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원론] 웰빙 차(茶)회사 창업 및 신제품 개발 전략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케팅원론] 웰빙 차(茶)회사 창업 및 신제품 개발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기업설립
1. 기업명
2. 기업로고
3. 경영이념&방침

Ⅱ. 제품설정
1. 신제품 기회
2. 아이디어
3. 컨셉트 단계
4. 사업성 분석
5. 제품개발

Ⅲ. 전략수립
1. SWOT분석
2. STP 전략
3. 마케팅 믹스 전략

본문내용

리성




- 편리성 고, 영양가 저 - Take Out 커피전문점
- 편리성 저, 영양가 저 - 커피전문 카페
- 편리성 저, 영양가 고 - 건강차 전문점(인사동)
- 편리성 고, 영양가 고 - 시장기회
2. 아이디어
“영양가 높은 건강차 Take Out!”
① 중저가 정책.
② 젊은이들의 취향에 맞춘 인테리어
③ 편안하게 작업 할 수 있는 공간 조성.
④ 신문, 다양한 장르의 잡지 , 책을 볼 수 있도록 편의 제공.
⑤ 테이크아웃 용기의 차별화. - NB캔
⑥ 젊은이들에게 새로운 전통 다과류 판매(떡, 강정 등) - 젊은이들은 물론이고 전 세대가 좋아할 수 있도록
⑦ 젊은이들이 자주 찾는 장소에 위치하도록.
⑧ 디카를 빌려드립니다.
-디카로 사진 찍고 컴퓨터에 바로 올릴 수 있는 공간 마련.
⑨ 이벤트 -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 이벤트 마련(각종 전시회, 차밭 여행 등)
3. 컨셉트 단계
① 이젠 우리의 전통차도 커피만큼 다양한 맛으로 즐길 수 있다.
② 전통차를 마시려면 인사동으로 간다. 이젠 NO~ 우리가 자주 가는 곳에서
언제든지 전통차를 쉽게 즐길 수 있다.
③ 전통차와 함께 건강하게 그리고 시원하게 여름을 보내자.
④ well-being trend에 딱 맞는 새로운 차 나눔의 공간.
⑤ 차를 마시면서 문화를 즐기자.
⑥ 커피로 더 이상 우리의 몸을 지치게 하지 말고 전통차로 새로운 활력소를 주자.
4. 사업성 분석
현재 테이크 아웃 커피 전문점인 스타벅스 코리아의 매출 수준을 보았을 때 우리나라에서 테이크 아웃 차 전문점의 성공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현재 웰빙 열풍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녹차 제품의 증가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두가지 추세를 결함한 건강차 테이크 아웃점은 사업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오설록처럼 녹차제품 하나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건강차를 제공해 고객의 입과 몸을 즐겁게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웰빙체험 전략으로 마음까지 즐거울 수 있도록 할 것이다.
(1) 경쟁사 분석
① 스타벅스 (STARBUCKS)
우리나라 Take-out 커피 전문점의 선두주자로서 스타벅스 커피 코리아는 커피는 물론이고 샌드위치, 패스츄리, 쵸콜릿, 쿠키 등을 판매하고 스타벅스 특유의 독특한 컵과 인테리어를 통해 깔끔하고 참신한 것을 찾는 신세대들에게 강하게 어필하고 있다.
스타벅스의 경영이념은 ① 맛의 낭만 ② 분위기의 낭만 ③ 서비스의 낭만이며, 경영방침은 엄선된 커피만을 사용하는 등 고급 이미지를 구축하는 전략을 취해 사양사업으로 인식되어지던 커피 산업에서 놀라운 성장을 기록하며 새로운 형태의 문화를 열어가고 있다.
스타벅스는 또한 이름만으로도 고객에게 만족을 주기 위해서 브랜드의 긍정적 이미지를 확고히 하는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그리고 각종 향커피와 사탕, 쿠키 등 끊임없는 신상품개발로 고객의 다양한 취향을 붙잡는 것도 스타벅스의 중요한 경영방침 중 하나이다.
