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연대별 시인소개
1. 스타티우스 [Statius, Publius Papinius]・
2. 성 프랑체스코 닷시시 [San francesco d'Assis]・
3. 다반차티 [Chiaro Davanzati]・
4. 구이니첼리 [Guido Guinizelli ] ・
5. 단테 [Dante, Alighieri]・
6. 페트라르카 [Petrarca, Francesco]・
7. 보카치오 [Boccaccio, Giovanni]・
8. 사케티 [Sacchetti, Franco]・・
9. 아리오스토 [Ariosto, Ludovico]・
10. 타소 [Tasso, Torquato]・
11. 키아브레라[Gabriello Chiabrera]・
12. 마리노 [Marino, Gi
메타스타시오 [Metastasio, Pietro, 1698.1.3~1782.4.12]
파리니 [Parini, Giuseppe, 1729.5.23~1799.8.15]
몬티 [Monti, Vincenzo, 1754.2.19~1828.10.13]
단눈치오 [Gabriele D'Annunzio, 1863.3.12~1938.3.1]
포스콜로 [Foscolo, Ugo, 1778.2.6~1827.9.10]
만초니 [Manzoni, Alessandro Francesco Tommasso Antonio, 1785.3.7~1873.5.22]
레오파르디 [Leopardi, Giacomo, 1798.6.29~1837.6.14]
카르둣치 [Carducci 1835.7.27~1907.2.16]
파솔리니 [Pasolini, Pier Paolo, 1922~1975]
콰시모도 [Quasimodo, Salvatore, 1901.8.20~1968.6.14]
몬탈레 [Montale, Eugenio, 1896.10.12 ~ 1981.9.12]
움베르토사바 [Saba, Umberto, 1883~1957]
웅가레티 [Ungaretti, Giuseppe, 1888.2.10~1970.6.1]
Ⅲ. 참고문헌
Ⅱ. 연대별 시인소개
1. 스타티우스 [Statius, Publius Papinius]・
2. 성 프랑체스코 닷시시 [San francesco d'Assis]・
3. 다반차티 [Chiaro Davanzati]・
4. 구이니첼리 [Guido Guinizelli ] ・
5. 단테 [Dante, Alighieri]・
6. 페트라르카 [Petrarca, Francesco]・
7. 보카치오 [Boccaccio, Giovanni]・
8. 사케티 [Sacchetti, Franco]・・
9. 아리오스토 [Ariosto, Ludovico]・
10. 타소 [Tasso, Torquato]・
11. 키아브레라[Gabriello Chiabrera]・
12. 마리노 [Marino, Gi
메타스타시오 [Metastasio, Pietro, 1698.1.3~1782.4.12]
파리니 [Parini, Giuseppe, 1729.5.23~1799.8.15]
몬티 [Monti, Vincenzo, 1754.2.19~1828.10.13]
단눈치오 [Gabriele D'Annunzio, 1863.3.12~1938.3.1]
포스콜로 [Foscolo, Ugo, 1778.2.6~1827.9.10]
만초니 [Manzoni, Alessandro Francesco Tommasso Antonio, 1785.3.7~1873.5.22]
레오파르디 [Leopardi, Giacomo, 1798.6.29~1837.6.14]
카르둣치 [Carducci 1835.7.27~1907.2.16]
파솔리니 [Pasolini, Pier Paolo, 1922~1975]
콰시모도 [Quasimodo, Salvatore, 1901.8.20~1968.6.14]
몬탈레 [Montale, Eugenio, 1896.10.12 ~ 1981.9.12]
움베르토사바 [Saba, Umberto, 1883~1957]
웅가레티 [Ungaretti, Giuseppe, 1888.2.10~1970.6.1]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 오페라 탄생의 서막을 열어놓은 그의 공적은 높이 평가된다.
