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농구형 게임의 개관
1. 게임 활동의 개관
2. 구기 활동의 개관
3. 게임 활동 (농구형 게임)의 개관
Ⅱ. 농구형 게임의 구조
Ⅲ. 농구형 게임의 목표
Ⅳ. 농구형 게임의 지도 계획
Ⅴ. 농구형 게임의 교수․학습 지도 계획안
가. 단원의 계열
나. 교수․학습 지도 계획
Ⅵ. 농구형 게임의 평가
Ⅶ. 농구형 게임의 참고 사항
1. 게임 활동의 개관
2. 구기 활동의 개관
3. 게임 활동 (농구형 게임)의 개관
Ⅱ. 농구형 게임의 구조
Ⅲ. 농구형 게임의 목표
Ⅳ. 농구형 게임의 지도 계획
Ⅴ. 농구형 게임의 교수․학습 지도 계획안
가. 단원의 계열
나. 교수․학습 지도 계획
Ⅵ. 농구형 게임의 평가
Ⅶ. 농구형 게임의 참고 사항
본문내용
밖에서 슈터(shooter)에 파울하고 볼이 득점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3개의 프리 드로가 주어진다. 만일 득점이 되었을 때에는 1개의 프리 드로를 추가로 준다. 또한 반원 안에서 슛 동작 중에 파울의 경우 골이 성공되더라도 추가로 1개의 프리 드로가 주어지지만 불성곡이면 프리 드로만 2개 주어진다.
차징(charging): 상대편에게 부딪치는 것.
블로킹(blocking): 팔·어깨·무릎 등을 넓게 벌려서 상대편의 진행을 방해할 때.
▶ 인텐셔널 파울(intentional foul) : 고의적으로 범한 파울로써 상대편에게 두 개의 프리 드로가 주어진다.
▶ 멀티플 파울(multipli foul)
한 쪽 팀의 2명 이상의 선수가 거의동시에 같은 상대에게 퍼스널 파울을 범했을 때, 파울이 각 선수에게 주어지고 파울을 당한 선수에게 원 앤드 원, 두 개 또는 세 개의 프리 드로가 경우에 따라 주어짐.
▶ 점프 보올이 되는 경우
양 팀의 선수가 한 손 혹은 두 손으로 동시에 공을 붙잡을 때(5초간)
각 하프(half)의 시작 시에 주어진다.
더블 파울(double foul)이 있었을 때
아웃 볼을 어느 편에게 주어야 좋을 지 모를 때에
공이 바스켓의 지주에 끼어서 밑으로 떨어지지 않을 때
▶ 그 외의 규칙
오펜스(offence)시 공의 방해
제한 구역내에 있는 공격 팀의 선수는 공이 링(ring) 바로 위에서 떨어지고 있을 때 바스켓(basket)이나 백 보드(back board)에 손을 대거나 잡을 수 없다. 이 때는 골(goal)이 성공되어도 득점으로 하지 않고 바이올레이션(violatioin)이 생긴 지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사이드 라인 밖에서 반대팀의 드로 인으로 플레이 된다.
디펜스(diffence)시 공의 방해
수비하는 선수는 상대팀의 선수가 슛한 공이 링의 높이에 또는 바스켓 안에 있을 때 손을 바스켓에 대거나 망 또는 공에 대지 못한다. 벌칙으로는 프리 드로인 경우에는 1점을, 필드 슛인 때에는 2점을 상대방 팀에 가산한다.
30초 룰
각 팀은 공의 소유권을 갖게 된 다음 30초 이내에 골을 성공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만일, 30초 기간 중에 공이 경계선 밖으로 나갔을 때는 경우에 따라 나머지 시간만을 공격하게 된다. 또한 각 팀에게 공의 소유권이 주게 될 경우에는 새로이 30초의 시간이 더 주어진다. 그러나 슛한 후 다시 공을 잡았을 때에는 30초의 시간을 다시 계산한다.
10초 룰
백 코트에서 공을 가진 팀은 그 공을 가진 순간부터 10초 이내에 그 공을 프런트코트(front court)로 가게끔 하여야 한다. 공이 프런트 코트에 들어갔다 함은 그 공이 센터 라인 너머의 코트에 닿거나 센터 라인 너머의 코트와 신체를 접하고 있는 선수에게 닿았을 때를 말한다.
하프라인 반칙
프런트 코트에서 잡은 팀은 그 공이 백 코트(back court)로 들어오게 하여서는 안된다. 벌칙으로서 공은 사이드 라인의 중간점으로부터 드로 인을 위하여 상대편에게 주어지며 그 사람은 코트의 어느 지점에 있는 선수에게 패스할 수 있다.
