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소생술 용어의 정의, 심폐소생술의 원리 관련 보고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폐소생술 용어의 정의, 심폐소생술의 원리 관련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심폐소생술 용어의 정의

2. 심폐소생술의 원리
(1) 구조자의 호기에 의한 인공호흡
(2) 흉부압박에 의한 혈액순환 기전
- 심장펌프이론
- 흉곽펌프이론

3. 심폐소생술 중 관상동맥 관류압과 뇌혈류
(1) 관상동맥관류압
(2) 뇌혈류

4. 목적

5. 심폐소생술의 적용시기와 종결

6. 심폐소생술의 단계
1) 1차 심폐소생술
2) 2차 심폐소생술
3) 장소소생술

7. 심폐소생술의 상황판단 및 대처
1) 응급환자 발견 및 구조요청
2) CPR시 환자 확인사항 및 응급간호

8. Emergency kit에 포함되는 기구와 약물

9. INTUBATION
1) 적응증
2) 사전지식
3) 준비물품

10. Ambu gagging, Cardiac massage
1) Ambu bagging
2) Circulation : external cardiac massage

11. Cardioversion & Defibrllation
1) Cardioversion-synchronized directcurrent
2) Defibrillation

12. CPR 기록

본문내용

인공호흡을 시행하므로, 구조자가 1회당 700~1000ml 정도의 환기량으로 인공호흡을 하면 호기 내 산소함유량은 약 16~18%가 된다. 따라서 구조자의 호기 내에는 환자를 인공호흡 시키기에 충분한 산소가 남아있게 된다.
호흡이 없는 환자를 구조자의 호기로 인공호흡 하면, 환자의 동맥혈 산소압은 75mmhg이상, 동맥혈 산소포화도는 90% 이상으로 유지되 수 있다. 환자의 동맥혈 이산화탄소압은 환기량의 증가로 인하여 30-40mmhg 이상 정도로 낮아져서 약간의 호흡성 알칼리혈증이 발생한다. 구조자의 호기에 의한 인공호흡은 환자를 소생시키기 위한 충분한 산소를 제공할수 있으며, 체내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할수 있는 충분한 환기량을 유지할 수 있다.
(2) 흉부압박에 의한 혈액순환 기전
흉부압박법에 의한 심폐소생술이 도입된 이래로 인체에서 흉부압박에 의하여 혈류가 유발되는 기전에 대해서는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심폐소생술에 의하여 혈액순환이 유지되는 기전을 알아내는 것은 혈류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는데 중요하다.
흉부압박에 의한 혈액순환의 기전으로 제시되고 있는 이론에서는 심장펌프이론과 흉곽펌프이론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인체에서 심폐소생술에 의하여 혈류가 유발되는 기전인 심장펌프와 흉곽펌프가 동시에 작용한다는 주장이 우세하다.
- 심장펌프이론
심장펌프이론은 흉곽을 압박하면 흉골과 척추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심장이 압박되고 특히 심실이 압박됨으로써 심실내 압력이 증가되어 순환이 이루어진다는 이론이다.
즉 좌심실과 우심실이 압박되면 심실내 압력이 증가되어 승모판과 삼첨판이 폐쇄되고 대동맥판과 폐동맥판이 열리면서 체순환과 폐순환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은 흉부압박에 의한 심폐소생술이 처음 고안 되었을 때 혈류가 발생되는 기전으로 제시되었다. 실제로 소아나 흉곽의 전후 직경이 매우 작은 환자에서는 흉부압박에 의하여 심장이 압박되어서 혈류가 유입될수 있다.
- 흉곽펌프이론
흉곽펌프이론은 흉부를 압박하면 심장이 눌리는 것이 아니라 흉강 내 압력이 상승되며 상승된 흉강 내압과 흉강외압의 차이에 의하여 순환이 이루어진다는 이론이다. 흉강 내 압력이 증가하면 흉강내압이 흉강외압보다 높아지므로, 흉강내부로부터 흉강외부로 혈류가 발생한다. 흉부압박에 의한 혈류는 흉곽을 중심으로 동맥방향과 정맥방향으로 모두 유발되지만, 같은 양의 혈액이 유입되더라도 동맥은 정맥보다 저항이 크므로 동맥의 압력이 정맥의 압력보다 높아진다. 따라서 동맥과 정맥사이의 압력차이에 의하여 혈류가 발생한다. 또한 하대정맥과는 달리 경정맥에는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판막이 있으므로 흉부압박에 의한 혈액의 역류가 차단되나. 따라서 경동맥과 경정맥 사이의 압력차이에 의하여 혈액이 뇌로 순환한다.
