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토론 게시판의 활용이나 특정 토론 방법의 사용, 찾거나 수집되거나 개발된 자
료를 정리하여 올리는 방법, 새로운 매체를 사용해서 개발된 자료를 웹을 통해 프리젠이션
하는 방법 등의 기술적 부분에 대한 교수자의 역할 필요하다.
이러한 부분은 온라인 교수자나 클래스 웹페이지를 통해 즉시 학습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교수자는 학습자가 필요할 때면 언제라도 웹 기반의 기술과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해
줄 수 있는 기술적 수준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② 교육적 역할(pedagogical role)
학습자 중심 원격교육에서 교수자는 학습자들과 함께 학습활동에 참여하면서 그들이 의미를 해석하고 구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활동을 하여야 한다. 그룹의 일원으로서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을 가이드하고 또 코치하여야 한다. 교수자는 과제를 구조화하고 새로운 생각을 모형화 하거나 제시하며, 질문과 피드백을 제공하고 코치하거나 새로운 학습에 도달하도록 기술을 제공하며, 아이디어나 신념을 표현하도록 고무하고, 학습자의 반성적 사고를 촉구하고, 새로운 기능을 탐구하고 적용하도록 요구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교류활동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교육적 활동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새로운 교육적 활동들을 수행하게 된다면 교수자의 역할은 기존의 ‘지식제공자’의 입장에서 협력적 학습의 조성자의 입장으로 전이하게 된다.
③ 사회적 역할(social role)
원격학습의 상황에서 협동을 조장하기 위해서는 교수자가 사회적 활동에 뛰어들지 않으면 안 된다. 개인학습자는 수업에서 자신이 처한 위치가 타인과 하는 문제해결이나 공동의 프로젝트라는 것을 알게 된다면 협동을 시작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원격교육의 경우 서로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학습자들 사이에게 자발적으로 토론이나 협동이 일어나게 하기는 쉽지 않다. 토론이나 협동을 하라고 하는 것 자체가 보다 지루하고 재미없이 만드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그룹토론이라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데다가 면대면이 아니라 써서 진행해야 되고 또 동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더욱 그렇다. 따라서 교수자의 사회적 활동이란 문제 상황을 제대로 조성해 가는 것을 말한다.
④ 관리적 역할(managerial role)
원격교육에서의 교수자는 각종 과제 및 온라인 활동, 협력 학습 등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관리를 하여야 한다. 물론 기존 교육에서도 이 관리 부분은 필요하겠으나, 원격교육에서의 관리는 보다 철저하고 상세하며, 분명하여야 한다. 온라인 학습의 경우 각종 FAQ의 제공이나 온라인 포트폴리오 활용, 온라인 캘린더의 활용 등이 이 관리 역할에 속한다.
참고문헌
김명환 외,『원격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3
김재웅·정인성 공저, 『원격교육활용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4
김희수, 『원격교육 교수 학습을 위한 원격교육론』, 한울출판사, 2003
임철일, 『원격교육과 사이버교육 활용의 이해』, 교육과학사, 2003
정인성 외,『원격교육의 이해』,교육과학사, 2004
한상길, 『원격교육론』양서원, 2004
료를 정리하여 올리는 방법, 새로운 매체를 사용해서 개발된 자료를 웹을 통해 프리젠이션
하는 방법 등의 기술적 부분에 대한 교수자의 역할 필요하다.
이러한 부분은 온라인 교수자나 클래스 웹페이지를 통해 즉시 학습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교수자는 학습자가 필요할 때면 언제라도 웹 기반의 기술과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해
줄 수 있는 기술적 수준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② 교육적 역할(pedagogical role)
학습자 중심 원격교육에서 교수자는 학습자들과 함께 학습활동에 참여하면서 그들이 의미를 해석하고 구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활동을 하여야 한다. 그룹의 일원으로서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을 가이드하고 또 코치하여야 한다. 교수자는 과제를 구조화하고 새로운 생각을 모형화 하거나 제시하며, 질문과 피드백을 제공하고 코치하거나 새로운 학습에 도달하도록 기술을 제공하며, 아이디어나 신념을 표현하도록 고무하고, 학습자의 반성적 사고를 촉구하고, 새로운 기능을 탐구하고 적용하도록 요구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교류활동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교육적 활동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새로운 교육적 활동들을 수행하게 된다면 교수자의 역할은 기존의 ‘지식제공자’의 입장에서 협력적 학습의 조성자의 입장으로 전이하게 된다.
③ 사회적 역할(social role)
원격학습의 상황에서 협동을 조장하기 위해서는 교수자가 사회적 활동에 뛰어들지 않으면 안 된다. 개인학습자는 수업에서 자신이 처한 위치가 타인과 하는 문제해결이나 공동의 프로젝트라는 것을 알게 된다면 협동을 시작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원격교육의 경우 서로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학습자들 사이에게 자발적으로 토론이나 협동이 일어나게 하기는 쉽지 않다. 토론이나 협동을 하라고 하는 것 자체가 보다 지루하고 재미없이 만드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그룹토론이라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데다가 면대면이 아니라 써서 진행해야 되고 또 동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더욱 그렇다. 따라서 교수자의 사회적 활동이란 문제 상황을 제대로 조성해 가는 것을 말한다.
④ 관리적 역할(managerial role)
원격교육에서의 교수자는 각종 과제 및 온라인 활동, 협력 학습 등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관리를 하여야 한다. 물론 기존 교육에서도 이 관리 부분은 필요하겠으나, 원격교육에서의 관리는 보다 철저하고 상세하며, 분명하여야 한다. 온라인 학습의 경우 각종 FAQ의 제공이나 온라인 포트폴리오 활용, 온라인 캘린더의 활용 등이 이 관리 역할에 속한다.
참고문헌
김명환 외,『원격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3
김재웅·정인성 공저, 『원격교육활용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4
김희수, 『원격교육 교수 학습을 위한 원격교육론』, 한울출판사, 2003
임철일, 『원격교육과 사이버교육 활용의 이해』, 교육과학사, 2003
정인성 외,『원격교육의 이해』,교육과학사, 2004
한상길, 『원격교육론』양서원, 2004
키워드
추천자료
원격교육의 평가
WBI에서 동기(motivation)의 역할
장율학습에 대하여
구성주의로 접근한 Junior Reader's Bank교재 분석 및 평가
국어 교육 관련 주요 용어의 개념
모듈수업(모듈학습, 모듈교육)의 성격, 모듈수업(모듈학습, 모듈교육)의 모듈개발절차, 모듈...
과학과, 국어과, 수학과, 영어과 ICT활용교육자료(지도자료), 사회과 ICT활용교육자료(지도자...
교육과 컴퓨터
평생교육방법론-과제
영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해 정리하고 보육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기술
[국문학개론] 팀기반학습(TBL)을 적용한 사미인곡 교육
[영유아교사의 역할] 영유아교사의 역할과 각 역할에서의 본인의 장단점과 보완해야 할 부분
[문제중심학습] 문제중심학습(PBL)의 개념과 특징 ; 문제중심학습모형의 절차와 설계 방법
현시대에 있어서의 교사의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