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기도 흡입 예방)
잦은 V/S(수술 후 1시간 15분마다, 다음 4시간 동안 30분마다, 그 이후 안정될 때까지 2~4시간마다 측정)
③ 적절한 식이 : 유동식, 부드러운 음식(아이스크림), 수술 후1주일 후부터 일반식 제공 - 빨대 사용 금비, 오렌지 쥬스, 표면 거친 음식 등 목을 자극하는 음식 금지
④ 퇴원교육
수술 부위 출혈 유무 관찰
수술 후 5~10일에 수술 부위 딱지 형성(조기 제거하면 출혈 야기)
점막 조직 완전치유는 약 3주 소요
수분 섭취 증가시켜 변비완화, 구취경감, 경미한 체오상승 안정에 도움됨
항결핵 약물
1. 1차 약물의 주요 부작용
① Isoniazid(INH) : 말초신경염 (Vit. B6 함께 투여), 간장애
② Ethambutol : 시력 장애, 피부 발진
③ Rifampin : 위장장애, 열성반응, 분비물과 소변이 오렌지색으로 변함
④ Streptomycin(SM) : 제 8뇌신경(청신경) 손상, 신장장애
⑤ Pyrazinamide(PZA) : 간 장애, 요산 혈증
2. 2차 약물(1차 약물에 내성 있거나 금기인 사람에게만 사용)
Viomycin, Capreomycin, Kanamycin, Ethionamide, para-aminosalicylic acid(부작용; 위장장애, 간장애, Na 정체), Cycloserine(부작용; 정신이상, 성격 변화, 경련, 발진)
3. 항결핵의 약물요법
객담 통한 미생물 검사로 약물 내성 검사 실시
18~24개월 이상 규칙적 약물 투여 필요
하루 한 번 투여 : 아침 새벽 공복시 복용이 좋음
병용요법 사용
132
결핵환자 퇴원교육내용
① 결핵은 감염성이나 처방된 약물을 정확하게 먹으면 완치 or 질병 과정을 멈출 수 있음
② 결핵은 비말 감염되며 옷, 책, 식기로는 전달되지 않음
③ 기침할 때, 웃을 때, 재채기할 때 코와 입을 막고 한다.
④ 체액, 마스크, 사용한 휴지를 만졌을 때 손을 세심하게 닦는다.
⑤ 필요한 경우 마스크를 사용(마스크는 잘 맞게 쓰고 자구 바꾼다)
⑥ 결핵 대상자는 대개 약물 치료를 시작하고 2~4주 이상 활동을 제한하지 않음
⑦ 약물요법을 잘 이행하고 있으면 다른 사람과 격리하지 않는다.
⑧ 결핵은 장기간 치료해야 하며, 처방된대로 정확하게 약물을 복용하고 모든 부작용을 보고, 의료진의 지시 없이 약물을 중단하지 않는다.
결핵 환자의 퇴원기준
객담배양검사를 매주 실시, 연속 3회 이상 음성일 때
임상 생활 양호, 대상자의 가정사정과 외래통원 치료로 약물요법 끝까지 이행 가능
X-선 검사 결과 좋음
자기 질환과 약물요법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할 때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① 정의 : 세기관지의 공기의 흐름이 영구적으로 폐색되는 폐질환(특수 질환이 아닌 기능적 분류 용어) -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천식, 기관지 확장증 포함
② 원인 : 흡연, 만성기관지염, 폐감염, 공해, 진폐증, 과민성인자, 유전인자, 혈관변화, 노화 등
③ 병태생리 : 진한 기도분비와 비후된 기도벽 →과대팽창 폐포, 무기폐
→폐의 신축성 감소(탄력성 소실), 늑막 내압 상승,
폐포 환기 감소(저산소증), 탄산가스 정체, 세기관지 허탈
④ 증상
3대 증상 : 호흡곤란(호흡보조근 사용, pursed lip 호흡), 간헐적 기침, 활동후 피로
기타 증상 : 천명음, 체중감소, 전신쇠약, 비정상 혈액가스, 저산 소혈증, 과탄소증, 청색증, talrmsdir과, 혈소판 증가, 다혈 구증, 호흡성산독증
※ 호흡곤란에 대한 신체적 대처기 전(O2 부족, CO2 과잉축적)
호기가 흡기보다 길고, pursed lip 하여 길게 호기함
호기시 복근이 퇴축(노력 호기 때문)
호흡시 몸을 앞으로 기울이거나 양팔을 들어올리는 자세 취함
