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경기체가 전체적 특징
개념
형성 및 장르적 성격<경기체가 속요 비교>
미적경향
형식
경기체가 향유의 실제
경기체가 작품
2. 작품 살펴보기
♪ 한림별곡
♪ 관동별곡
죽계별곡
♬ 오륜가
개념
형성 및 장르적 성격<경기체가 속요 비교>
미적경향
형식
경기체가 향유의 실제
경기체가 작품
2. 작품 살펴보기
♪ 한림별곡
♪ 관동별곡
죽계별곡
♬ 오륜가
본문내용
들 또한 이에 동조했다. 이들은 경기체가의 엄격한 형식을 준수하며, 음악과 문학을 일치시키고자 했다. 경기체가는 우리말 노래이면서도 한자어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서 악장과 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둘 다 한시에서 국문 시가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경기체가는 크게 보아 세 부류로 나눌 수 있다.
1) 악장의 구실을 하는 경기체가
새 왕조의 건국을 찬양하고, 윤리적인 질서를 수립하자는 경기체가는 기능을 보아 악장이라 하겠으나 형식은 다른 부류와 구별되지 않는다. 권근의 <霜臺別曲>상대별곡은 악장 구실을 하는 나라 노래 경기체가의 첫 작품이며 변계량의 <華山別曲>화산별곡과 예조에서 지은 <歌聖德>가성덕 <祝聖壽>축성수 <配天曲>배천곡 등이 있다.
2) 승려의 노래인 경기체가
가사는 원래 승려의 노래였는데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사대부의 노래로 바뀌었고, 경기체가는 사대부의 노래이기만 했던 것이 승려의 노래로도 이용되었다. 불교 승려의 노래는 시대에 따라서 양상이 달라졌는데 불교가 억불정책 탓에 수세에 몰리자 유교의 가치를 인정하고, 불교가 유교와 그리 다르지 않다는 주장으로 불교를 옹호했는데 경기체가의 수용을 그런 각도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조선 초기 불교 지도자였던 기화의 <彌陀讚><安養讚><彌陀經讚> 의상의 <西方歌> 등이 있다.
3) 사대부의 자기 생활 표현을 위한 사적인 문학
이런 전례는 이미 안축의 <關東別曲>과 <竹溪別曲>에서 볼 수 있던 바이며, 자연에 은거하는 생활을 문제삼고, 윤리도덕을 내세우는 주제도 담아, 경기체가는 사대부의 관심사를 여러 각도로 충실하게 나타냈다. 유영의 <九月山別曲>, 정극인의 <不憂軒歌>, 방성건의 <錦城別曲>, 김구의 <花田別曲> 등이 있다. 이황이 한림별곡류라 일컬은 경기체가는 교만하게 방탕하며 비루하게 희롱하는 것을 일삼은 노래이니 군자가 숭상할 바가 아니라고 한 말은 <花田別曲> 에 해당된다 하겠다. 경기체가는 조선 전기 사대부시가의 대표적인 갈래로 자리잡았지만, 생활이나 심성을 조용하게 살피며 가다듬기에 부적당해 결국 사라지지 않을 수 없었다.
