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각과표현
2. 말하기와 듣기
3. 정보 수집하기
4. 국어 생활의 반성
2. 말하기와 듣기
3. 정보 수집하기
4. 국어 생활의 반성
본문내용
로 대부분의 정보를 인터넷에서 찾도록 한다.
②백과 사전에서 수집한 내용이 부족하면 다른 매체를 이용한다.
③ 도서관 같은, 자료가 많은 곳을 활용한다.
④혼자 찾기 어려운 정보가 있을 땐 친구들과 협동해서 정보를 찾는다.
⑤가급적 쉽게 접할 수 있는 매체로 정보 수집을 한 후 부족한 정보는 다른 매체를 활용한다.
[정보 수집 방법] ★★★
다음은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순서대로 나열하시오. (라) - (가) - (다) - (나)
(가) 정보 수집에 알맞은 매체를 선정한다.
(나) 수집한 정보에 출처를 적고, 이를 정리해 둔다.
(다) 매체 이용 방법을 알고, 매체에서 정보를 수집한다.
(라) 주제와 관련하여 정보를 어떻게 찾으면 좋을지 생각해 본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이놈들 덤비어라! 이 개 같은 놈들 같으니. 그래, 순이가 집이 없고 먹을 것이 없기로 너희 놈들이 아랑곳했니? 이 도야지 새끼 같은 놈들 같으니. 내 어머니가 먹을 것이 없기로 한 놈이나 아랑곳 했니? 이 죽일 놈들 같으니…….”
[언어 생활의 반성] ★
위 글에 사용된 언어 사용으로 보아 반성해야 할 점은? ④
① 은어 사용 ② 외래어 사용 ③ 유행어 사용
④ 비속어 사용 ⑤ 외국어 사용
[바르게 말하기] ★★
두 사람의 대화 중 고쳐야 할 부분을 찾아 고치시오.노트→공책, 밀크→우유,
대가리→머리
지윤:영어 노트를 좀 빌려 줘. 참, 너 매점 가는 길에 밀크 하나만 사다 줄래. 아, 과자도…….
정화 : 대가리가 나빠서 못 외우겠다. 천천히 하나씩 말해.
[은어] ★★★
다음 은어들로 보아서 은어를 만드는 과정이 어떠함을 알 수 있는가?말을 줄여서 만든다(약어로 만든다)
미추위 : 미팅 추진 위원회 학주 : 학생 주임
야자 : 야간 자율 학습 개성 : 개 같은 성질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48~52)
(가) 사실 한자 땅 이름의 역사는 일제 강점기 훨씬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신라 시대에는 비록 우리 글은 없었지만 한자를 써서 땅 이름을 우리말에 가깝도록 표기했다.
(나) 통일 신라 때, 중국의 제도를 받아들여 행정 구역 명칭을 한자로 바꾸면서, ㉠토박이 이름은 ‘족보’에 올라가지 못하고, 그저 입으로만 전해지게 되었다. 그 위에 한문을 우월하게 보는 문화까지 더해져서 말로는 토박이 땅 이름을, 표기는 한자를 사용하는 땅 이름의 이중 구조가 시작되었다.
(다) 우리 민족이 우리끼리 쓰는 우리 고유의 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복이라 생각한다. 한 민족이 같은 말을 쓰는 것만도 좋은 일이지만, 다른 어떤 민족도 이 말을 쓰지 않는 일은 더욱 좋은 일이다. 이는 우선 우리 한민족의 독자성을 높여 준다. 고유의 문자인 ( ㉡ )까지 가지고 있는 우리는 이점에서 선택된 민족이라 할 만하다.
(라) 한 개인이 자기 품격에 맞게 말씨 하나하나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듯, 한 나라는 자기 나라 말에 그만큼 신경을 써야 한다. 좋은 말을 가꾸어 만드는 것은 곧 좋은 나라를 만드는 일로 직통한다. 국어 사랑은 그야말로 나라 사랑인 것이다.
(마) “아이구 어머니! 왜 울 어머니를 잡아가요?”
용례는 어머니의 팔목을 잡은 중국인의 손을 물어뜯었다. 용례를 본 중국인은 문 서방의 아내는 놓고 문 서방의 딸 용례를 잡았다.
“이 개새끼야! 이것 놔라 ……, 응응 흑……, 아이구 아버지……. 엄마!”
