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1~67번
정답
정답
본문내용
② 석영
③ 암염 ④ 금강석
⑤ 장석
57. 다음은 여러 광물의 결정형을 나타낸 것이다. 흑운모의 결정형에 해당하는 것은 ? (마포, 숙명여)
58. 모스 굳기계의 표준 광물 중 가장 무른 광물과 가장 굳은 광물을 옳게 짝지은 것은 ? (당산서, 개원)
① 석고 - 석영 ② 금강석 - 활석
③ 석영 - 석고 ④ 장석 - 강옥
⑤ 활석 - 금강석
59. 조암 광물에 공통으로 들어 있는 성분 원소는 ? (구의, 한산)
① 산소, 규소 ② 마그네슘 , 철
③ 칼륨, 알루미늄 ④ 칼슘, 나트륨
⑤ 질소, 수소
60. 지각을 구성하는 원소 중 질량비가 가장 큰 것은 산소이다. 그 이유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 (동명여, 봉영여)
① 산소는 부피는 작으나 질량은 큰 원소이므로
② 산소는 생물의 생존에 꼭 필요한 원소이므로
③ 산소는 물이나 공기 중에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④ 암석을 이루는 광물들의 대부분이 산화물이므로
⑤ 산소는 지각뿐만 아니라 우주 어디에서나 가장 흔한 원소이므로
61. 다음 중 광물을 감별하는 기준이 아닌 것은 ? (신반포, 상계여)
① 색 ② 굳기
③ 쪼개짐 ④ 결정형
⑤ 결정의 크기
62. 광물의 색과 조흔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오주, 성내)
① 광물의 색과 조흔색은 항상 같다.
② 광물의 색과 조흔색은 항상 다르다.
③ 광물의 색과 조흔색은 다를 수도 있다.
④ 조흔색이 광물의 색보다 어둡게 나타난다.
⑤ 조흔색이 밝을수록 광물의 색은 밝다.
63.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 (광명북, 명지여)
① 모든 조암 광물에는 산소와 규소가 들어 있다.
② 굳기가 10인 금강석보다 더 단단한 물질이 있을 수 있다.
③ 장석과 흑운모는 덩어리의 색은 다르나 조흔색은 흰색으로 같다.
④ 모스 굳기계로 굳기가 7인 석영은 굳기가 2인 석고보다 3.5배 단단한 광물이다.
⑤ 어두운 색 광물은 밝은 색 광물보다 철, 마그네슘, 텅스텐 등의 원소가 많 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밀도가 크다.
64. 다음 중 쪼개짐이 없는 광물은 ? (동대사대부속, 양동)
① 각섬석 ② 흑운모
③ 방해석 ④ 정장석
⑤ 석영
65. 다음 중 광물의 표면에 빛을 비출 때 금속과 같은 광택이 나는 광물은 ?
① 방연석 ② 석영 (구룡, 한영)
③ 보크사이트 ④ 방해석
⑤ 장석
66. 다음 중 광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서일, 상계)
① 암석을 이루는 기본 단위의 물질이다.
② 여러 가지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③ 지금까지 알려진 광물은 약 2500여 종이나 된다.
④ 암석의 종류보다 광물의 종류가 훨씬 많다.
⑤ 같은 종류의 광물은 색깔, 굳기, 쪼개짐, 결정형 등이 같다.
67. 금, 황동석, 황철석은 모두 노란색으로 겉보기로는 구별하기 어렵다. 다음 중 이들을 가장 쉽게 구별하는 방법은 ? (상계여, 과천)
① 염산을 떨어뜨려 본다. ② 조흔판에 문질러 본다.
③ 망치로 깨뜨려 본다. ④ 칼로 긁어 본다.
⑤ 높은 곳에서 떨어뜨려 본다.
핵심기출문제 ………
1. ④
대기권의 각 층에 따라 기온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난다.
2. 성층권
오존층은 성층권에 존재하여 자외선을 흡수한다.
3. ⑤
A(대륙 지각), B(해양 지각), C(맨틀)
4. 모호면
지각과 맨틀 사이의 경계면을 모호면이라고 한다.
5. ③
①, ②, ④, ⑤는 맨틀의 상부 부분을 탐구하는 방법이다.
6. ①
지각의 구성 원소 중 산소가 46.6%로 가장 많다.
7. ⑤ 8. ⑤ 9. ②
10. ③
같은 무게를 가졌다고 해서 같은 광물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11. ①
문제에서 주어진 전개도는 육각 기둥의 전개도이다.
12. 조흔색
광물 가루의 색은 광물의 색과는 다를 수도 있는데, 이처럼 초벌구이 자기판에 긁어 알아 내는 광물 가루의 색을 조흔색이라고 한다.
13. ③
14. ③
석영은 쪼개짐이 없고, 장석과 방해석, 형석은 각각 두 방향, 세 방향, 네 방향으로 쪼개진다.