카를 4세의 통치기간에 칸타타·오라토리오·멜로드라마 11편을 썼다. 그 가운데 대표작인 「Demetrio Olimpiade」·「Demofoonte」·「La clemenza di Tito」·「Attilio Regolo」등은 페르골레시에서 모차르트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작곡가들이 곡을 붙였으며 원작 그 자체로도 공연이 이루어졌다. 1740년 마리아 테레지아가 왕위를 계승한 뒤에는 좋은 지위를 얻지 못했다. 1771년까지 계속해서 많은 작품을 썼으며 작품이 발표될 때마다 항상 좋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테레지아 여제는 그전 황제가 했던 것처럼 오페라의 장관(壯觀)에 과다한 지출을 허락하지 않았으므로 그의 재능은 점점 빛을 잃어갔다. 그밖의 작품으로 귀중한「서한집 Epistolario」과 5개의 소가곡(canzonette)이 있는데, 그중 「라 리베르타 La liberta」(1733)·「라 파르텐자 La partenza」(1746)는 목가적인 전통을 살린 빼어난 이탈리아 시이다. 그는 비평문도 썼는데, 그중 가장 흥미로운 작품은 극이론을 설명한 「Estratto della Poetica d\'Aristotele」(1782)이다. 그의 작품은 판을 거듭해 출간되었으며 18세기 동안 그의 시는 유럽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파리니 [Parini, Giuseppe, 1729.5.23~1799.8.15]
신학문(新學問)이 대두되고 난 뒤 처음으로 주목을 받은 시인은 파리니이다. 코모에서 출생했으며 신학을 공부한 후, 밀라노의 계몽주의자가 창설한 푸니 학회에 입회하여 《일 카페》지(誌)의 간행자가 되었다. 이 학회는 온건한 진보적 성격을 지녔으며, 여기서 신사상을 흡수하였다. 그후 성직자와 《밀라노 신문》의 편집자, 고교 교사 등을 거쳐 밀라노 시청의 요직을 맡았으나, 프랑스혁명을 지지한 대가로 추방되었다. 1752년 처녀시집을 출판한 이후, 귀족사회를 통렬하게 비판한 「귀족에 관한 대화」(1758)와 인간의 존중, 과학의 진보에 대한 예찬, 시의 이상(理想)의 선양을 노래한 19편의 오드 형식의 서정시 등이 있다. 파리니의 세계는 미완성으로 남겨진「Il giorno(하루)」속에 잘 나타나 있다. 젊은이들을 교육시킬 목적으로 강렬한 풍자성을 내포시키고 있는 걸작이다. 청년 귀족의 공허하고 부질없는 하루의 생활을 묘사하여, 부패하고 비인도적인 귀족에 대한 분노와 서민에 대한 연민의 정을 표현하였다.
몬티 [Monti, Vincenzo, 1754.2.19~1828.10.13]
몬티는 낭만파 시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의 시에서 고전주의적 경향을 볼 수 있다. 많은 작품을 썼으나 주로 「Iliad」를 훌륭하게 번역한 사람으로 기억되고 있다. 라베나 교외에서 태어났고 페라라대학 졸업을 졸업했다. 재학 때부터 문학에 뜻을 두어 1778년 로마로 가서 22년간 체재하였다. 처음에는 페라라대학교에서 법학과 의학을 공부했으나 1775년 신고전주의 문학단체인 아르카디아 학회에 들어갔다. 최초의 걸작시「우주의 아름다움」(1781)은 로마 교황 비오 6세의 조카에게 보내는 축혼가(祝婚歌)로서, 교황의 칭찬 속에 시인의 생활이 시작되었다. 3년 뒤 로마로 가서 교황의 조카 브라스키 추기경(1781~97)의 비서가 되었는데, 이 위치는 교황 피우스 6세의 궁정시인에 상당하는 것이었다. 당시의 모든 정치적 변화를 열광적으로 받아들였으며, 로마에 머물던 시기의 작품 속에는 교황에 대한 아낌없는 찬미가 엿보인다. 로마의 한 폭도에게 살해당한 프랑스 공화파 관리에 관한 시 「In morte di Ugo Bassville(위고 바스빌의 죽음에 부치는 시 )」(1793)도 교황을 찬양하고 프랑스 혁명의 위험성을 경고한 작품이다. 그러나 나폴레옹의 이탈리아 침략이 성공하자, 몬티는 신조를 바꾸어 밀라노로 가서 교황권을 공격하고 나폴레옹을 찬양하는 노래를 부르며 자신의 초기 작품들과 인연을 끊었다. 나폴레옹은 몬티를 파비아대학교의 시학(詩學)교수로 임명했다. 그러나 나폴레옹의 패배로 오스트리아가 회복되자, 다시 열광적인 오스트리아 편이 되었다.
연시(戀詩)와 3편의 비극, 언어에 관한 몇 편의 작품을 썼으며, 볼테르의 작품을 번역하기도 했다. 시사적인 문제를 다룬 작품 중 가장 뛰어난 것은「Al signor di Montgolfier몽골피에씨에게」인데, 여기서 그는 1783년에 있었던 최초의 기구 비행을 아름답게 묘사했다. 그러나 그의 최고 걸작은 무운시 형식의「일리아스」(1810)로서, 이 작품은 신고전주의 시대의 가장 큰 유산 가운데 하나로 평가된다. 그는 단테, 괴테 등을 본받아 풍부한 상상력으로 명랑한 시를 썼으나, 때로는 고전적 수사에 얽매여 형식주의에 빠지기도 하였다.
