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높이뛰기/멀리뛰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육상/높이뛰기/멀리뛰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높이뛰기
(1) 역사
(2) 특성과 효과
(3) 과학적 원리
(4) 높이뛰기 구분동작
(5) 도움닫기
(6) 공중동작
(7) 착지
(8) 경기규정
(9) 경기방법
(10) 장대높이뛰기

2. 멀리뛰기
(1) 역사
(2) 특성과 효과
(3) 과학적 원리
(4) 체력요소
(5) 부분동작
(6) 도움닫기
(7) 발구르기
(8) 공중동작
(9) 착지
(10) 경기방법과 규칙

본문내용

도움닫기와 발구름에서 얻은 속도와 도약력을 최대로 이용하여 멀리뛰는 능력을 겨루는 경기이다. 속도를 너무 발리 하면 발구름에 어려움이 있고 발구름에 치중하면 속도가 떨어져 좋은 기록을 낼 수 없다. 부분적으로 나누면 도움닫기, 발구르기, 공중동작, 착지의 4단계 동작이 연속적, 순간적으로 이루어진다. 멀리뛰기를 통하여 근력, 순발력, 민첩성, 조정력 등의 체력을 발달시킬 수 있으며, 집중력과 인내심을 기를 수 있다.
(3) 과학적 원리
도움닫기에서 얻은 가속도와 강한 발구름에 의한 반작용의 힘으로 최대한 멀리 뛰어야 하는 관성운동이다. 발구르기를 한 다음에는 중력의 영향으로 신체의 무게 중심은 포물선 운동을 하게 된다. 물체는 공기의 저항과 던져지는 물체의 무게중심의 높이를 무시하면 45° 위로 던져 올렸을 때 가장 멀리 날아가지만, 멀리뛰기에서는 뛴거리, 발구르기할 때와 착지할 때의 신체의 무게 중심의 높이를 고려하여 약 25°~30°의 각도로 뛰는 것이 좋다. 또한 다리를 최대한 몸의 중심에 가깝게 끌어올려야만 멀리뛸 수 있다.
(4) 체력요소
- 필요한 체력요소
스피드
주로 도약 거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발구름 직후의 초속도와 도약각이기 때문에 빠른 스피드를 낼 수 있어야 한다.
근 력
전신의 근육이 탄력이 있고 집중해서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는 힘
순발력
발구름할 때 순간적으로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는 힘
(5) 부분동작
멀리뛰기는 4개의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구 분
도움닫기
발구르기
공중동작
착 지
멀리뛰기
40%
30%
15%
15%
(6) 도움닫기
- 도움닫기
도움닫기는 멀리뛰기 기록의 80%를 좌우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도움닫기 거리는 신장, 체력의 정도, 가속능력등을 고려하여 정해야 한다.
출발에서는 경쾌한 리듬으로 달리고 차차 가속하면서도 리듬 감각을 살려 더욱 스피드를 내면서 발구르기에 대처하는 도움닫기를 해야 한다.
도움닫기 거리는 20~30m가 적당하며, 발구르기의 5~6보 앞에서 최대 스피 드에 이르도록 도움닫기 거리를 정한다.
- 도움닫기 거리정하기
도움닫기 거리는 신장, 체력의 강도, 가속능력 등을 고려하여 정해야 한다. 도움닫기 출발후 20m 정도에서 최고 스피드에 도달하기 때문에 도움닫기 거리는 12~15보 이상 달려야 스피드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거리 정하는 방법으로는 구름판으 밟고 도움닫기 반대 방향으로 출발하여 18보~20보를 달려 표시한다. 표시 지점에서 실제 도움닫기를 하여 발구름한다. 몇 번 되풀이하여 자신에게 맞는 도움닫기 거리를 정한다.
(7) 발구르기
- 방법