15. ①16. ③17. 석영 18. ②19. ④
20. ④21. ②
22. ⑤
달에는 공기가 없으므로 빛이 흩어지지 않아 하늘이 까맣게 보인다.
23. 열권
오로라 현상은 극지방의 고도 약 100km 이상의 열권에서 발생한다.
24. ③, ④
지진파의 연구로 지각 밑에 지진파가 더 빨리 전파되는 맨틀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25. ⑤
지구 내부로 들어갈수록 온도, 압력, 밀도가 점점 커진다.
26. ④
자철석은 광물의 색과 조흔색이 모두 흑색이다.
27. ③
굳기 : 석고 - 2, 방해석 - 3
28. ①, ⑤
석영과 감람석은 쪼개짐이 없으므로 깨짐이 있다고 표현한다.
29. ④
기둥 모양의 결정형을 갖는 광물은 각섬석(길다), 휘석(짧다)이 있다.
30. ②
주요 조암 광물의 조흔색은 흰색이다.
31. ⑤
철과 마그네슘은 광물의 색을 결정한다.
32. ②
흑운모의 굳기는 2.5~3 정도이다.
33. ①
판유리를 자르려면 판유리보다 굳기가 더 세야 한다.
34. ①35. ③36. ④37. ③
38. 금강석
정팔면체의 결정형은 금강석이다.
39. ④
활석(1도), 금강석(10도)
40. ③
방해석의 주성분은 탄산칼슘으로 묽은 염산과 반응한다.
41. 철, 마그네슘
철과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광물은 어두운 색깔을 나타낸다.
42. ①43. ④44. 장석 45. ②
46. ⑤47. ④48. ④
49. ④
이 광물은 4.5 보다 크고 5.5보다 작은 경도를 갖는다.
50. 흑운모
흑운모는 검은색을 띠고 있지만 조흔색은 흰색을 나타낸다.
51. ④
철과 마그네슘을 포함한 광물의 색은 어둡다.
52. 방해석
방해석은 묽은 염산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 기체를 발생시킨다.
53. ③54. ⑤55. ③
56. ②
그림과 같이 육각 기둥 모양의 결정형을 갖는 광물은 석영이다.
57. ①
58. ⑤
모스 굳기계는 가장 무른 활석의 굳기를 1로 하고, 가장 단단한 금강석의 굳기를 10으로 하여 굳기 순서를 정한 것이다.
59. ①60. ④61. ⑤62. ③
63. ④64. ⑤65. ①66. ④
67. ②내신문제연구소
③ 암염 ④ 금강석
⑤ 장석
57. 다음은 여러 광물의 결정형을 나타낸 것이다. 흑운모의 결정형에 해당하는 것은 ? (마포, 숙명여)
58. 모스 굳기계의 표준 광물 중 가장 무른 광물과 가장 굳은 광물을 옳게 짝지은 것은 ? (당산서, 개원)
① 석고 - 석영 ② 금강석 - 활석
③ 석영 - 석고 ④ 장석 - 강옥
⑤ 활석 - 금강석
59. 조암 광물에 공통으로 들어 있는 성분 원소는 ? (구의, 한산)
① 산소, 규소 ② 마그네슘 , 철
③ 칼륨, 알루미늄 ④ 칼슘, 나트륨
⑤ 질소, 수소
60. 지각을 구성하는 원소 중 질량비가 가장 큰 것은 산소이다. 그 이유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 (동명여, 봉영여)
① 산소는 부피는 작으나 질량은 큰 원소이므로
② 산소는 생물의 생존에 꼭 필요한 원소이므로
③ 산소는 물이나 공기 중에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④ 암석을 이루는 광물들의 대부분이 산화물이므로
⑤ 산소는 지각뿐만 아니라 우주 어디에서나 가장 흔한 원소이므로
61. 다음 중 광물을 감별하는 기준이 아닌 것은 ? (신반포, 상계여)
① 색 ② 굳기
③ 쪼개짐 ④ 결정형
⑤ 결정의 크기
62. 광물의 색과 조흔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오주, 성내)
① 광물의 색과 조흔색은 항상 같다.
② 광물의 색과 조흔색은 항상 다르다.
③ 광물의 색과 조흔색은 다를 수도 있다.
④ 조흔색이 광물의 색보다 어둡게 나타난다.
⑤ 조흔색이 밝을수록 광물의 색은 밝다.
63.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 (광명북, 명지여)
① 모든 조암 광물에는 산소와 규소가 들어 있다.
② 굳기가 10인 금강석보다 더 단단한 물질이 있을 수 있다.
③ 장석과 흑운모는 덩어리의 색은 다르나 조흔색은 흰색으로 같다.
④ 모스 굳기계로 굳기가 7인 석영은 굳기가 2인 석고보다 3.5배 단단한 광물이다.
⑤ 어두운 색 광물은 밝은 색 광물보다 철, 마그네슘, 텅스텐 등의 원소가 많 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밀도가 크다.
