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력의 6대 요소와 측정방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체력의 6대 요소와 측정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근력의 측정

2. 근지구력의 측정

3. 순발력의 측정

4. 민첩성의 측정

5. 유연성의 측정

6. 평형성의 측정

본문내용

수직 파워 점프 테스트
① vertical jump 측정판, 분필가루, 삼각자를 준비한다.
② 피검자는 듣는 쪽 팔을 머리 위로 쭉 펴서 검사대 위에 선다.
③ 양발의 뒤꿈치를 들고 무릎은 굽힌 상태에서 사용하지 않는 팔은 허리 뒤에 고정시킨다.
④ 팔을 들고 쭉 뻗은 상태에서 완전히 무릎을 굽혀 쪼그린 자세를 취한다.
⑤ 이 자세에서 위로 점프하여 수직도판에 표시한다.
⑥ 시작할 때 높이와 최대로 도약한 높이 간의 거리를 계측한다.
5) 버티컬 암풀 테스트
① 등반용 밧줄, 표시테이프, 줄자를 준비한다.
② 피검자는 38.10cm 높이의 의자에 앉는다.
③ 엉덩이를 들지 않고 로프를 가능한 높이 잡는다.
④ 두 다리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 준비자세를 취한다.
⑤ 검사자는 위쪽에 위치한 손 바로 위의 로프에 테이프로 표시한다.
⑥ 피검자는 가능한 로프를 힘껏 당겨 최대한 높은 곳을 잡고, 이때 검사자는 위쪽 손 위에 테이프로 표시한다.
⑦ 처음에 표시한 테이프와 두 번째 표시한 테이프간의 거리를 기록한다.
6) 메디신 볼 던지기
① 피검자는 의자에 앉아 6파운드의 메디신 볼을 가슴 앞에서 잡고 준비자세를 취한다.
② 보조자는 피검자의 몸이 움직이지 않도록 가슴의 위치에 끈을 돌려서 의자의 뒤쫏에 고정시킨다.
③ 신호에 의해 몸의 동요없이 두 팔의 힘으로 메디신 볼을 앞으로 밀어 던진다.
④ 측정자는 의자의 끝 표시선으로부터 볼이 떨어진 곳까지의 거리를 계측한다.
⑤ 3회 실시하여 가장 멀리 던진 거리를 기록하되, 반올림하여 cm 단위로 기록한다.
7) 소프트볼 던지기
① 피검자는 지름 2m의 원 안에서 자유로운 도움닫기와 동작으로 소프트볼을 멀리 던진다.
② 피검자는 볼을 던질때 또는 던진 후에 원의 선으로 밟거나 넘어져서는 안되며, 볼을 던지고 나서 모든 동작이 완료된 후 원의 뒤쪽으로 나온다.
③ 볼을 던진 거리는 중심각이 30도가 되는 반원 안에 떨어진 지점과 원주의 내측까지의 최간거리를 계측한다.
④ 2회 실시하여 가장 멀리 던진 거리를 m단위로 기록한다.
8) 핸드볼 던지기
① 직경 2m 원 안에 공을 잡고서서 원의 중심각이 30도가 되는 구역 내에 공을 던진다.
② 투구 중이나 투구 후에 원을 밟거나 넘겨 밟아서는 안된다.
③ 던진 후에는 정지상태가 되어 원의 뒤로 물러 나온다.
④ 투구 거리는 볼이 낙하한 지점에서 원주 내측까지의 거리를 계측한다.
⑤ 투구의 자세는 자유이지만 가능한 밑에서 위로 던지는 것은 피한다.
⑥ 2회 실시하여 좋은 기록을 m 단위로 기록한다.
4. 민첩성의 측정
민첩성이란 재빠른 동작으로 신체를 잘 조정하고 부드럽게 반응할 수 있는 능력 혹은 신체동작에 있어서 전신의 동작이나 부분적인 동작을 신속하게 변경한다든지 운동방향을 재빠르게 바꿀 수 있는 능력이다.
1) 전신반응검사
① 대상자는 종아리에서 표면 전극법에 의한 근전도 기록과 스트레인 게이지에 따라 몸무게 부하곡선을 오실로그래프에 기록한다.
② 대상자는 양 발을 모으고 무릎을 약간 굽힌 상태에서 점프대에 선다.
③ 빛 또는 소리의 자극이 나오는 즉시 점프대에서 양 발을 발판 좌우로 벌린다.
