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지우의 시 세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황지우의 시 세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시작하는 글

Ⅱ. 생애

Ⅲ. 시세계
1. 제 1기 : 저항으로써의 형식 파괴
2. 제 2기 : 선에 대한 지향
3. 제 3기 : 90년대의 쓸쓸함

Ⅳ. 시 감상

Ⅴ.나오는 글

본문내용

관을 실천할 때, ‘화엄의 세계’에로 다가 갈 수 있다. 그러므로 그의 식물성의 세계관은 그의 시의식이 도달하고 싶어 하는 이상이자, ‘화엄 세상’의 내용을 이룬다. 그의 시세계에서 식물성의 이미지가 숱하게 등장하는 것은 그 때문이며, 그리하여 그의 시에는 ‘식물’들이 많이 등장한다. 그리고 그것들은 서로 긴밀히 관계 맺으며, 아름답게 변주한다. 그런 식물의 이미지는 또 다른 이미지인 ‘길’이미지와 밀접한 관련 속에 있다.
그대에게 이르기 위해
나에게서 뻗쳐나오는 온갖 마음,
길을 만들어 놓았지
-「기을날의 내마음」『게 눈 속의 연꽃』
여기서의 ‘길’은 식물성의 세계에 이르는 매개일 뿐이므로, ‘길’ 자체에 대해서 옳고 그름을 시비하거나 추함과 아름다움을 따질 수는 없는 노릇이다. 다시 말하면 황지우의 시에서 ‘길’ 혹은 ‘길 이미지’는 매개이지 그 자체가 내용이 아닌 것이다. ‘길’이 도달하려는 세계의 내용은 ‘식물성의 세계’이자 ‘화엄의 세계’이며, ‘바다의 세계’이다. 따라서 ‘식물 이미지’들의 짜임이 황지우의 세계관을 구성한다.
3. 제 3기 - 90년대의 쓸쓸함.
세 번째 주제이며 가장 최근의 시집인 『어느 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않아 있을 거다』는 『게 눈 속의 연꽃』이후 8년 만인 98년에 출간되었다. 이 시집은 독특하게도 출간된 지 한 달 만에 5쇄를 넘기며, 2만8천 부가 팔려나가는 인기를 누렸으며 종국에는 수십만 부의 판매 부수를 기록해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물론 이 시집의 주 구독층은 그의 시를 읽으며 20대를 보낸 3.40대들이었다. 이에 대해 황지우는 이렇게 이야기 했다.
지금의 30, 40대는 얼마나 기막힌 삶을 살았는가. 20대 때는 겉으로는 과격했지만 속으로는 괴로웠고, 이념 과잉 시대를 거쳐 이제는 그와 정반대인 시장에 내동댕이쳐졌다. 한때 내 노래를 들어주었던 그들을 찾아가서 80년대의 자학적인 통쾌함이 아니라, 90년대의 쓸쓸함을 이야기함으로써 삶에 대한 위안이 되었으면 한다. 강준만, <황지우>,『시사인물사전6』,인물과 사상사, 2000, 162쪽.
이번 시집에서 황지우는 이데올로기가 사라진 사회 속의 삶이 얼마나 황폐한지를 보여주고 있으며, 꿈이 좌절되고 배반당하는 현실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있다. 폭압적인 정권에 이념적인 기반을 갖고 대항했던 80년대의 상황과는 너무나 다르게 현실 안주의 가치관과 허위의식이 사회 구성원들에게 무차별적적으로 확산되어가는 현실 속에서 느끼는 충격과 허탈감을 시인은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
소비에트가 무너지던 날 난, 난 / 光州空港에서 일간스포츠를 고르고 있었지. / 내가 이 삶을 통째로 배신할 수 있는 기회가 / 없어져버렸다고 할까? 처음엔 내가 마흔 살이 / 되었다는 것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드라고. / “개좆 같은 세기”가 되어버린 거 있지. / 물론 나더러 평양가서 살라 하면 못 살지이.
-「우울한 거울 2」일부 『어느 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않아 있을 거다』
그의 나이 40에 소비에트가 무너져 버렸다. 80년대 그에게 기성의 권위를 마음껏 두들겨 부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주었던 이데올로기의 붕괴는 그에게 큰 충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위 시의 화자는 “삶을 통째로 배신할 수 있는 기회”가 상실되어버린 느낌과 자신의 나이가 40살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싶지 않다는 생각을 동시에 표현한다. “삶을 통째로 배신할 수 있는 기회”는 변혁의 희망을 의미하며 40살의 나이가 끔찍한 것은 이러한 변혁의 희망을 갖기에는 늦은 나이라는 인식을 바탕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실감과 자괴감의 정황에서 삶의 문제는 황지우의 시적편력의 과정에서 중심적인 자리에 들어선 것이다. 제 1기시에서의 ‘
  • 가격1,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11.20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32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