경기체가 작품 : (한림별곡, 관동별곡, 죽계별곡, 오륜가 작품 살펴보기)
작 품
작 가
연 대
장
격
수록문헌
1
한림별곡
한림제유
고려 고종 3(1216)경
8
정격
악장가사
2
관동별곡
안축
고려 충숙왕 17(1330)경
9
변격
근제집
3
죽계별곡
안축
고려 충숙~충목왕 (1330~1348)
5
4
상대별곡
권근
조선 태조~태종 (1392~1409)
5
악장가사
5
구월산별곡
세종 5(1423)
4
정격
문화권씨보
6
화산별곡
변계량
세종 7(1425)
8
세종실록
악장가사
7
가성덕
미상
세종 11(1429)
6
세종실록
8
오륜가
미상
세종 14(1432)경
6
악장가사
9
연형제곡
미상
5
10
서방가
의상화상
세종
10
염불작법
11
미타찬
기화
세종대(代)
10
함허당어록
12
안양찬
10
변격
13
미타경찬
10
14
기우목동가
지은
세조대(代)
12
적멸시중론
15
불우헌곡
정극인
성종 3(1472)
6
불우헌집
16
금성별곡
박성건
성종 11(1480)
6
오한공유고
17
배천곡
미상
성종 23(1492)
3
성종실록
18
화전별곡
김구
중종(1519~1531)
6
파격
자암집
19
태평곡
주세붕
중종 36(1541)경
5
무릉세고
20
도동곡
6
21
육현가
6
22
엄연곡
7
23
독락팔곡
권호문
명종~선조(1567~1587)
7
송암속집
2. 작품살펴보기
한림별곡(翰林別曲)
元淳文 仁老詩 公老四六
李正言 陳翰林 雙韻走筆
沖基對策 光鈞經義 良經詩賦
위 試場ㅅ景 긔 엇더하니잇고
(葉)琴學士의 玉荀文生 琴學士의 玉筍文生
위 날조차 몃부니잇고
1장
유원순의 문장, 이인로의 시, 이공로의 사륙변려문 /
이규보와 진화의 쌍운주필/ 유충기의 대책문, 민광균의 경서풀이, 김양경의 시와 부아 /과거 시험장의 모습,그것이 어떠합니까 ?/금의가 배출한 많은 제자들, 금의가 배출한 많은 제자들 /아, 나까지 모두 몇 분입니까
唐漢書 莊老子 韓柳文集
李杜集 蘭臺集 白樂天集
毛詩尙書 周易春秋 周戴禮記
위 註조쳐 내 외온景 긔 엇더하니잇고 (葉)太平廣記 四百餘券 太平廣記 四百餘券
위 歷覽ㅅ景 긔 엇더하니잇고
2장
당한서, 장자 노자, 한유 유종원의 문집/ 이백 두보의 시집, 난대집, 백거이의 문집 /시경 서경, 주역 춘추, 대대례, 소대례를 /아, 주(註)마저 줄곧 외우는 모습, 그것이 어떠합니까? /태평광기 400여 권, 태평광기 400여 권 /아, 두루 읽는 모습, 그것이 어떠합니까?
眞卿書 飛白書 行書草書
篆書 層書 虞書南書
羊鬚筆 鼠鬚筆 빗기드러
위 딕논景 긔 엇더하니잇고
吳生劉生 兩先生의 吳生劉生 兩先生의
위 走筆ㅅ景 긔 엇더하니잇고
3장
안진경체, 비백서, 행서, 초서 /전주체, 과두체, 우세, 남체를 /양털붓, 쥐털붓을 비스듬히 들어/ 아, 내려찍는 모습, 그것이 어떠합니까?/오생 유생 두 선생의, 오생 유생 두 선생의/아, 붓 놀리는 모습, 그것이 어떠합니까?
黃金酒 柏子酒 松酒醴酒
竹葉酒 梨花酒 五加皮酒
鸚鵡盞 琥珀盃예 가득 브어
위 勸上ㅅ景 긔 엇더하니잇고
(葉)劉伶陶潛 兩仙翁의 劉伶陶潛 兩仙翁의
위 醉ㅅ景 긔 엇더하니잇고
4장
황금주, 백자주, 송주, 예주/ 죽엽주, 이화주, 오가피주를/앵무잔, 호박잔에 가득 부어 /아, 올리는 모습, 그것이 어떠합니까?/유영 도잠 두 선옹의, 유영 도잠 두 선옹의 /아, 취한 모습, 그것이 어떠합니까?
紅牧丹 白牧丹 丁紅牧丹
紅芍藥 白芍藥 丁紅芍藥
御柳玉梅 黃紫薔薇 芷芝冬柏
위 間發ㅅ景 긔 엇더하니잇고
合竹桃花 고온 두분 合竹桃花 고온 두분
위 相映ㅅ景 긔 엇더하니잇고
5장
분홍 모란, 흰 모란, 진분홍 모란/ 분홍 작약, 흰 작약, 진분홍 작약/ 석류 매화, 노란 장미, 자색 장미, 지지꽃, 동백꽃들이 /아, 사이 사이 핀 모습, 그것이 어떠합니까? /대나무 복사꽃처럼 어울리는 고운 두 분, 대나무 복사꽃처럼 어울리는 고운 두 분 /아, 서로 바라보는 모습, 그것이 어떠합니까 ?
.
