 전향, 후에 농촌문학에 전념. 815광복 후에 ‘조선 문학가 동맹’의 일원으로 민족주의와 민주주의에 항거. 괴뢰정권에서 요직 차지.
나. 경향 및 평가
① 프로문학 대표작 가로 빈궁의 비참과 그 책임이 부위 층에 있다는 주제로 글을 씀
② 대표작 : 鼠火 故鄕
6. 전영택, 나도향
가. 전영택
약전
아호는 늘봄, 1894년 진남포 출생, 평양 대성 학교, 동경 청산 학원 신학부, 미국 버클리의 퍼시픽 신학교 졸업. 1919년 창조동인으로 문단 활동 시작. 틈틈이 창조할동하며 협성여자신학교 교수 역임
경향
① 반계몽주의와 사실주의 영향받은 자연주의적 사실주의 요소 강함 : 천치냐천재냐 흰닭 등…
② 인도주의적 경향 농후 : 화수분
나. 나도향
약전 : 본명은 경손, 1902년 서울서 출생. 1926년 서울서 요절, 배재학당을 졸업하고 경성의전 중퇴, 1921년 백조동인에 참가한 것이 첫 출발, 동아일보에 장 편 환희를 연재하며 명성 날림
경향
① 애상적 감상주의 : 환희 젊은이의 시절 별을 안거든 우지나 말걸
② 객관적 사실주의 : 물레방아 뽕 벙어리삼룡이
평가 : 천재적 기능은 있었으나 미완성으로 끝난 도향이 미숙과 불완전성을 김동인 이 지적
7. 최학송, 이익상, 조포석, 주요섭
가. 최학송
호는 서해, 1901년 함북 출생, 1933년 서울서 사망, 일찍 양친을 잃고 유랑하며 많은 고생을 함. 이런 경험이 문학에 반영. 프로문학의 환영받음. 1924년 개벽에 고국이 입선되 출발, 다음해에 탈출기와 기아와 살육 발표. 호평 받음. 민혼 홍염이 있다.
나. 이익상
1895년 전북 출생, 1930년 사망. 생장 조선 문단 개벽 통해 작품 활동, 동아 일보 문예 부장과 매일 신보 편집장 역임, 1926년 전후해 어부
추천자료
북한문학사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의 실학파와 연암문학)
근대산문에 대한 고찰
문학개론 - 근대의 책읽기 독서감상문
<먼 그대>의 작가 서영은의 작품 분석과 여성 작가들의 문학에 대해서
근대교육의 태동
[해석학]해석학의 의의, 문학적 해석학의 중요성, 문학적 해석학의 의미연관성과 인간적 이해...
미문학사(실용주의, Lost Generation, Lost Generation의 대표적 작가들)
2009년 2학기 일본문학의흐름2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작가들의 문학 특징과 시대적 의미)
[문학교육][반응중심문학교육]문학교육의 중요성, 문학교육의 교과서, 문학교육의 내용, 문학...
5. 18광주민주항쟁(5.18 광주민주화운동) 음악운동의 중요성과 조직, 5. 18광주민주항쟁(5.18...
장덕순의 한국문학사 읽고요약 정리.
스페인(에스파냐) 중남미 문화의 이해 - 스페인 문학을 이끌어나가는 작가들 (소설 & 시 ...
미국 문학사 개관과 미국 주요 작가들의 특징 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