64. 다음 중 쪼개짐이 없는 광물은 ? (동대사대부속, 양동)
① 각섬석 ② 흑운모
③ 방해석 ④ 정장석
⑤ 석영
65. 다음 중 광물의 표면에 빛을 비출 때 금속과 같은 광택이 나는 광물은 ?
① 방연석 ② 석영 (구룡, 한영)
③ 보크사이트 ④ 방해석
⑤ 장석
66. 다음 중 광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서일, 상계)
① 암석을 이루는 기본 단위의 물질이다.
② 여러 가지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③ 지금까지 알려진 광물은 약 2500여 종이나 된다.
④ 암석의 종류보다 광물의 종류가 훨씬 많다.
⑤ 같은 종류의 광물은 색깔, 굳기, 쪼개짐, 결정형 등이 같다.
67. 금, 황동석, 황철석은 모두 노란색으로 겉보기로는 구별하기 어렵다. 다음 중 이들을 가장 쉽게 구별하는 방법은 ? (상계여, 과천)
① 염산을 떨어뜨려 본다. ② 조흔판에 문질러 본다.
③ 망치로 깨뜨려 본다. ④ 칼로 긁어 본다.
⑤ 높은 곳에서 떨어뜨려 본다.
핵심기출문제 ………
1. ④
대기권의 각 층에 따라 기온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난다.
2. 성층권
오존층은 성층권에 존재하여 자외선을 흡수한다.
3. ⑤
A(대륙 지각), B(해양 지각), C(맨틀)
4. 모호면
지각과 맨틀 사이의 경계면을 모호면이라고 한다.
5. ③
①, ②, ④, ⑤는 맨틀의 상부 부분을 탐구하는 방법이다.
6. ①
지각의 구성 원소 중 산소가 46.6%로 가장 많다.
7. ⑤ 8. ⑤ 9. ②
10. ③
같은 무게를 가졌다고 해서 같은 광물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11. ①
문제에서 주어진 전개도는 육각 기둥의 전개도이다.
12. 조흔색
광물 가루의 색은 광물의 색과는 다를 수도 있는데, 이처럼 초벌구이 자기판에 긁어 알아 내는 광물 가루의 색을 조흔색이라고 한다.
13. ③
14. ③
석영은 쪼개짐이 없고, 장석과 방해석, 형석은 각각 두 방향, 세 방향, 네 방향으로 쪼개진다.
15. ①16. ③17. 석영 18. ②19. ④
20. ④21. ②
22. ⑤
달에는 공기가 없으므로 빛이 흩어지지 않아 하늘이 까맣게 보인다.
23. 열권
오로라 현상은 극지방의 고도 약 100km 이상의 열권에서 발생한다.
24. ③, ④
지진파의 연구로 지각 밑에 지진파가 더 빨리 전파되는 맨틀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25. ⑤
지구 내부로 들어갈수록 온도, 압력, 밀도가 점점 커진다.
26. ④
자철석은 광물의 색과 조흔색이 모두 흑색이다.
27. ③
굳기 : 석고 - 2, 방해석 - 3
28. ①, ⑤
석영과 감람석은 쪼개짐이 없으므로 깨짐이 있다고 표현한다.
29. ④
기둥 모양의 결정형을 갖는 광물은 각섬석(길다), 휘석(짧다)이 있다.
30. ②
주요 조암 광물의 조흔색은 흰색이다.
31. ⑤
철과 마그네슘은 광물의 색을 결정한다.
32. ②
흑운모의 굳기는 2.5~3 정도이다.
33. ①
판유리를 자르려면 판유리보다 굳기가 더 세야 한다.
34. ①35. ③36. ④37. ③
38. 금강석
정팔면체의 결정형은 금강석이다.
39. ④
활석(1도), 금강석(10도)
40. ③
방해석의 주성분은 탄산칼슘으로 묽은 염산과 반응한다.
41. 철, 마그네슘
철과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광물은 어두운 색깔을 나타낸다.
42. ①43. ④44. 장석 45. ②
46. ⑤47. ④48. ④
49. ④
이 광물은 4.5 보다 크고 5.5보다 작은 경도를 갖는다.
50. 흑운모
흑운모는 검은색을 띠고 있지만 조흔색은 흰색을 나타낸다.
51. ④
철과 마그네슘을 포함한 광물의 색은 어둡다.
52. 방해석
방해석은 묽은 염산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 기체를 발생시킨다.
53. ③54. ⑤55. ③
56. ②
그림과 같이 육각 기둥 모양의 결정형을 갖는 광물은 석영이다.
57. ①
58. ⑤
모스 굳기계는 가장 무른 활석의 굳기를 1로 하고, 가장 단단한 금강석의 굳기를 10으로 하여 굳기 순서를 정한 것이다.
59. ①60. ④61. ⑤62. ③
63. ④64. ⑤65. ①66. ④
67. ②내신문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