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영]P&G의 국제 경영 전략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 경영]P&G의 국제 경영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Procter&Gamble(P&G)의 소개
1. 연혁
2. 경영이념
3. P&G 경영

Ⅱ. Procter&Gamble(P&G)의 세계경영전략 선택
1. 세계경영전략 선택
1) 세계경영전략
① 기존 핵심사업을 설립, 더욱 강한 리더상품으로 이끈다.
② 지도적인 거래처와 함께 빨리 성장해라.
③ 큰 나라에서 성장하라.
④ 고성장과 높은 이익을 가진 사업을 발전시키고 투자해라.
⑤ 고성장 개발 시장에서 P&G 지도력 설립.
2)물류전략 - CRP도
3)마케팅 전략(4P)

Ⅲ. 해외진출 사례 및 전략
1. 한국

Ⅳ. P&G가 나아가야 할 방향

본문내용

기 위한 기반구축에 나서기로 하고, 이를 위해 네 가지 전략을 시행하기 시작했다.
1) 시너지효과 극대화
시너지 효과를 창출높은 목표, 더 큰 혁신, 빠른 행동이라는 조직 모토를 달성하기 위해 15명으로 문화혁신팀을 구성해 체질개선작업을 벌이고 있다.
2) 아시아 생산기지로서의 역량강화
한국 P&G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종이기저귀의 75%이상인 8백억원 가량을 아시아지역에 수출하고 있다. 그동안 한국에 총8억을 투자했다.
3) 최고 품질의 신제품 출시
국내시장에 소개하지 않았던 홈 케어 식품 세제 의약품도 연차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4) 선진유통체계구축
투명하고 공정한 유통체계 확립을 위해 오픈프라이스제를 도입했다. 최종 판매업자가 판매가격을 정하고 표시하는 제도다. 제조업체는 유통업체에 동일한 가격으로 납품하고 유통업체는 자율경쟁을 통해 가격을 책정해 선진유통체계를 만든다는 전략이다.
(7) 한국 P&G의 SLOG프로그램
한국P&G는 여성생리대(위스퍼) 기저귀(팸퍼스,큐티) 화장지(코디,샤민) 모발미용(비달사순,팬틴) 주방세제(조이) 등 8개 카테고리의 생활용품으로 지난해 2002년도 6천2백34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소비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한다\"는 경영이념 못지않게 앞선 물류시스템으로도 유명하다.
한국P&G는 SCM(공급망관리:Supply Chain Management)을 통해 물류를 혁신했다.
지난 99년 SLOG(주문.배송의 최적화:Streamlined Logistics) 프로그램을 도입한데 이어 2000년에는 유통업체와 공동으로 EDI(전자문서교환)에 기반을 둔 VMI(제조사중심의 재고관리:Vendor Managed Invetory)와 CMI(공동재고관리:Co-Managed Inventory) 시스템을 구축했다.
1) SLOG프로그램으로 비효율 제거
한국P&G가 제품을 배송하는데 가장 큰 골칫거리는 소량 주문이 많다는 점이었다.
지방의 할인점에 생리대 1박스를 보내기 위해 1백60박스 용량의 트럭을 동원한 적이 있을 정도였다.
유통회사와의 관계에서 제조업체는 언제나 \"을\"의 입장이었기 때문에 대형 트럭을 이용해서라도 시간을 지켜줘야 했다.
한국P&G는 SLOG 프로그램으로 이 같은 비효율의 소지를 제거했다.
SLOG 프로그램은 주문수량을 표준화해 한국 P&G의 생산공장(조치원,천안)이나 지역창고(안양 양산 의정부 대구)에서 바로 출하하는 시스템.
주문은 25~1백59박스,1백60박스 이상,16파레트(4백~5백박스) 등 3가지로 나눠 받는다.
소량주문을 없앰으로써 배송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절감된 비용은 주문 액의 최고 2.5%범위 내에서 유통회사에 장려금으로 지급하기 때문에 유통회사들도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다.