심판의 볼 핸드링(ball handling)
심판이 선수에게 공을 건네주는 것을 핸들링(handling)이라고 하며 사이드 라인 밖에서 드로잉(throwing)할 때 심판으로부터 공을 받는 선수는 5초 이내에 경기장 안에 있는 다른 선수를 향하여 드로(throw) 하든지 바운드 또는 굴리든지 하여야 한다. 엔드 라인 아웃(end line out)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프리 드로(free throw)시 심판의 볼 핸들링 후 5초 이내에 제1구 드로를 하여야 한다.
세븐 파울(seven foul) 또는 팀 파울(team foul)
타임 아웃(time out) 3분 전부터 일어나는 퍼스널 파울에 대해 프리 드로가 주어지던 3분전 룰이 폐지되고, 그 대신 전.후반 각각 10개 이상의 팀 파울을 일으킬 경우 8번째의 파울에 대해서는 슛동작이 아닌 경우에라도 원 앤드 원(one and one) 또는 아웃 오브 바운스(out of bounce)를 선택해서 공격할 수 있다.
2. 농구형 게임에 대해
농구형 게임은 영역 침벙형 게임의 한 유형이다. 즉, 손을 사용하여 공을 몰아 상대방의 영역을 침벙하며 곧 에어리어나 골대 등에 득점을 하는 게임이다. 이를 위해 상대방의 움직임을 방해하거나, 공과 같은 물체를 선점하기 위해 공간을 확보하거나 유리한 공간으로 이동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일정한 공간에서 게임이 이루어지므로 신체 접촉이 매우 심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학생들로 하여금 규칙을 잘 준수하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또,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공격과 수비 전략을 세우도록 지도한다.
3. 공튀기기
1) 개념
공튀기기는 한 손 또는 양 손으로 지면을 향해 밀고, 튀겨 올라오는 공을 계속 다시 미는 움직임이다. 기본적인 공튀기기 움직임은 다음과 같은 요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한 발을 다른 발 앞으로 약간 내놓고 좌우로 약간 벌린다.
공의 크기에 따라 한 손 또는 두 손을 바꿔가며 튀긴다.
상체는 앞으로 기울여 체중이 앞으로 향하도록 한다.
공을 튀길 때에는 손가락 끝을 사용한다.
2) 연습 방법
공을 가슴높이, 엉덩이 높이, 무릎높이에서 튀겨본다.
제자리에서 속도를 달리하여 튀긴다.
이동하면서 몸을 앞쪽으로 기울여 허리높이에서 튀긴다.
장애물을 피해 튀긴다.
두 사람이 한 모둠이 되어 튀기기 연습을 한다.
3) 지도상의 유의점
공을 아래로 민다.
손가락 끝을 사용한다.
공의 방향으로 follow-through를 한다.
오른손으로 공을 다룰 땐 왼발을 앞으로 내딛고, 왼손으로 공을 다룰 땐 오른발을 내민 다.
가능한 공이 상대방에게 멀리 떨어지도록 한다.
몸의 자세를 낮추기 위해 무릎을 굽히고, 고개를 든다.
4. 간이 농구의 규칙
간이 농구의 규칙은 학교나 학급사정에 맞게 규정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것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참여인원 : 2~10명
게임시간 : 5~20분
득점방법 : 자유투 1점, 그 외는 2점
반칙 : 상대를 밀거나 잡았을 때, 상대를 쓰러뜨렸을 때, 더블 드리블을 했을 때, 다리를 걸었을
차징(charging): 상대편에게 부딪치는 것.
블로킹(blocking): 팔·어깨·무릎 등을 넓게 벌려서 상대편의 진행을 방해할 때.
▶ 인텐셔널 파울(intentional foul) : 고의적으로 범한 파울로써 상대편에게 두 개의 프리 드로가 주어진다.
▶ 멀티플 파울(multipli foul)
한 쪽 팀의 2명 이상의 선수가 거의동시에 같은 상대에게 퍼스널 파울을 범했을 때, 파울이 각 선수에게 주어지고 파울을 당한 선수에게 원 앤드 원, 두 개 또는 세 개의 프리 드로가 경우에 따라 주어짐.
▶ 점프 보올이 되는 경우
양 팀의 선수가 한 손 혹은 두 손으로 동시에 공을 붙잡을 때(5초간)
각 하프(half)의 시작 시에 주어진다.
더블 파울(double foul)이 있었을 때
아웃 볼을 어느 편에게 주어야 좋을 지 모를 때에
공이 바스켓의 지주에 끼어서 밑으로 떨어지지 않을 때
▶ 그 외의 규칙
오펜스(offence)시 공의 방해
제한 구역내에 있는 공격 팀의 선수는 공이 링(ring) 바로 위에서 떨어지고 있을 때 바스켓(basket)이나 백 보드(back board)에 손을 대거나 잡을 수 없다. 이 때는 골(goal)이 성공되어도 득점으로 하지 않고 바이올레이션(violatioin)이 생긴 지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사이드 라인 밖에서 반대팀의 드로 인으로 플레이 된다.
