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재활간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장재활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중 측정한 심박동수와 수축기 혈압으로 표시 → 심근 부담도(rate-pressure product: RPP)
- RPP=(systolic blood pressure 수축기압 (mmHg) x heare rate(bpm)/100
④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인자 교정
운동요법: 지방과 탄수화물 대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인자를 조절하는데 도움을 줌
저지방, 저콜레스테롤 식사 및 체중조절 프로그램과 함게 시행한 규칙적인 운동은 혈중 지질을 개선할 뿐 아니라 관상동맥 내 동맥경화의 진전을 더디게 하든지 퇴행시킴
규칙적인 운동은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5~6%증가시키며,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을 우의하게 낮춘다고 보고
비만, 당뇨병 및 고혈압을 포함하는 위험인자를 조절하는데도 긍적적인 효과를 나타냄
2. 심장재활에서의 운동요법
1) 운동요법의 적응증과 금기증
적응증
- 허혈성 심질환, 심부전증, 고혈압, 말초혈관 질환과 관동맥우회로술, 관상동맥성형술, 심장이식, 판말치환술, 인공심박동기를 받는 경우
금기증
불안정성 협심증 심한 부정맥
급성 심근경색증 완전 방실차단
고혈압>200/100mmHg 조절이 안된 동 빈맥(>120회/분)
증상을 동반한 기립성 저혈압 전신적 혹은 폐동맥 색전증
(혈압 저하>200mmHg)
심부 정맥 혈전 대동맥 박리
발열(>38℃) 관동맥우회로술 후 흉공이 불안정할 때
안정되지 않은 심부전증 심낭염, 심근염
심한 대동맥판 협착증(압력차>50mmHg), 대동맥 면적(<0.75㎠)
폐쇄성 비후성 심근증
조절이 안된 당뇨병(공복시 혈당>400mmHg)
운동을 제한하는 심한 정형외과적 문제 급성 전신적 질환
기타: 전해질 이상, 탈수
2) 운동 처방의 원리
운동처방의 구성요소
- 빈도, 강도, 지속시간, 종류 및 진행정도
심혈관계 단련을 목적으로, 운동 빈도는 주 3~4회, 30~60분간 시행: 개별적으로 다름
- 운동빈도를 너무 증가시키면 → 피로, 골격근 손상의 위험성
운동강도: 운동부하검사 결과에 준해 목표 심박동수(target heart rate, THR)와 목표 자 각 증상지수(rate of perceived)를 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음
목표 심박동수(target heart rate, THR) 정하는데의 방법
- 제 Ⅰ방법: 최대심박동수(HRmax)의 %
- 제 Ⅱ방법: 심박동수 보유능(HRmax reserve)의 %, Karvonen에 의해 개발
하한선 심박동수 보유능 60%
상한선 심방동수 보유능 80%
최대 심박동수
190
190
안정시 심박동수
-70
-70
심박동수 보유능강도
x60
x80
안정시 심박동수
+70
+70
목표심방동수
142
166
< 심박동수 보유능 방법을 이용한 목표심박동수 계산 방식>
심박동수: 측정시간, 자세, 흡연, 식사, 감정, 액물 및 환경데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안정시 심박동수의 ±10 → 심박동수 유능량의 2~3% 밖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에 목 표심박동수 오차가 적음
- 제 Ⅲ방법: 심박오수와 산소섭취량치와의 관계, 목표심박동수를 계산하는 방법
ex) 최대산소섭취량에서 50~80%에 해당되는 산소섭취량을 구하면 그 값과 일치하는 심박동수가 목표 심박동수가 됨
- 미국 스포츠의 학회(American College of sport Medicine) 와 미국심폐재활학회 (American Association of Cardiopulmanary Rehabilitation) 심박 보유능의 55~70%
미국 심장 학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심방 동수 보유능의 50~60% 권장
- 심정지 징후로 인해 최대하부하에서 검사가 종료되는 경우- 임상적 징후가 나타남지 점 아래로 5~10회 낮춰서 처방
- 환자의 피로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 (자각증상지수) →Brog(1960년대)가 제시
자각 증상 지수
6
전혀 힘들지 않다.
7
8
힘들지 않다
9
10
보통이다.
11
12
약간 힘들다.
13
14
힘들다
15
16
매우힘들다
17
18
매우 매우 힘들다.
19
20
<지각 증상 지수(6~20)>
2단계 심장재호라 프로그램 초기에는 자각 증상 지수를 11~13 정도로 권장
3~6주간의 운동요법 후 미국스포츠의학회와 미국 심폐재활학회는 자각 증상 지수를 12~16으로 제시 → 심박동수 보유능의 50~85%
혈압과 심박동수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β 차단제 및 칼슘차단제)를 복용하는 사람에게 는 유용
안전한 운동요법을 위해서는 환자 선정과 적절한 감시체계가 요구
심장재활 환자를 위한 위험도 분류표
위험도
임상적 특성
저위험군
합병증이 없는 임상경과
심근허혈 소견이 없는 상태
기능능력 > 7MET
좌심실구혈율 >50%
의미있는 심실기외수축이 없는 상태
중간위험군
수평형 혹은 하행형 ST 분절 하강< 2mm
핵의학 검사상 가역적 심근손상 소견
좌심실 구혈율 35~49%
협심증의 변화 양상 혹은 새로운 발현
고위험군
좌심실 구혈율 < 35%
운동시 수축기 혈압의 하강 혹은 수축기 혈압이 10mmHg이상 상승 하지 않은 경우
입원후 24시간 이상 지속성 혹은 빈발성의 허혈
기능능력 <5MET, 저혈압이나 1mm이상의 ST분절하강을 동반
심부전 소견
ST분절 하강> 2mm(심박동수 132회/분 이하에서)
고도 심실성 기외수축
심장마비 기왕력
운동요법중 지속적인 심전도 감시에 대한 적응증
임상 적응증
객관적인 징후
신각한 좌심실 기능부전
울혈성 심부전
심인성 쇽의 기왕력
좌심실 구혈율<30%
심각한 운동중 허혈
ST 분절 하강>0.2mV
5MET 이하에서 협심증의 징후 발현
다발성 관류손상(운동핵의학 검사)
다발성 심실벽 운동장애(운동초음파 검사)
심실성 부정맥
(안정시 혹은 운동중)
비지속성 시실 빈맥
심장마비의 기왕력
운동중 저혈압
저하된 기능능력
심박동수에 대한
자가측정 불능
운동부하에 따른 20mmHg 이상의 수축기 혈압 하강
5MET 이하의 기능능력
⇒ 운동요법의 위험성과 이점을 신중히 비교하여 시행, 세심한 감시체계가 필수적
심전도 감시하에 운동요법을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1.13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82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