스타벅스의 성공요인은 ① 소비자의 욕구 충족: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최상 품질의 커피 제공, (세계) 표준화된 맛 ② 대형 매장위주의 운영, 직영점만으로 점포 운영 ③ 지역 특성을 감안한 마케팅 전략(현지화 전략), 광고효과가 큰 중심지 상권 위주로 시장 공략 ④ 미학마케팅(자연적 이미지와 현대적 이미지 조화), 환경 친화적 마케팅 ⑤ 커피 비즈니스가 아닌 ‘커피 문화’ 도입, 매장마다 바리스타 (커피전문가)를 두어 독창적인 문화 창조 ⑥ 일관된 영업 방침 ⑦ 스타벅스 본사의 세계적인 브랜드 파워 ⑧ 회사의 이미지에 어울리는 음악을 엄선, CD판매로 이처럼 크게 7가지로 나눌 수 있다. 향후 스타벅스의 전략은 ① 지나친 확장 위주의 정책보다는 뒤돌아보는 정비의 시간을 마련하고 ② 지역적 특색을 고려한 매장 및 상품을 개발(인사동)하며, ③ 지역의 특성을 감안한 마케팅 전략(현지화 전략)을 세운다. 또한 현 국내 정세에 따라서 ④ 미국 문화에 대한 거부감 해소를 위한 방안 마련하고자 한다.
② 오설록
오설록 티 하우스는 그 동안 주력해온 21세기 생활 문화에 적합한 차의 이로움을 다양한 메뉴들을 통해 전달하는 차와 인간의 공감을 주선하는 테마 카페로서의 역할과 위상을 지니고 있다.
우선, 차를 과거의 기호음료로서가 아닌 현대인들의 입맛에 맞는 쿨 주스, 스무디, 저칼로리 음료, 아이스크림 등 다양한 음식 종류와의 퓨전을 통해 맛있고 건강에도 좋은 차 음료를 개발하였다는 사실이다.
커피에 익숙해져 있는 젊은 세대에게 우리의 전통 문화인 녹차와 녹차를 이용한 한국적인 먹거리를 제공하는 문화 체험 공간 \'오\'설록 티하우스\'가 문을 활짝 열었다. \'오\'설록 티 하우스\'는 도심 속 현대인에게 차가 주는 \'여유와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배려한 곳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녹차를 이용한 다양한 먹거리를 보여주는 문화체험 공간이다. 덜하지도 더하지도 않은 단아한 멋이 있는 공간, 오\'설록 티 하우스. 자연친화적 요소와 다기가 잘 전시된 갤러리를 찾은 듯 전통적인 요소가 멋스러운 품격이 느껴지는 공간이다.
여유와 자신만의 격있는 감각이 묻어나며 다른 곳에서는 느낄 수 없는 새로운 문화를 만날 수 있는 공간은 전통적인 문양과 공간 개념이 현대적인 소재와 미감에 힘입어 찾는 이들로 하여금 무척 고급스러운 대접을 받고 있음을 느끼게 한다.
차는 오감으로 마신다 한다. 귀로는 찻물 끓이는 소리를, 코로는 향기를, 입으로는 맛을, 눈으로는 차와 다기를 그리고 손으로는 찻잔의 감촉을 느끼는 것이다. 이젠 오\'설록 티하우스가 그 자리를 대신한다
(2) 차별화 전략
우리는 스타벅스의 Take Out 점으로서의 대중화와 오설록의 웰빙정신을 모티브로 이 둘의 장점을 합쳐 건강차의 대중화를 노릴 것이다.
대중화 되긴 하였지만 몸에 좋지않은 카페인이 다량 함유된 커피를 판매하는 스타벅스는 현재 웰빙 열풍이 이러나고 있는 현 시장에 적함하지 않다. 우리의 기본 경영이념과 비슷한 이념을 가지고 있는 오 설록은 도심속의 차문화 형성에 취지는 좋았지만 그 곳을 찾아가야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크게 성공하지 못 하였다. 또한 녹차를 주재료로 쓰면서 케

키워드

웰빙,   ,   회사,   창업,   커피,   신제품,   개발,   허브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1.17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91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