3. 심폐소생술 중 관상동맥 관류압과 뇌혈류
심폐소생술 중의관상동맥관류압과 뇌혈류는 심정지환자의 소생여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적절한 관상동맥 관류압이 유지되지 않으면 심박동이 회복되지 않으며 적절한 뇌혈류가 유지되지 않으면 치명적인 뇌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1) 관상동맥관류압
심정지환자에서도 관상동맥으로의혈류는 주로 이완기에 발생한다. 따라서 관상동맥 관류압은 대동맥 이완기압과 우심방 이완기압의 차이에의하여 유발된다. 심정지환자에서는 혈관이 정상적인 수축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흉부압박에 의하여 유발되는혈류는 주로 수축기압만을 기압은매우 낮다. 에피네프린이투여되면 대동맥 이완기압이 상승하여 관상동맥관류압이 상승한다. 따라서 에피네프린이 투여되지 않은상태에서 심폐소생술만계속한다면 심박동의 회복은기대하기 어렵다.
(2) 뇌혈류
심폐소생중의 뇌혈류는 수축기시의 경동맥압과 경정맥압 차이에 의하여 유발된다. 흉부압박중에는 내경정맥에 위치하는 판막이 흉강으로부터의 혈액역류를 막아주므로 경동맥과 내경정맥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하여 순환이 유발된다. 심폐소생술 중에 뇌로 혈류량을 증가시키려면 반드시 에피네프린 등과 같은 알파교감신경수용체에 작용하는 약물을 투여하여야 한다.
4. 목적
갑작스런 호흡정지나 심정지 시 시행하는 basic life saving technique으로 인공적으로 심장을 압박하고 폐를 환기시킴으로써 심장과 폐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함이다.
5. 심폐소생술의 적용시기와 종결
1) 적용시기 : 심정지 후 4~5분 이내
2) 종결
(1) 환자 스스로 효과적인 순환 및 호흡을 회복하였을 때
(2) 다른 구급의료체계 요원에게 인계하여 그 사람이 계속 심폐소생술을 계속하게 될 때
(3) 의사에게 환자를 인계할 때
(4) 응급처치사가 너무 지쳐서 더 이상 심폐소생술을 계속할 수 없을 때
6. 심폐소생술의 단계
1) 1차 심폐소생술
(1) Air way(기도확보) : intubation
(2) Breathing(인공호흡) : ambu bagging
(3) Circulation(순환보조) : external cardiac massage
2) 2차 심폐소생술
(1) Drug&Fluid
(2) Electrocardiography
(3) Fibrillation treatment
3) 장소소생술
(1) Gauging(원인 규명과 예후판정)
(2) Human mentation(뇌소생)
(3) Intensive care(집중치료)
심폐소생술과정은 그림과 같이 3가지의기능적 단계로 구성되어있다. 첫 번째 단계는심정지의 발생을 목격한 사람이 심정지환자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응급의료체계에 알리고, 심정지환자에 대한 응급조치로서 인공호흡과 흉부압박을 시행하여 인위적으로 산소공급을 유지하는 기본소생술(basic life support: BLS) 이다. 두 번째단계는 심박동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에피네프린 등의 약물을 투여하고 심전도 감시 및 제세동 등의 전문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전문소생술(advanced life support:ALS) 이다. 전문소생술은외상에 의한환자에게 적용되는 전문외상처치술, 외상이외의성인 심정지 환자에서 적용되는 전문심장소생술, 소아에서 적용되는 전문 소아 구조술로 구분된다. 세 번째 단계는 환자의심박동이 회복된 후에 심정지의 재발을 막고 뇌손상을 줄이기 위한 치료를 시행하며 심정지의원인을찾고 환자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6.12.11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21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