阿陽琴 文卓笛 宗武中琴
帶御香 玉肌香 雙伽倻
1) 악장의 구실을 하는 경기체가
새 왕조의 건국을 찬양하고, 윤리적인 질서를 수립하자는 경기체가는 기능을 보아 악장이라 하겠으나 형식은 다른 부류와 구별되지 않는다. 권근의 <霜臺別曲>상대별곡은 악장 구실을 하는 나라 노래 경기체가의 첫 작품이며 변계량의 <華山別曲>화산별곡과 예조에서 지은 <歌聖德>가성덕 <祝聖壽>축성수 <配天曲>배천곡 등이 있다.
2) 승려의 노래인 경기체가
가사는 원래 승려의 노래였는데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사대부의 노래로 바뀌었고, 경기체가는 사대부의 노래이기만 했던 것이 승려의 노래로도 이용되었다. 불교 승려의 노래는 시대에 따라서 양상이 달라졌는데 불교가 억불정책 탓에 수세에 몰리자 유교의 가치를 인정하고, 불교가 유교와 그리 다르지 않다는 주장으로 불교를 옹호했는데 경기체가의 수용을 그런 각도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조선 초기 불교 지도자였던 기화의 <彌陀讚><安養讚><彌陀經讚> 의상의 <西方歌> 등이 있다.
3) 사대부의 자기 생활 표현을 위한 사적인 문학
이런 전례는 이미 안축의 <關東別曲>과 <竹溪別曲>에서 볼 수 있던 바이며, 자연에 은거하는 생활을 문제삼고, 윤리도덕을 내세우는 주제도 담아, 경기체가는 사대부의 관심사를 여러 각도로 충실하게 나타냈다. 유영의 <九月山別曲>, 정극인의 <不憂軒歌>, 방성건의 <錦城別曲>, 김구의 <花田別曲> 등이 있다. 이황이 한림별곡류라 일컬은 경기체가는 교만하게 방탕하며 비루하게 희롱하는 것을 일삼은 노래이니 군자가 숭상할 바가 아니라고 한 말은 <花田別曲> 에 해당된다 하겠다. 경기체가는 조선 전기 사대부시가의 대표적인 갈래로 자리잡았지만, 생활이나 심성을 조용하게 살피며 가다듬기에 부적당해 결국 사라지지 않을 수 없었다.
경기체가 작품 : (한림별곡, 관동별곡, 죽계별곡, 오륜가 작품 살펴보기)
작 품
작 가
연 대
장
격
수록문헌
1
한림별곡
한림제유
고려 고종 3(1216)경
8
정격
악장가사
2
관동별곡
안축
고려 충숙왕 17(1330)경
9
변격
근제집
3
죽계별곡
안축
고려 충숙~충목왕 (1330~1348)
5
4
상대별곡
권근
조선 태조~태종 (1392~1409)
5
악장가사
5
구월산별곡
세종 5(1423)
4
정격
문화권씨보
6
화산별곡
변계량
세종 7(1425)
8
세종실록
악장가사
7
가성덕
미상
세종 11(1429)
6
세종실록
8
오륜가
미상
세종 14(1432)경
6
악장가사
9
연형제곡
미상
5
10
서방가
의상화상
세종
10
염불작법
11
미타찬
기화
세종대(代)
10
함허당어록
12
안양찬
10
변격
13
미타경찬
10
14
기우목동가
지은
세조대(代)
12
적멸시중론
15
불우헌곡
정극인
성종 3(1472)
6
불우헌집
16
금성별곡
박성건
성종 11(1480)
6
오한공유고
17
배천곡
미상
성종 23(1492)
3
성종실록
18
화전별곡
김구
중종(1519~1531)
6
파격
자암집
19
태평곡
주세붕
중종 36(1541)경
5
무릉세고
20
도동곡
6
21
육현가
6
22
엄연곡
7
23
독락팔곡
권호문
명종~선조(1567~1587)
7
송암속집
2. 작품살펴보기
한림별곡(翰林別曲)
元淳文 仁老詩 公老四六
李正言 陳翰林 雙韻走筆
沖基對策 光鈞經義 良經詩賦
위 試場ㅅ景 긔 엇더하니잇고
(葉)琴學士의 玉荀文生 琴學士의 玉筍文生
위 날조차 몃부니잇고
1장
유원순의 문장, 이인로의 시, 이공로의 사륙변려문 /
이규보와 진화의 쌍운주필/ 유충기의 대책문, 민광균의 경서풀이, 김양경의 시와 부아 /과거 시험장의 모습,그것이 어떠합니까 ?/금의가 배출한 많은 제자들, 금의가 배출한 많은 제자들 /아, 나까지 모두 몇 분입니까
唐漢書 莊老子 韓柳文集
李杜集 蘭臺集 白樂天集
毛詩尙書 周易春秋 周戴禮記
위 註조쳐 내 외온景 긔 엇더하니잇고 (葉)太平廣記 四百餘券 太平廣記 四百餘券
위 歷覽ㅅ景 긔 엇더하니잇고
2장
당한서, 장자 노자, 한유 유종원의 문집/ 이백 두보의 시집, 난대집, 백거이의 문집 /시경 서경, 주역 춘추, 대대례, 소대례를 /아, 주(註)마저 줄곧 외우는 모습, 그것이 어떠합니까? /태평광기 400여 권, 태평광기 400여 권 /아, 두루 읽는 모습, 그것이 어떠합니까?