단눈치오 [Gabriele D\'Annunzio, 1863.3.12~1938.3.1]
로마 동북동쪽에 위치한 아드리아해(海) 연안의 Pescara에서 태어났다. 플라토의 기술학교 재학 중 카르둣치풍의 시집 「조춘」을 처음 출판하여 호평을 받았다. 고등학교 졸업 후 1881년 로마로 이사하였으나, 시골출신인 이 청년은 순식간에 저널리즘의 총아가 되어 귀족들이 모이는 살롱의 인기인이 되고, 문학적으로는 유럽 데카당스의 흐름을 따라 G.카르둣치의 시풍에서 벗어나 1915년까지 문단의 중심적 존재가 되었다. 귀족의 딸과 결혼한 뒤에도 수많은 저명 여성과 사랑 편력이 있었고, 그의 별장이 경매에 붙여진 뒤, 1910년 프랑스로 도피, 파리에서 프랑스어로 작품을 썼고, 다음해 「성(聖)세바스찬의 순교」를 A.C.드뷔시 작곡으로 상연하였다. 1914년의 제1차 세계대전 발발은 내재하는 정치적 적성을 일깨워주어, 이듬해 이후 강력한 참전운동을 전개하였다. 지원병으로 1918년 빈으로 비행하여, 베르사유조약에 의해 유고슬라비아에 주어졌던 피우메를 다음해 점령하였다. 참전 후 애국시를 썼으며, 이로 인해 남구적 정열의 시인으로서의 면목을 발휘하였다. 1920년부터 생애를 마칠 때까지 그가 ‘빅토리알레’라고 명명한 가르다호반의 별장에서 지냈다. 그는 예술과 인생을 동일시한 작가였다. 단눈치오에게 살
카를 4세의 통치기간에 칸타타·오라토리오·멜로드라마 11편을 썼다. 그 가운데 대표작인 「Demetrio Olimpiade」·「Demofoonte」·「La clemenza di Tito」·「Attilio Regolo」등은 페르골레시에서 모차르트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작곡가들이 곡을 붙였으며 원작 그 자체로도 공연이 이루어졌다. 1740년 마리아 테레지아가 왕위를 계승한 뒤에는 좋은 지위를 얻지 못했다. 1771년까지 계속해서 많은 작품을 썼으며 작품이 발표될 때마다 항상 좋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테레지아 여제는 그전 황제가 했던 것처럼 오페라의 장관(壯觀)에 과다한 지출을 허락하지 않았으므로 그의 재능은 점점 빛을 잃어갔다. 그밖의 작품으로 귀중한「서한집 Epistolario」과 5개의 소가곡(canzonette)이 있는데, 그중 「라 리베르타 La liberta」(1733)·「라 파르텐자 La partenza」(1746)는 목가적인 전통을 살린 빼어난 이탈리아 시이다. 그는 비평문도 썼는데, 그중 가장 흥미로운 작품은 극이론을 설명한 「Estratto della Poetica d\'Aristotele」(1782)이다. 그의 작품은 판을 거듭해 출간되었으며 18세기 동안 그의 시는 유럽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파리니 [Parini, Giuseppe, 1729.5.23~1799.8.15]
신학문(新學問)이 대두되고 난 뒤 처음으로 주목을 받은 시인은 파리니이다. 코모에서 출생했으며 신학을 공부한 후, 밀라노의 계몽주의자가 창설한 푸니 학회에 입회하여 《일 카페》지(誌)의 간행자가 되었다. 이 학회는 온건한 진보적 성격을 지녔으며, 여기서 신사상을 흡수하였다. 그후 성직자와 《밀라노 신문》의 편집자, 고교 교사 등을 거쳐 밀라노 시청의 요직을 맡았으나, 프랑스혁명을 지지한 대가로 추방되었다. 1752년 처녀시집을 출판한 이후, 귀족사회를 통렬하게 비판한 「귀족에 관한 대화」(1758)와 인간의 존중, 과학의 진보에 대한 예찬, 시의 이상(理想)의 선양을 노래한 19편의 오드 형식의 서정시 등이 있다. 파리니의 세계는 미완성으로 남겨진「Il giorno(하루)」속에 잘 나타나 있다. 젊은이들을 교육시킬 목적으로 강렬한 풍자성을 내포시키고 있는 걸작이다. 청년 귀족의 공허하고 부질없는 하루의 생활을 묘사하여, 부패하고 비인도적인 귀족에 대한 분노와 서민에 대한 연민의 정을 표현하였다.