[문단 이해] ★★
(가)~(마)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③
①(가):신라 시대의 땅 이름 표기 방법을 알 수 있다.
②(나):땅 이름의 이중 구조는 통일 신라 시대부터이다.
③(다):우리 고유의 말은 고유한 폐쇄성을 지니고 있어 불편하다.
④(라):국어 사랑은 곧 나라 사랑이다
⑤(마):욕을 통해 억눌린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문단 이해] ★
(가)~(마) 중 주로 글쓴이의 생각이 들어간 글끼리 묶인 것은? ③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나), (라) ⑤ (가), (나), (다)
{문단 이해] ★★
(라)의 내용과 관계 깊은 것은? ②
① 비속어는 언제나 나쁜 감정만 드러낸다.
② 한자이름의 순 우리말을 찾아 고쳐 본다.
③ 외국어를 사용하여 국어의 어휘를 늘려야 한다.
④ 은어는 강한 동료 의식을 주니까 사용해야 한다.
⑤ 개그맨이 유행시킨 말은 재미있으니까 널리 써도 좋다.
[구절의 이해] ★★
㉠의 예로 틀린 것은? ④
① 곰내② 도르메③ 따순개미
④ 웅천⑤ 숯고개
[( ) 채우기] ★
㉡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한글
②백과 사전에서 수집한 내용이 부족하면 다른 매체를 이용한다.
③ 도서관 같은, 자료가 많은 곳을 활용한다.
④혼자 찾기 어려운 정보가 있을 땐 친구들과 협동해서 정보를 찾는다.
⑤가급적 쉽게 접할 수 있는 매체로 정보 수집을 한 후 부족한 정보는 다른 매체를 활용한다.
[정보 수집 방법] ★★★
다음은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순서대로 나열하시오. (라) - (가) - (다) - (나)
(가) 정보 수집에 알맞은 매체를 선정한다.
(나) 수집한 정보에 출처를 적고, 이를 정리해 둔다.
(다) 매체 이용 방법을 알고, 매체에서 정보를 수집한다.
(라) 주제와 관련하여 정보를 어떻게 찾으면 좋을지 생각해 본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이놈들 덤비어라! 이 개 같은 놈들 같으니. 그래, 순이가 집이 없고 먹을 것이 없기로 너희 놈들이 아랑곳했니? 이 도야지 새끼 같은 놈들 같으니. 내 어머니가 먹을 것이 없기로 한 놈이나 아랑곳 했니? 이 죽일 놈들 같으니…….”
[언어 생활의 반성] ★
위 글에 사용된 언어 사용으로 보아 반성해야 할 점은? ④
① 은어 사용 ② 외래어 사용 ③ 유행어 사용
④ 비속어 사용 ⑤ 외국어 사용
[바르게 말하기] ★★
두 사람의 대화 중 고쳐야 할 부분을 찾아 고치시오.노트→공책, 밀크→우유,
대가리→머리
지윤:영어 노트를 좀 빌려 줘. 참, 너 매점 가는 길에 밀크 하나만 사다 줄래. 아, 과자도…….
정화 : 대가리가 나빠서 못 외우겠다. 천천히 하나씩 말해.
[은어] ★★★
다음 은어들로 보아서 은어를 만드는 과정이 어떠함을 알 수 있는가?말을 줄여서 만든다(약어로 만든다)
미추위 : 미팅 추진 위원회 학주 : 학생 주임
야자 : 야간 자율 학습 개성 : 개 같은 성질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48~52)
(가) 사실 한자 땅 이름의 역사는 일제 강점기 훨씬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신라 시대에는 비록 우리 글은 없었지만 한자를 써서 땅 이름을 우리말에 가깝도록 표기했다.
(나) 통일 신라 때, 중국의 제도를 받아들여 행정 구역 명칭을 한자로 바꾸면서, ㉠토박이 이름은 ‘족보’에 올라가지 못하고, 그저 입으로만 전해지게 되었다. 그 위에 한문을 우월하게 보는 문화까지 더해져서 말로는 토박이 땅 이름을, 표기는 한자를 사용하는 땅 이름의 이중 구조가 시작되었다.
