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신(김수로왕계열-구지봉, 기주후루) ~ 14대 중애(仲愛)
일본서기에서의 시대로 추정한다면 (숭신~중애까지)
김수로왕과 깊은 관계
2) 4C말 ~ 5C말 : 가야계 → 전투적이며 군사적, 기마문화적인 가야계
(우기, 마구, 갑주) 순장풍습
기마문화의 부여가 가야로 가서 일본으로 건너감
⇒ 15대 응신(부여계 가야계 출신)
3) 5C말 ~ 7C : 백제계
⇒ 27대 게이타이(繼개체)계열 (곤지계열, 비유왕계열)
∴ 임나일본부란?
- 임나일본부에 대한 학설은 많다. 그 중에 김택균은 이렇게 생각한다. 백제 비유왕대에 가야지역 즉, 임나지역을 임나사현을 정복한다. 그리고 이 지역을 관찰하는 군을 보내 가야를 통치했다. 훗날 비유왕의 두 손자중 하나가 백제왕(503년)이 되고 또 하나의 계체는 507년 왜의 왕이 된다. 두 형제는 할아버지대에 정복한 임나지역에 대하여 연고권을 주장한다. 두 형제는(백제와 왜) 갈등을 하게되고 결국 백제 무녕왕에게 임나땅이 돌아가게 된다. 그러나 임나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하여 개체지역에서 수차례에 걸쳐 사신을 파견하게 된다. (임나지역을 관장하던 목만치(木萬治 목씨 : 백제인)가 왜로 가서 개체지역에 합류, 목씨 가문이 나중에 일본 최고 가문인 소사사문이 된다.) 이 사실을 일본서기에 임나일본부라고 써놓고 야마또노고도모고치(읽을때) = 야마또 (대화국 大和國 → 일본최초이름)
야마또 / 노고 / 도모고치 → 일본에서 파견한 사신을 의미
따라서 임나일본부는 일본에서 만든 통치기관이 아니라 게이타이 정부때 임나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파견한 왜의 사신이다.
일본서기에서의 시대로 추정한다면 (숭신~중애까지)
김수로왕과 깊은 관계
2) 4C말 ~ 5C말 : 가야계 → 전투적이며 군사적, 기마문화적인 가야계
(우기, 마구, 갑주) 순장풍습
기마문화의 부여가 가야로 가서 일본으로 건너감
⇒ 15대 응신(부여계 가야계 출신)
3) 5C말 ~ 7C : 백제계
⇒ 27대 게이타이(繼개체)계열 (곤지계열, 비유왕계열)
∴ 임나일본부란?
- 임나일본부에 대한 학설은 많다. 그 중에 김택균은 이렇게 생각한다. 백제 비유왕대에 가야지역 즉, 임나지역을 임나사현을 정복한다. 그리고 이 지역을 관찰하는 군을 보내 가야를 통치했다. 훗날 비유왕의 두 손자중 하나가 백제왕(503년)이 되고 또 하나의 계체는 507년 왜의 왕이 된다. 두 형제는 할아버지대에 정복한 임나지역에 대하여 연고권을 주장한다. 두 형제는(백제와 왜) 갈등을 하게되고 결국 백제 무녕왕에게 임나땅이 돌아가게 된다. 그러나 임나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하여 개체지역에서 수차례에 걸쳐 사신을 파견하게 된다. (임나지역을 관장하던 목만치(木萬治 목씨 : 백제인)가 왜로 가서 개체지역에 합류, 목씨 가문이 나중에 일본 최고 가문인 소사사문이 된다.) 이 사실을 일본서기에 임나일본부라고 써놓고 야마또노고도모고치(읽을때) = 야마또 (대화국 大和國 → 일본최초이름)
야마또 / 노고 / 도모고치 → 일본에서 파견한 사신을 의미
따라서 임나일본부는 일본에서 만든 통치기관이 아니라 게이타이 정부때 임나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파견한 왜의 사신이다.
추천자료
한국과 일본사이의 현안에 대해
일제시대의 법왜곡(교육법)
[사회과학] 임나일본부설에 대하여
역사왜곡과 한일관계
일본 역사 왜곡 임나일본부
고이즈미와 일본의 외교
현대 정치의 이해 - 일본의 보수화
[현대정치] 일본의 우경화
일본의 보수 우경화 현상의 원인과 실태
임나일본부설 한국역사 한국의역사와문화
[한국과 일본의 관계]한국과 일본의 관계(한일관계)와 APII, 북일수교, 한국과 일본의 관계(...
[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의 근거, 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의 제설, 임나일...
[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의 형성, 임나일본부설(임나일본부)의 견해, 임나일...
일본어 교과교재 및 연구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