몬티 [Monti, Vincenzo, 1754.2.19~1828.10.13]
몬티는 낭만파 시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의 시에서 고전주의적 경향을 볼 수 있다. 많은 작품을 썼으나 주로 「Iliad」를 훌륭하게 번역한 사람으로 기억되고 있다. 라베나 교외에서 태어났고 페라라대학 졸업을 졸업했다. 재학 때부터 문학에 뜻을 두어 1778년 로마로 가서 22년간 체재하였다. 처음에는 페라라대학교에서 법학과 의학을 공부했으나 1775년 신고전주의 문학단체인 아르카디아 학회에 들어갔다. 최초의 걸작시「우주의 아름다움」(1781)은 로마 교황 비오 6세의 조카에게 보내는 축혼가(祝婚歌)로서, 교황의 칭찬 속에 시인의 생활이 시작되었다. 3년 뒤 로마로 가서 교황의 조카 브라스키 추기경(1781~97)의 비서가 되었는데, 이 위치는 교황 피우스 6세의 궁정시인에 상당하는 것이었다. 당시의 모든 정치적 변화를 열광적으로 받아들였으며, 로마에 머물던 시기의 작품 속에는 교황에 대한 아낌없는 찬미가 엿보인다. 로마의 한 폭도에게 살해당한 프랑스 공화파 관리에 관한 시 「In morte di Ugo Bassville(위고 바스빌의 죽음에 부치는 시 )」(1793)도 교황을 찬양하고 프랑스 혁명의 위험성을 경고한 작품이다. 그러나 나폴레옹의 이탈리아 침략이 성공하자, 몬티는 신조를 바꾸어 밀라노로 가서 교황권을 공격하고 나폴레옹을 찬양하는 노래를 부르며 자신의 초기 작품들과 인연을 끊었다. 나폴레옹은 몬티를 파비아대학교의 시학(詩學)교수로 임명했다. 그러나 나폴레옹의 패배로 오스트리아가 회복되자, 다시 열광적인 오스트리아 편이 되었다.
연시(戀詩)와 3편의 비극, 언어에 관한 몇 편의 작품을 썼으며, 볼테르의 작품을 번역하기도 했다. 시사적인 문제를 다룬 작품 중 가장 뛰어난 것은「Al signor di Montgolfier몽골피에씨에게」인데, 여기서 그는 1783년에 있었던 최초의 기구 비행을 아름답게 묘사했다. 그러나 그의 최고 걸작은 무운시 형식의「일리아스」(1810)로서, 이 작품은 신고전주의 시대의 가장 큰 유산 가운데 하나로 평가된다. 그는 단테, 괴테 등을 본받아 풍부한 상상력으로 명랑한 시를 썼으나, 때로는 고전적 수사에 얽매여 형식주의에 빠지기도 하였다.
단눈치오 [Gabriele D\'Annunzio, 1863.3.12~1938.3.1]
로마 동북동쪽에 위치한 아드리아해(海) 연안의 Pescara에서 태어났다. 플라토의 기술학교 재학 중 카르둣치풍의 시집 「조춘」을 처음 출판하여 호평을 받았다. 고등학교 졸업 후 1881년 로마로 이사하였으나, 시골출신인 이 청년은 순식간에 저널리즘의 총아가 되어 귀족들이 모이는 살롱의 인기인이 되고, 문학적으로는 유럽 데카당스의 흐름을 따라 G.카르둣치의 시풍에서 벗어나 1915년까지 문단의 중심적 존재가 되었다. 귀족의 딸과 결혼한 뒤에도 수많은 저명 여성과 사랑 편력이 있었고, 그의 별장이 경매에 붙여진 뒤, 1910년 프랑스로 도피, 파리에서 프랑스어로 작품을 썼고, 다음해 「성(聖)세바스찬의 순교」를 A.C.드뷔시 작곡으로 상연하였다. 1914년의 제1차 세계대전 발발은 내재하는 정치적 적성을 일깨워주어, 이듬해 이후 강력한 참전운동을 전개하였다. 지원병으로 1918년 빈으로 비행하여, 베르사유조약에 의해 유고슬라비아에 주어졌던 피우메를 다음해 점령하였다. 참전 후 애국시를 썼으며, 이로 인해 남구적 정열의 시인으로서의 면목을 발휘하였다. 1920년부터 생애를 마칠 때까지 그가 ‘빅토리알레’라고 명명한 가르다호반의 별장에서 지냈다. 그는 예술과 인생을 동일시한 작가였다. 단눈치오에게 살
추천자료
아방가르드
중세문학에 대하여
르네상스 미술 - 서양미술사
문학의 분류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에 대한 작품분석 및 서평
입센의 생애와 그의 주요 작품들
세계 명언 100선
프랑스 작가 뒤 벨레 Joachim Du Bellay
[A+평가 레포트]발레의 역사 - 발레의 발생, 발전, 발레의 성장, 낭만 발레, 러시아 발레, 현...
[영국][영국 문화][영국의 문화][영국 종교][영국 언어][영국 예술][잉글랜드][영국 관광지]...
바로크음악 Baroque Music
찬송가에대한 연구
안데르센의 생애와 안데르센 동화가 특별한 이유을 서술하고, 작품 중 한 개를 선정하여 소감...
[작가작품론] 톨스토이의 생애와 사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