(다) 우리 민족이 우리끼리 쓰는 우리 고유의 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복이라 생각한다. 한 민족이 같은 말을 쓰는 것만도 좋은 일이지만, 다른 어떤 민족도 이 말을 쓰지 않는 일은 더욱 좋은 일이다. 이는 우선 우리 한민족의 독자성을 높여 준다. 고유의 문자인 ( ㉡ )까지 가지고 있는 우리는 이점에서 선택된 민족이라 할 만하다.
(라) 한 개인이 자기 품격에 맞게 말씨 하나하나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듯, 한 나라는 자기 나라 말에 그만큼 신경을 써야 한다. 좋은 말을 가꾸어 만드는 것은 곧 좋은 나라를 만드는 일로 직통한다. 국어 사랑은 그야말로 나라 사랑인 것이다.
(마) “아이구 어머니! 왜 울 어머니를 잡아가요?”
용례는 어머니의 팔목을 잡은 중국인의 손을 물어뜯었다. 용례를 본 중국인은 문 서방의 아내는 놓고 문 서방의 딸 용례를 잡았다.
“이 개새끼야! 이것 놔라 ……, 응응 흑……, 아이구 아버지……. 엄마!”
[문단 이해] ★★
(가)~(마)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③
①(가):신라 시대의 땅 이름 표기 방법을 알 수 있다.
②(나):땅 이름의 이중 구조는 통일 신라 시대부터이다.
③(다):우리 고유의 말은 고유한 폐쇄성을 지니고 있어 불편하다.
④(라):국어 사랑은 곧 나라 사랑이다
⑤(마):욕을 통해 억눌린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문단 이해] ★
(가)~(마) 중 주로 글쓴이의 생각이 들어간 글끼리 묶인 것은? ③
① (가), (나) ② (나), (다) ③ (다), (라)
④ (나), (라) ⑤ (가), (나), (다)
{문단 이해] ★★
(라)의 내용과 관계 깊은 것은? ②
① 비속어는 언제나 나쁜 감정만 드러낸다.
② 한자이름의 순 우리말을 찾아 고쳐 본다.
③ 외국어를 사용하여 국어의 어휘를 늘려야 한다.
④ 은어는 강한 동료 의식을 주니까 사용해야 한다.
⑤ 개그맨이 유행시킨 말은 재미있으니까 널리 써도 좋다.
[구절의 이해] ★★
㉠의 예로 틀린 것은? ④
① 곰내② 도르메③ 따순개미
④ 웅천⑤ 숯고개
[( ) 채우기] ★
㉡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한글
추천자료
[즐거운생활]즐거운생활 교과 교육중점과 교육목표, 즐거운생활 교과의 수업과정, 즐거운생활...
[학교생활지도]학교생활지도의 정의와 목적, 필요성, 학생생활지도와 학생인권, 교우관계, 학...
[학교생활예절]학교생활예절(예의) 교내(교실), 학교생활예절(예의) 선생님(교사), 학교생활...
고등학교 국어생활 교과의 성격과 목표, 고등학교 국어생활 교과의 내용체계, 고등학교 국어...
슬기로운생활 교과의 성격과 목표, 슬기로운생활 교과의 변천 과정, 슬기로운생활 교과의 기...
학교생활지도의 의의, 학교생활지도의 목표, 학교생활지도의 계획, 학교생활지도의 기초생활...
기본생활습관지도의 개념과 중요성, 기본생활습관지도의 지도요점, 기본생활습관지도의 영역...
즐거운생활교육(수업, 학습)의 목표와 성격, 즐거운생활교육(수업, 학습)의 과정, 즐거운생활...
기본생활습관지도의 중요성과 목표, 기본생활습관지도의 덕목과 주안점, 기본생활습관지도의 ...
학교생활지도와 아동발달, 학교생활지도와 가정생활지도, 가정통신문, 학교생활지도와 학생인...
학교생활지도의 개념과 목적 및 기본방침, 학교생활지도와 예절지도, 학교생활지도와 탈선예...
즐거운생활교과의 성격, 즐거운생활교과의 목표, 즐거운생활교과의 교육중점, 즐거운생활교과...
[생활과건강] 1)건강한 생활양식 중 관련된 내용을 상세히 기술. 2) 효과에 관해 자신의 견해...
[생활과건강] 건강한 생활양식 중 관련된 내용을 상세히 기술. 제시한 내용 각각에 대한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