2) 선택반응검사
① 바닥 중앙선을 중심으로 좌우 각 6.4m 거리까지 라인을 표시하고 중앙선에 대상자가 준비한다.
② 검사자의 지시하는 손 방향에 따라 피검자는 질주하여 옆줄을 넘는 순간의 시간을 측정한다.
③ 좌우 5회씩 10회 실시하며 방향 선택은 검사자가 임의로 한다.
④ 시행 간의 휴식 시간은 30~60초 정도로 한다.
3) 손반응검사
① 눈금이 표시된 막대가 벌린 손 사이를 낙하하도록 준비한다.
② 막대가 손가락 사이를 지나면 엄지와 4개의 손가락으로 막대를 잡아 눈금을 읽는다.
③ 20회 실시하여 상위기록 5개와 하위기록 5개를 제외하고 나머지 10개의 점수를 평균한다.
4) 발반응검사
① 탁자 위에 다리를 올리고 걸터앉아 발과 벽면에 약간의 사이를 두고 그 사이에 눈금이 표시된 막대를 박하하도록 준비한다.
② 막대가 낙하하면 발가락이나 발바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막대를 정지시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한다.
③ 20회를 실시하여 상위기록 5개와 하위기록 5개를 제외하고 나머지 10개의 점수를 평균한다.
5) 탭핑검사
① 책상과 의자를 설치하고 앉은 자세에서 종이에 지름 15cm의 원 안에 점을 찍는다.
② 10초 동안의 점의 수를 측정하지만 원 바깥쪽에 찍은 점은 무효로 한다.
6) 사이드 스텝 검사
① 양 발 사이에 중앙선을 두고 좌우 라인으로 양 발을 수평적으로 이동한다.
② 이동시 발은 선을 밟아도 되지만 착지 상태에서는 선을 넘지 않거나 밟으면 반칙으로 한다.
③ 좌우 라인으로 이동할 때 발바닥은 지면을 스치면서 한다.
7) 부메랑 달리기 검사
① 좌측 출발점에서 시작하여 사방에 있는 반환점을 우측으로만 돌고 3번째 반환 지점을 돌 때는 중앙 지점을 돌아 종료지점으로 들어온다.
② 반환 지점을 건드리면 반칙으로 한다.
8) 왕복달리기
① 5m 거리에 출발선과 반환선을 긋는다.
② 측정 거리에 따라 2회 또는 4회 왕복으로 빨리 달리도록 한다. 이때 피검자는 반환선을 완전히 통과한 후 출발선으로 돌아와야 한다.
9) 점프 스텝 검사
① 점프대 위에 서서 준비 자세를 취한다.
② 양 발을 모아 점프대 앞으로 뛰어 내리고, 즉시 뒤로 점프하여 위로 양발을 모아 오른다.
③ 다시 뒤로 점프하여 뛰어내린 즉시 앞으로 점프하여 점프대 위로 양 발을 모아 오른다.
④ 좌우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지만 자세는 항상 정면을 향한다.
⑤ 전후좌우 점프 순서가 틀리거나 양 발이 동시에 실시되지 않으면 반칙으로 한다.
5. 유연성의 측정
유연성이란 신체의 유연한 정도로서 “하나 혹은 복수 관절의 운동 가능한 생리적 최대범위”로 정의된다. 유연성은 신체 운동을 수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운동 상해의 예방에도 유효하다.
1) 윗몸 앞으로 굽히기
① 양 손을 모으고 무릎은 굽히지 않은 상태에서 윗 몸만 굽힌다.
② 측정 시 윗 몸의 반동은 배제한다.
③ 앞으로 굽힐 때 머리는 양 다리사이에 위치하도록 완전히 숙인다.
2) 엎드려 윗몸 젖히기
① 양 손을 허리 뒤로 잡고 윗 몸을 들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11.21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41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