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경기체가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문과학] 경기체가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들어가는말

2.본론
1)경기체가
1.1 경기체가의 명칭
1.2 경기체가의 형성
1.3 경기체가의 작자층 및 작품의 내용적 성격
1.4 경기체가의 형식
1.5 경기체가와 고려가요의 공통점 및 차이점
2)한림별곡
2.1 원문과 해석
2.2 작품배경
2.3 한림별곡 해성
2.4 작자층
3)한림별곡과 쌍화점과의 연계성
3.1쌍화점 원문과 해석
3.2 한림별곡&쌍화점의 연계성
4)고려가요의 특징과 사뇌시/시조와의 비교
4.1 고려가요 특징
4.2 고려가요와 사뇌시 비교
4.3 고려가요와 시조 비교
5)관동별곡과 죽계별곡 원문과 해석 간략한 내용

3.결론
맺음말

본문내용

竹葉酒 梨花酒 五加皮酒
鸚鵡盞 琥珀盃예 득브어
위 勸上ㅅ 景 긔 엇더니잇고
(葉)劉伶陶潛 兩仙翁의 劉伶陶潛 兩仙翁의
위 醉혼ㅅ 景 긔 엇더니잇고
제5장
紅牧丹 白牧丹 丁紅牧丹
紅芍藥 白芍藥 丁紅芍藥
御柳玉梅 黃紫薔薇 芷芝冬柏
위 間發ㅅ 景 긔 엇더니잇고
(엽)合竹桃花 고온 두분 合竹桃花 고온 두분
위 相映ㅅ 景 긔 엇더니잇고
제6장
阿陽琴 文卓笛 宗武中琴
帶御香 玉肌香 雙伽倻ㅅ고
金善琵琶 宗智稽琴 薛原杖鼓
위 過夜ㅅ 景 긔 엇더니잇고
(葉)一枝紅의 빗근 笛吹 一枝紅의 빗근 笛吹
위 듣고아 드러지라
제7장
蓬萊山 方丈山 瀛洲三山
此三山 紅縷閣 仙子
綠髮額子 錦繡帳裏 珠簾半捲
위 登望五湖ㅅ 景 긔 엇더니잇고
(葉)綠楊綠竹 栽亭畔애 綠楊綠竹 栽亭畔애
위 반갑두셰라
제8장
唐唐唐 唐楸子 莢남긔위
紅실로 紅글위 요이다
혀고시라 밀오시라 鄭少年하
위 내가논 갈셰라
(葉)削玉纖纖 雙手ㅅ 길헤 削玉纖纖 雙手ㅅ 길헤
위 携手同遊ㅅ 景 긔 엇더니잇고
이 노래는 경기체가의 효시로, 고려 고종 때 한림원(왕의 명을 관장하는 관아)의 여러 유학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총 8장으로, 각 연마다 일경(一景)을 배치하고 있다. 각 장은 전대절과 후소절로 나뉘어가며 공통된 후렴구가 있다. 음보는 3음보가 중심인데 3.3.4, 3.3.4, 4.4.4의 기본 율조로 후세에 가사 탄생의 바탕이 되었다.
제 1장은 당대 문인의 시부, 제 2장은 한당서(당서와 한서. ‘당서’는 당나라 역사를 적은 책으로서, 구당서가 잇다. ‘한서’는 반고가 편찬한 한나라 역사책)를 비롯한 중국의 전적, 제 3장은 진경서9한자체의 한가지)와 비백서 등의 명필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제 4장은 황금구와 백자주 등의 명주, 제 5장은 모란 등의 화훼, 제 6장은 아양금과 문탁적(악기 이름) 등의 음악, 제 7장은 봉래산 등의 누각, 제 8장은 추천(그네)의 순서로 되어 있다.
이 노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는데, 고려 고종 때 무신정권의 호화스러움이 극에 달한 생활을 읊은 것으로, 당시 문인들의 생활상과는 거리가 먼 무신 집권자들에게 아부하기 위해 자신들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고 보는 견해도 잇다.
그러나 당시 권좌를 꿈꾸는 신흥 사대부들으 활기찬 감정과 의식 세계를 표현하고 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며, 이 작품의 구체적인 배경을 새로 과거게 합격한 문인들이 최충헌으 l집에서 부른 찬가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이 노래는 매 장 제 4행의 ‘위 .... 경긔 엇더니잇고’라는 구절 때문에 ‘경기체가’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다. 경기체가라는 독특한 형식으로 지어진 최고(最古)의 현존 작품으로서, 경기체가의 전범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w가자는 첫장에 나오는 사람들로 추정할 수 있는데, <고려사 악지>의 기록에 ‘제한림’으로 되어있으며, 금의의 공거문인들로도 볼 수 있다. 이 노래 첫장에 등장하는 문인들은 모두 당대에 실재했던 인물들로서 한결같이 같은 시대의 벼슬길에서 활약했다.
※ 각 장의 주제
1장 : 명문장과 금의의 문하생 찬양
2장 : 지식 수련과 독서에의 자긍(自矜)
3장 : 유명 서체와 명필 찬양
4장 : 상층 계급의 주흥(酒興)과 풍류
5장 : 온갖 꽃의 아름다움 찬양
6장 : 흥겨운 주악과 악기 소리의 아름다움
7장 : 선경의 미녀와 꾀꼬리의 자태
8장 : 그네뛰기의 즐거운 광경과 풍류 생활의 찬양
2) 작품 배경
고려 고종 때는 안으로는 무신의 집권과 밖으로는 몽고의 침입 등으로 국토가 유린되는 내우외환의 다난한 시대였으나, 귀족 계급의 문화는 난숙기에 달하였다. 최충헌은 정권이 안정되자 문인들을 적극 등용해서 나라를 다스리는 데 도움을 받고, 문학이 융성하도록 했다. 그래서 모여든 사람들은 등용되었다고 기뻐했을 뿐만 아니라, 자기대로 포부를 지니고 재능을 자랑하는 데 거리낄 것이 없다고 생각했다. 이 노래는 이런 분위기에서 흥청거리는 놀이를 벌이면서 지은 것이다.
또한 이 노래의 배경에 대해 견해를 달리하는 이들도 있다. 고려 중기이후 무신들이 정권을 잡게 되자 문신들은 산야에 묻혀 기로회(耆老會)니 죽림칠현(竹林七賢)이니 하는 교계(交契)를 맺으면서 유흥과 퇴폐적인 향락에 빠지게 되었는데, 여기서 발생되었다고 보는 견해다.
3) 작자층
한림제유 : <악장가사>에 한림제유가 지었다고 기록되어있다. ‘한림’이란 조저에서 벼슬을 하면서 문학적인 재능을 발휘하는 선비를 일컫는 말이고, 여러 유학자라는 뜻의 ‘제유’와 같은 말이다.
4) 한림별곡과 쌍화점의 관련성
① 쌍화점 원문
솽화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11.22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48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