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온도입치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온도입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온도입치료 (iontophoresis, ion transfer)

2.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y)

3. 생리학적 특성 (Physiological property)

4. 약물의 종류와 효과 및 적응증

5. 이온도입치료의 주의사항

본문내용

상가피, 연골염
Gentamicin
Gentamicin
+
Cefoxitin
Cefoxitin
+
Antiviral Agents
Idoxuridine 0.1%
Vidarabine
Thymine arabinoside
Vidarabine monophosphate
Phosphonoacetic acid
+
항바이러스
단순포진
아프타성 궤양
Anticancer Drugs
Methotrexate
Cyclophosphamide
Bleomycin
Doxorubicin
Adriamycin
+
항압
평편세포암
기저세포암
표 9-2. 질병에 따른 약물의 선택
---------------------------------------------------
조건 이온 및 약물의 선택
---------------------------------------------------
통증 (pain) Local anesthetics (procaine 등)
Hydrocortisone
Salicylate (sodium salicylate)
염증 (inflammation) Hydrocortisone
Salicylate (sodium salicylate)
근경축 (spasm) Magnesium (magnesium sulfate)
Calcium (calcium chloride)
허혈 (ischemia) Mecholyl (methacholine chloride)
Magnesium (magnesium sulfate)
Iodine (potassium iodide)
부종 (edema) Mecholyl (methacholine chloride)
Magnesium (magnesium sulfate)
Salicylate (sodium salicylate)
Hyaluronidase (Wydase)
칼슘침착 (calcific deposits) Acetate (acetic acid)
진균감염 (fungal infection) Copper (copper sulfate)
통풍결절 (gouty tophi) Lithium (lithium chloride, carbonate)
창상 (open lesion) Zinc (zinc oxide)
알레르기성 비염 (allergic rhinitis) Copper (copper sulfate)
반흔, 유착 (scar, adhesion) Chloride (sodium chloride)
Iodide (potassium iodide)
Salicylate (sodium salicylate)
다한증 (hyperhidrosis) Tap water with alternating polarity
Bromide (glycopyrronium bromide)
Glycopyrrolate (glycopyrrolate sol)
Poldine (poldine methosulphate)
Aluminium chloride hexahydrate (aluminium)
인대, 건손상 (ligament lesion) Renotin
저/과 흥분성 (hypo/hyper irritability) Calcium (calcium chloride)
---------------------------------------------------
5. 이온도입치료의 주의사항
1. 화상 (burn)
직류전류의 통전에 따른 문제점으로 화학적 화상 (chemical burn)을 들 수 있다. 화학 적 화상은 특히 음극에서 알카리반응에 따른 화상 (alkaline chemical burn)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농도가 진한 생리식염수를 사용할 때에는 양극에서 산성반응에 의한화상 (acidic chemical burn)이 생기기도 한다. 화상의 원인은 금속전극의 피부접촉, 용량 과다, 전류밀도의 집중으로 발생될 수 있다.
1) 금속전극의 피부접촉
- 금속전극이 피부에 직접 접촉되면 화상이 생길 수 있다.
2) 용량과다
- 너무 높은 전류강도와 오랜 시간 통전은 화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
3) 전류밀도 집중
- 전극의 크기, 전극의 상태, 습기유지, 피부손상 유무는 전류밀도의 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① 전극의 크기
직류전류의 음극에서는 부식성 수산화나트륨이 발생하고 수소이온 농도가 높고 반응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양극보다 화상의 가능성이 많다. 특히 음극전극을 적게하여 통 전시키면 음극에서 전류밀도가 집중되어 화상이 생길 수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음극전극을 양극전극과 같은 크기로 하거나 또는 두배 정도 크게 하여 전류밀도를 낮 추어 주어야 한다.
② 전극의 상태
전극표면이 고르지 못하고 울퉁불퉁하거나, 주름이 잡혀있거나, 패드 모서리가 벋겨 져 있거나, 녹지 않은 소금이 붙어있는 등 전극의 상태가 불량하면 전류밀도가 증가 하여 피부자극 및 화상이 생길 수 있다.
③ 전극의 습기
전극 패드가 고르고 충분하게 습기가 유지되지 않으면 전류밀도가 증가하여 피부자극 및 화상이 생길 수 있다.
④ 전극의 접촉
전극이 피부에 잘 접촉되어 있지 않으면 접촉이 잘되지 않은 부위에서 전류집중이 일 어난다.
⑤ 피부손상
개방성 창상, 찰과상, 새로 형성된 피부, 최근에 형성된 반흔조직, 좌창 (acne) 등 피부병변 부위에 전극을 대고 통전시키면 이 부위에서 전류밀도가 증가한다.
⑥ 금속
치료부위에 핀, 후크 등이 있으면 전류밀도가 증가한다.
2. 과민반응
약물에 따라 전신반응, 알러지 등이 일어날 수 있으며 페니시린과 같은 약물은 anaphylatic shock에 의해 죽음을 부르기도 하기 때문에 환자가 특정 약물에 대해 과 민반응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3. 전기쇽크 (electric shock)
전기치료기의 접지가 잘 않되어 있거나 바닥이 젖어있는 부위에 접지시켰을 때, 출력 판독 계기판이 망가져 출력을 제대로 판독하지 못하고 강도를 올렸을 때, 강도조절 스위치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주전원스위치를 올렸을 때, 강도를 갑작스럽게 올리거나 내릴 때, 치료 중 극성을 바꿀 때, 치료중 환자가 치료기 등 금속을 만졌을 때 전기 쇽크가 생길 수 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01.08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68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