구름판을 밟을 때에는 상체를 위로 끌어올리는 기분으로 힘껏 차고 오르는 것이 중요하다.상반신을 세우고 계단을 오르내리는 기분으로하면 발구름에 힘이쓰여지고 발구름의 요령을 쉽게 터득할 수 있다.발구름을 할 때에는 무릎을 구부린 채로 발 뒤꿈치로 강하고 신속하게 밟아야 한다. 마지막 1보는 보폭을 약간 좁히고, 발바닥 전체로 구름판을 짧고 강하게 찬다. 발구르기 1~2보 전부터 몸의 중심을 낮추고, 도약할 준비를 한다. 이상적인 각도는 40°~42°이다. 팔은 앞에서 뒤로 휘두르는 동작을 하여 어깨를 충분히 끌어올려야 한다.
(8) 공중동작
공중동작에는 다리모아뛰기, 젖혀뛰기와 가위뛰기가 있다. 젖혀뛰기는 몸의 균형을 유지하거나, 착지할 때 두다리를 앞으로 내밀기가 편리해 초보자에게 유리하다.
- 젖혀뛰기
젖혀뛰기에서는 몸이 최고점에 도달했을 때 양 팔을 뒤쪽에서 위로 뻗어 올리고, 가슴을 크게 젖히며, 허리와 배를 펴서 몸이 활 모양이 되게 한다. 몸이 내려오기 시작하면 반동을 이용하여 젖혔던 허리를 재빠르게 굽히며 무릎을 가슴에 끌어당기고 종아리와 발을 편다.
- 가위뛰기
도움닫기 속도가 빠른 사람이 유리하며, 배우기는 어렵지만 좀더 멀리뛸 수 있다.공중에서 양 다리를 앞뒤로 한번 또는 한번 반 별렸다가 모으고, 팔을 교대로 흔들어 올렸다 내리는 방법이다. 발구름 후 몸이 공간에 떠 있기 때문에 새로운 힘을 더 발휘할 수는 없지만 발구르기에서 얻은 힘을 활용하여 거리를 얻는 데 필요한 동작을 해야 한다. 공중동작은 착지 동작의 준비 과정이므로 안정된 공중 동작은 좋은 착지 동작을 하는데 필요하다.
(9) 착지
발 동작을 이용하여 상체를 앞으로 숙인다. 이때 팔은 뒤로 강하게 휘두른다. 상체를 앞으로 숙이는 동작과 함께 허리를 꺽는 듯한 자세를 취한다. 어느 한 쪽이 빠르거나 느리면 불리하다. 발뒤축이 지면에 닿는 순간 무릎과 발목의 힘을 빼고 무릎을 굽힌다. 이때, 손을 뒤로 짚지 않도록 유의한다.공중 도약각도가 너무 낮으면 착지할 때 몸이 앞으로 넘어지고, 공중 도약 각도가 너무 높으면 착지할 때 몸이 뒤로 넘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착지동작에 따라 20~30cm의 차이가 날 수도 있다.
(10) 경기방법과 규칙
- 경기방법
인원/기록
경 기 방 법
8명이하
모든 경기자가 6회의 시기를 실시하여 가장 좋은 기록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9명이상
3번의 시기를 통해 상위 8명을 선발한 다음(예선), 8명이 다시 3회의 시기를 하여(결승) 총 6회의 기시 중 가장 좋은 기록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같은기록
두 번째 기록으로 순위를 결정하고 두 번째 기록도 같으면 세 번째 기록을 비교하여 순위를 정한다.
- 무효
무효가 선언되면 한번의 시기를 한 것으로 간주한다.
구름판을 밟지 않은 경우
구름판을 넘어서 발구르기를 한 경우
착지 후 반동으로 착지점보다 뒤쪽의 모래 사장 밖으로 나갔을 때 그 시기 는 무효가 된다.
시기 시작 신호 후 1분 30초 내에 시기를 시작해야 한다.
착지 시 한 발은 모래판에 다른 한 발은 모래판 바깥쪽에 위치했을 때
- 거리계측
뛴 거리는 구름판에서 가장 가까운 착지덤까지의 직선 거리를 잰다.
- 멀리뛰기 기록의 기본 요소
멀리뛰기의 기록은 이지거리, 비행거리, 착지거리로 구성된다.
구 분
의 미
인지거리
구름판에서 발이 튀어오르는 순간 발 끝과 신체 중심과의 수평거리
비행거리
구름판에서 발이 튀어오르는 순간 신체 중심의 수평 지점에서 착지 시 신체 중심과의 거리
착지거리
착지 순간 신체 중심의 수평지점에서 발뒤꿈치와의 거리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4.26
  • 저작시기200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29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