眞卿書 飛白書 行書草書
篆書 層書 虞書南書
羊鬚筆 鼠鬚筆 빗기드러
위 딕논景 긔 엇더하니잇고
吳生劉生 兩先生의 吳生劉生 兩先生의
위 走筆ㅅ景 긔 엇더하니잇고
3장
안진경체, 비백서, 행서, 초서 /전주체, 과두체, 우세, 남체를 /양털붓, 쥐털붓을 비스듬히 들어/ 아, 내려찍는 모습, 그것이 어떠합니까?/오생 유생 두 선생의, 오생 유생 두 선생의/아, 붓 놀리는 모습, 그것이 어떠합니까?
黃金酒 柏子酒 松酒醴酒
竹葉酒 梨花酒 五加皮酒
鸚鵡盞 琥珀盃예 가득 브어
위 勸上ㅅ景 긔 엇더하니잇고
(葉)劉伶陶潛 兩仙翁의 劉伶陶潛 兩仙翁의
위 醉ㅅ景 긔 엇더하니잇고
4장
황금주, 백자주, 송주, 예주/ 죽엽주, 이화주, 오가피주를/앵무잔, 호박잔에 가득 부어 /아, 올리는 모습, 그것이 어떠합니까?/유영 도잠 두 선옹의, 유영 도잠 두 선옹의 /아, 취한 모습, 그것이 어떠합니까?
紅牧丹 白牧丹 丁紅牧丹
紅芍藥 白芍藥 丁紅芍藥
御柳玉梅 黃紫薔薇 芷芝冬柏
위 間發ㅅ景 긔 엇더하니잇고
合竹桃花 고온 두분 合竹桃花 고온 두분
위 相映ㅅ景 긔 엇더하니잇고
5장
분홍 모란, 흰 모란, 진분홍 모란/ 분홍 작약, 흰 작약, 진분홍 작약/ 석류 매화, 노란 장미, 자색 장미, 지지꽃, 동백꽃들이 /아, 사이 사이 핀 모습, 그것이 어떠합니까? /대나무 복사꽃처럼 어울리는 고운 두 분, 대나무 복사꽃처럼 어울리는 고운 두 분 /아, 서로 바라보는 모습, 그것이 어떠합니까 ?
.
阿陽琴 文卓笛 宗武中琴
帶御香 玉肌香 雙伽倻
추천자료
조선후기의 문학양상
조선전기 문학, 조선후기 문학의 이해
조선후기 북학파의 문학적 성향
[국문학사]조선전기문학의 특징
조선 전기 관각문학, 처사문학, 방외인문학 연구
조선 후기 문학작품에 나타나는 양반에 대한 비판과 풍자 고찰
[북한문학]주체문예시대 북한문학의 특징에 대하여
일본문학의 변천, 일본문학과 군키모노가타리(군담소설), 일본문학과 토좌일기, 일본문학과 ...
[한국문학] 조선 전기문학과 후기문학의 내용과 특징에 관한 고찰
가사(가사문학) 도덕가 작품분석, 가사(가사문학) 권선지로가 작품분석, 가사(가사문학) 용부...
[한국문학사] 조선 전기문학의 특징 - 『조선 전기의 특징』, 『조선 전기의 시조』, 『조선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제 4판 2권 요약 (중세후기문학 제 1기 고려후기 & 중세후기문학 ...
[문학교육론] 조선 후기 ‘열녀전’에 드러난 여성의 능동적 사회화 양상과 교육적 함의 - ‘군...
1920년에 등장했던 KAPF문학과 같이 아동문학을 포함한 문학이 시대적 상황과 사상의 반영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