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려가요
2. 경기체가
3.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1)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
2)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차이점
Ⅲ. 결론
Ⅱ. 본론
1. 고려가요
2. 경기체가
3.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1)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
2)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차이점
Ⅲ. 결론
본문내용
고려가요와 경기체가 각각의 개념과 특징, 형식, 작가층에 대한 것을 구체적으로 논지를 전개해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기로 하자.
1)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
고려가요와 경기체가는 형식상 장 또는 연이 나누어져 있고, 여음이 붙어 있으며, 대체로 3음보가 우세하다는 점은 아주 같다는 사실도 계속 지적되어 왔다. 그렇기에 정병욱은 이러한 점을 정밀 분석한 다음 이 시가군을 하나의 역사적 형태로 규정하고 ‘별곡’이라는 전래의 명칭을 인용하는 것이 타당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그는 두 시가군이 모두 무신집권에서 몽고란까지의 혼란기를 겪으면서 형성된 “순간적인 향락을 추구하는 시대정신”의 표현을 담당한 점에서도 다르지 않다고 했다.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77, 101쪽
정병욱이 분석해 낸 것처럼 고려가요와 경기체가가 뚜렷이 같은 점은 그 형식이다. 형식이라는 말을 다시 말하면 율격의 짜임새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세부적인 차이점이 있긴 하지만 같다고 해도 좋을 정도로 좋다. 이러한 형식의 공통점을 확인하기 위해 이하에선, 고려가요의 <사모곡>과 경기체가의〈학림별곡>을 살펴보고자 한다.
호미도 날히언 마라난 (3.3.3) 元淳文 仁老詩 公老四六 (3.3.4)
낟가티 들리도 업스니이다. (3.3.5) 李正言 陳翰林 雙韻走筆(3.3.4)
아바님도 어이어신 마라난 (4.4.3) 沖基對策 光鈞經義 良鏡詩賦(4.4.4)
위 덩더둥셩 어마님가티 괴시리 업세라 (위 4.5.3.3) 위 試場ㅅ 景 긔 엇더니잇고(위 3.3.4)
아소 님하 어마님가티 괴시리 업세라 (4.5.3.3) 시
1)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
고려가요와 경기체가는 형식상 장 또는 연이 나누어져 있고, 여음이 붙어 있으며, 대체로 3음보가 우세하다는 점은 아주 같다는 사실도 계속 지적되어 왔다. 그렇기에 정병욱은 이러한 점을 정밀 분석한 다음 이 시가군을 하나의 역사적 형태로 규정하고 ‘별곡’이라는 전래의 명칭을 인용하는 것이 타당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그는 두 시가군이 모두 무신집권에서 몽고란까지의 혼란기를 겪으면서 형성된 “순간적인 향락을 추구하는 시대정신”의 표현을 담당한 점에서도 다르지 않다고 했다.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77, 101쪽
정병욱이 분석해 낸 것처럼 고려가요와 경기체가가 뚜렷이 같은 점은 그 형식이다. 형식이라는 말을 다시 말하면 율격의 짜임새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세부적인 차이점이 있긴 하지만 같다고 해도 좋을 정도로 좋다. 이러한 형식의 공통점을 확인하기 위해 이하에선, 고려가요의 <사모곡>과 경기체가의〈학림별곡>을 살펴보고자 한다.
호미도 날히언 마라난 (3.3.3) 元淳文 仁老詩 公老四六 (3.3.4)
낟가티 들리도 업스니이다. (3.3.5) 李正言 陳翰林 雙韻走筆(3.3.4)
아바님도 어이어신 마라난 (4.4.3) 沖基對策 光鈞經義 良鏡詩賦(4.4.4)
위 덩더둥셩 어마님가티 괴시리 업세라 (위 4.5.3.3) 위 試場ㅅ 景 긔 엇더니잇고(위 3.3.4)
아소 님하 어마님가티 괴시리 업세라 (4.5.3.3) 시
추천자료
고려속요의 형식적
고려의 당악과 향악(속악)
남북한의 고려속요
쌍화점과 청산별곡의 통해 알아본 고려 후기의 사회상
고대가요와 향가에 대해서
[국문학 논문] 고려속요의 여성화자
고전문예와 현대예술 속의 화쟁
고려속요의 문학적 연구에 대한 고찰
고려속요 '동동' 분석
[고대가요 구지가][고대가요][구지가][설화]고대가요 구지가의 연원, 고대가요 구지가의 배경...
[고대가요][황조가]고대가요 황조가의 배경설화, 고대가요 황조가의 원문, 고대가요 황조가의...
[전통문화의 이해] 고려속요 연구- 정석가(鄭石歌)
《고려처용가》의 해체적 글읽기
고려시대 향가 -『보현십원가』와 『도이장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