한국P&G의 김성수 부장은 \"SLOG가 정착되면서 과거 총 주문건수의 50%였던 25박스 미만 발주가 크게 준 반면 16파레트(4백~5백박스) 단위의 만 차 발주는 10%선으로 증가했다\"고 말했다.
\"주문 건 수당 평균 수량도 80박스에서 1백33박스로 높아졌다\"고 그는 덧붙였다.
2) 출고의 45% 이상을 EDI와 WOM으로 한다.
지난 2000년부터 본격 시행중인 EDI와 WOM(웹기반 발주:Web Ordering Management)도 물류비용 절감에 한몫하고 있다.
P&G는 EDI시스템의 확대를 위해 UN의 글로벌표준문서(UN/EDIFACT95)를 채택해 이마트 LG유통 까르푸 마그넷 테스코 등 유통업체와의 거래에 적용하고 있다.
P&G와 이들 회사 간에는 발주서, 판매보고서, 재고현황보고서 등이 EDI를 통해 오고 간다.
웹상에 P&G의 발주서를 제공,1백여 개가 넘는 거래회사가 WEB으로 발주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축했다.
P&G 관계자는 \"지난해 3천5백억원 정도의 매출이 EDI와 WOM을 통해 발생했다\"며 \"주문액의 0.2% 정도를 역시 장려금 형태로 거래처에 전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3)VMI/CMI 시범사업 참여
한국 P&G는 SLOG, EDI, WOM를 기반으로 한국SCM민관합동추진위원회가 추진하고 있는 시범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현재 삼성 태스코 한국물류 까르푸와 VMI 및 CMI를 실시,B재고 및 결품률을 줄이는 효과를 보고 있다.
VMI와 CMI는 SCM의 중간단계로 우리나라 물류혁신 정도를 감안하면 선진적인 기법으로 통한다.
삼성 태스코와 한국물류의 경우엔 SLOG프로그램(주문액의 2.5%) EDI(주문액의 0.2%) VMI(주문 액의 0.3%) 등을 통해 주문금액의 3%를 장려금으로 환원 받아 소비자를 위한 가격할인과 물류자동화에 사용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8) 앞으로 P&G가 한국에서 나아가야할 방향
한국인의 정서-친 외국기업 ⇒ 공격적 경영
한국에서 팔리는 P&G의 제품 중 80%는 한국에서, 한국인에 의해 생산된다.
이중 30%는 아시아 지역으로 수출도 한다.
P&G는 최근 한국 땅에 말뚝을 한층 깊숙이 박았다.
외국 기업들의 본격적인 공격 경영이 시작하고 있는데, 이는 조심스럽게 한국에 진출했던 이들이 이제 자신감을 갖고 확대 경영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땅에서 고용을 창출하고 부가가치를 일으키고 세금을 내는 기업을 놓고 국적을 가리는 것은 무의무해지고 있다. 외국기업이라도 지역 및 국가경제 발전에 도움이 된다면 국내 기업 M&A가 나쁘지만은 않다고 보기 때문이다.
당연히 이미 한국에 진출해있는 외국 계 기업에 대한 인식도 달라져야할 시점에 와있다.
이들의 초기 진출이 조심스러웠던 것은 당시만 해도 반외국기업적인 정서가 강했기 때문인데 요즘은 외자유치가 고용창출과 수출에도 큰 보탬이 된다는 사고가 확산되면서 한국인의 정서는 친 외국기업 쪽으로 급속도로 기울자 외국기업이 본격적으로 공격적인 경영을 하기 시작한 것이다.
Ⅳ. Procter&Gamble(P&G)가 나아가야할 방향
P&G는 1837년 창업 이래 꾸준히 사업 분야를 확대하여 유아용품, 미용 용품, 여성 위생용품,식음료품, 세정 및 가정용품, 종이관련제품, 건강관리 제품 등 다양한 사업 분 활 활동을하고 있습니다. 비누에서 치약, 세제, 스폰지 케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6.12.02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97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