디펜스(diffence)시 공의 방해
수비하는 선수는 상대팀의 선수가 슛한 공이 링의 높이에 또는 바스켓 안에 있을 때 손을 바스켓에 대거나 망 또는 공에 대지 못한다. 벌칙으로는 프리 드로인 경우에는 1점을, 필드 슛인 때에는 2점을 상대방 팀에 가산한다.
30초 룰
각 팀은 공의 소유권을 갖게 된 다음 30초 이내에 골을 성공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만일, 30초 기간 중에 공이 경계선 밖으로 나갔을 때는 경우에 따라 나머지 시간만을 공격하게 된다. 또한 각 팀에게 공의 소유권이 주게 될 경우에는 새로이 30초의 시간이 더 주어진다. 그러나 슛한 후 다시 공을 잡았을 때에는 30초의 시간을 다시 계산한다.
10초 룰
백 코트에서 공을 가진 팀은 그 공을 가진 순간부터 10초 이내에 그 공을 프런트코트(front court)로 가게끔 하여야 한다. 공이 프런트 코트에 들어갔다 함은 그 공이 센터 라인 너머의 코트에 닿거나 센터 라인 너머의 코트와 신체를 접하고 있는 선수에게 닿았을 때를 말한다.
하프라인 반칙
프런트 코트에서 잡은 팀은 그 공이 백 코트(back court)로 들어오게 하여서는 안된다. 벌칙으로서 공은 사이드 라인의 중간점으로부터 드로 인을 위하여 상대편에게 주어지며 그 사람은 코트의 어느 지점에 있는 선수에게 패스할 수 있다.
심판의 볼 핸드링(ball handling)
심판이 선수에게 공을 건네주는 것을 핸들링(handling)이라고 하며 사이드 라인 밖에서 드로잉(throwing)할 때 심판으로부터 공을 받는 선수는 5초 이내에 경기장 안에 있는 다른 선수를 향하여 드로(throw) 하든지 바운드 또는 굴리든지 하여야 한다. 엔드 라인 아웃(end line out)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프리 드로(free throw)시 심판의 볼 핸들링 후 5초 이내에 제1구 드로를 하여야 한다.
세븐 파울(seven foul) 또는 팀 파울(team foul)
타임 아웃(time out) 3분 전부터 일어나는 퍼스널 파울에 대해 프리 드로가 주어지던 3분전 룰이 폐지되고, 그 대신 전.후반 각각 10개 이상의 팀 파울을 일으킬 경우 8번째의 파울에 대해서는 슛동작이 아닌 경우에라도 원 앤드 원(one and one) 또는 아웃 오브 바운스(out of bounce)를 선택해서 공격할 수 있다.
2. 농구형 게임에 대해
농구형 게임은 영역 침벙형 게임의 한 유형이다. 즉, 손을 사용하여 공을 몰아 상대방의 영역을 침벙하며 곧 에어리어나 골대 등에 득점을 하는 게임이다. 이를 위해 상대방의 움직임을 방해하거나, 공과 같은 물체를 선점하기 위해 공간을 확보하거나 유리한 공간으로 이동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일정한 공간에서 게임이 이루어지므로 신체 접촉이 매우 심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학생들로 하여금 규칙을 잘 준수하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또,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공격과 수비 전략을 세우도록 지도한다.
3. 공튀기기
1) 개념
공튀기기는 한 손 또는 양 손으로 지면을 향해 밀고, 튀겨 올라오는 공을 계속 다시 미는 움직임이다. 기본적인 공튀기기 움직임은 다음과 같은 요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한 발을 다른 발 앞으로 약간 내놓고 좌우로 약간 벌린다.
공의 크기에 따라 한 손 또는 두 손을 바꿔가며 튀긴다.
상체는 앞으로 기울여 체중이 앞으로 향하도록 한다.
공을 튀길 때에는 손가락 끝을 사용한다.
2) 연습 방법
공을 가슴높이, 엉덩이 높이, 무릎높이에서 튀겨본다.
제자리에서 속도를 달리하여 튀긴다.
이동하면서 몸을 앞쪽으로 기울여 허리높이에서 튀긴다.
장애물을 피해 튀긴다.
두 사람이 한 모둠이 되어 튀기기 연습을 한다.
3) 지도상의 유의점
공을 아래로 민다.
손가락 끝을 사용한다.
공의 방향으로 follow-through를 한다.
오른손으로 공을 다룰 땐 왼발을 앞으로 내딛고, 왼손으로 공을 다룰 땐 오른발을 내민 다.
가능한 공이 상대방에게 멀리 떨어지도록 한다.
몸의 자세를 낮추기 위해 무릎을 굽히고, 고개를 든다.
4. 간이 농구의 규칙
간이 농구의 규칙은 학교나 학급사정에 맞게 규정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것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참여인원 : 2~10명
게임시간 : 5~20분
득점방법 : 자유투 1점, 그 외는 2점
반칙 : 상대를 밀거나 잡았을 때, 상대를 쓰러뜨렸을 때, 더블 드리블을 했을 때, 다리를 걸었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