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자와의 의사소통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대화과정기록표1

대화과정기록표2

본문내용

원한적 있어요.
네. 그래서 경험을 바탕으로 약 잘 먹으라고 그런 얘기 많이 해주고 열심히 살아야 된다고 그런 거 얘기 해주죠.
저 담배한대만 피고 와서 얘기해요.
(미소지으며)네 알겠어요. 노력해보죠.
(반가워하며)네 안녕하세요
오늘은 컨디션이 어떠세요?
(조심스럽게 물으며)기억력이 어떠시기에 걱정이 되시나요?
네.(침묵)
TV나 책보시면 그 때보는 것만 그때 기억되고 끝나고 나서는 내용이 어떤지 모르시겠다는 말씀이신거죠?
기억력 때문에 TV나 책 보면 속상하신건가요?
그러셨군요.
(눈을 바라보면서 침묵)
고개를 끄덕이며 계속 침묵
정상인들과 대화하는 것이 두려우시군요.
그럼 환자분들과 얘기하는 건 어떠신가요?
정상인들과는 두려우신데 환자분들에게 인생이야기를 잘 해주실 수 있군요. 대단하세요.
인생이야기는 주로 무슨 얘기를 해주신다는 건가요?
미소지으며 고개를 끄덕임.
침묵
네, 환청 때문에 한꺼번에 약을 드신 적도 있고 약을 끊어서 병원에 오신적도 있군요.
그러셨군요. 잘하고 계시네요.
네. (웃으면서) 담배 줄이셔야 되는데...
그러세요~앞으로는 좀 줄이시고요.
웃으면서 고개를 끄덕임.
평소 내성적인 분이 먼저 미소지으며 다가와서 개방적 질문을 통해서 신뢰를 쌓고 대화를 하여 가까워지기 위함. 또한 일반적인 질문을 통해서 서로의 존재감을 알리고 대상자로 하여금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격려할 수있음.
기억력만 문제라고 말해서 기억력의 어떤 것이 걱정이 되는지 파악하기 위함. 그러나 어떻게 보면 탐지하듯이 심문하듯이 느껴질 수 있겠음.
침묵을 통해서 대상자가 생각할 시간을 주고 말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유도함.
재진술은 간호사가 대상자의 말을 경청하고 있음을 알리며 대상자에게 자신이 했던 말의 의도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함.
싫다는 말이 어떤 의도로 말한 것인지를 알기위해 단적으로 속상하다는 표현을 사용함. 추측하는 듯 보일 수 있겠음.
바라보면서 침묵함으로 어떤 것이 힘든지 스스로 말할 수 있도록 유도함.
고개를 끄덕임으로 대상자를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며 환자의 이야기를 재진술함으로 내용을 반영하여 확인하기 위함.
대상자가 한 이야기의 요점을 정리하여 말해줌으로써 명확화하고 자신이 잘할 수 있는 것을 다시 말해줌으로 자기가 할 수 있는 게 있다고 느낌으로 자존감 향상 할 수 있음.
그러나 탐지를 하여 심문하듯이 캐묻는 것 같은 느낌이 들 수 있음.
재진술하면서 대상자의 행동에 칭찬을 함으로 자유로운 의사표현을 방해할 수 있음.
간호학생이 미소를 지으며 고개를 끄덕이고 침묵함으로 생각이 나지 않는 대상자에게 느긋하게 생각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음.
생각나지 않아 끊겼던 이야기까지 다 종합해서 내용반영적 경청을 함으로써 현재까지 계속 대상자의 말을 경청하고 있음을 표현할 수 있고 내용을 다시 확인하고 재정리 할 수 있음.
잘하고 있다고 안심시키는 것은 무의미하다.
충고를 하면 간호사가 대상자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고 느끼게 할 수 있음.
긍정적으로 끝냄으로써 강한 의지는 아니지만 간호학생 앞에서 노력하겠다는 말을 함으로써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했다고 생각됨.
개방적 질문을 함으로써 대상자에게 이야기 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대상자가 말하도록 촉진할 수 있고, 생각할 시간을 주며, 통찰력을 다시 얻도록 도와준다.
상호의미의 확인으로 같은 말의 해석을 달리할 수 있을 때에 그 해석을 동일하게 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
침묵을 통해 대상자 스스로 더 생각할 시간을 주며 눈접촉을 통해 대상자가 말하도록 유도할 수 있음.
고개를 끄덕임으로 공감의 표시나타내줌.
내용을 반영하는 것은 대상자의 근본적인 생각을 간결하고도 분명하게 다시 말해주는 것임.
대상자가 말하도록 촉진할 수 있고, 생각할 시간을 주며, 통찰력을 다시 얻도록 도와준다. 대상자의 말에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확신하지 못 할 때 가장 좋은 반응이다.
반영적 경청은 대상자의 자기이해를 도와줄 뿐만 아니라 자기가 이해받고 있다는 인식을 주게 됨.
안심 : 실로 문제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대상자를 안심시키기 위해하는 반응인데, 잠시동안 좋은 감정을 느끼게하지만 결국 무의미하게 들릴 수 있다.
충고는 대상자가 열등한 위치에 있으며 자신의 일을 결정하는데 능력이 없다는 의미가 포함된다. 이것은 정보의 제공과는 다르다. 충고는 대상자가 스스로 의사결정을 하는데 오히려 방해가 된다.
대화진행과정 기록표2
간호학생 성명 :
성명 : 김○업 연령 : 43세 성별 : M 결혼상태 : 미혼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12.15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28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