호흡보조근 발달(늑간근육, 횡 경막 등)
만성 기관지염
① 정의 : 재발되는 기침과 많은 양의 객담이 나오는 기관지의 만성 염증
② 발생 빈도 : 노년 남자, 안개 끼고 춥고 습한 기후에서 증가
③ 원인 : 흡연, 공해, 감염 등이 기관지 자극
④ 증상
점막부종(기관지벽의 만성염증 에 의해)
기관지의 탄력성 상실
기관지 점액선과 배상세포 비후 (분비물 증가)
섬모 없고, 상피와 점액선과 근 육층 변형, 커진 점액선 개구부 로 게실 생김
계속적인 기침, 중정도 호흡곤 란
다량의 객담(농성; 끈적끈적하 고 냄새 남; foul odor) →배액 잘 안되어 감염 발생가 능성 높음
급성악화기 증상(저산소증, 과 탄산증, 산독증, 폐인성 심질환)
폐기종
① 정의 ⇒ 폐초 자체 파괴에 의한 환기 장애(COPD 중 가장 진행된 단계)
폐조직 파괴로 공기 흐름 막힘
폐포벽, 폐포관, 호흡세기관지가 파괴되
폐내에 큰 기공 형성
② 원인 : 흡연, 공기공해, 유전적 원인, 만성기관지염, 천식, 기관지 확장증
③ 증상 : 술통형 흉곽(barrel chest), 청색증, 고상지두, 호흡곤 란, 만성기침, 경정맥 확장, 불안, 호기시 wheezing, orthopnea
천식(Asthma)
① 정의 : 세기관지, 말단 세기관지 의 폐쇄로 호흡곤란이 발생
(알러지성) 기관지 경련, 점막부종, 과다한 점액분비를 동반하는 발작적
호흡곤란
② 원인
- 내인성 : 감염성 천식(35세 이후 발생, 심한 발작, 예후 bad, 일생동 안 지속)
- 외인성 : 알러지성 천식, 어린이 나 젊은층에서 발생, 알러지성 질 환력 가짐, 내인성으로 발전)
* 천식 발작의 위험요인 : allegen(꽃가루, 먼지 등), 환경적 자극(담배연기) 에어로졸, 스프레이, 건조한 공기, 극단적 온도 등), 호흡기 감염, 스트레스
③ 증상 : 호흡곤란(질식할 것 같음, 많은 E 필요), 발한, wheezing sound(호기시), 점액 분비, 기침발작, 청색증, 흉부 및 경정맥 팽창, 늑골퇴축, 가슴이 답답함, 진한가래
④ 진단 : 혈액검사(호산구 증가), PEF 감소, 잔기량과 FRC 증가
- 흉부 x-선 촬영은 특별한 소견 없음(불필요)
기관지확장증(bronchiectasis)
① 정의 : 기관지벽의 화농성 감염으로 기관지가 만성적으로 확장되어 탄력성이 없어지고 근육구조가 파괴되는 질환
② 발생 빈도 : 젊은 연령층 발생 多, 왼쪽
잦은 V/S(수술 후 1시간 15분마다, 다음 4시간 동안 30분마다, 그 이후 안정될 때까지 2~4시간마다 측정)
③ 적절한 식이 : 유동식, 부드러운 음식(아이스크림), 수술 후1주일 후부터 일반식 제공 - 빨대 사용 금비, 오렌지 쥬스, 표면 거친 음식 등 목을 자극하는 음식 금지
④ 퇴원교육
수술 부위 출혈 유무 관찰
수술 후 5~10일에 수술 부위 딱지 형성(조기 제거하면 출혈 야기)
점막 조직 완전치유는 약 3주 소요
수분 섭취 증가시켜 변비완화, 구취경감, 경미한 체오상승 안정에 도움됨
항결핵 약물
1. 1차 약물의 주요 부작용
① Isoniazid(INH) : 말초신경염 (Vit. B6 함께 투여), 간장애
② Ethambutol : 시력 장애, 피부 발진
③ Rifampin : 위장장애, 열성반응, 분비물과 소변이 오렌지색으로 변함
④ Streptomycin(SM) : 제 8뇌신경(청신경) 손상, 신장장애
⑤ Pyrazinamide(PZA) : 간 장애, 요산 혈증
2. 2차 약물(1차 약물에 내성 있거나 금기인 사람에게만 사용)
Viomycin, Capreomycin, Kanamycin, Ethionamide, para-aminosalicylic acid(부작용; 위장장애, 간장애, Na 정체), Cycloserine(부작용; 정신이상, 성격 변화, 경련, 발진)
3. 항결핵의 약물요법
객담 통한 미생물 검사로 약물 내성 검사 실시
18~24개월 이상 규칙적 약물 투여 필요
하루 한 번 투여 : 아침 새벽 공복시 복용이 좋음
병용요법 사용
132
결핵환자 퇴원교육내용
① 결핵은 감염성이나 처방된 약물을 정확하게 먹으면 완치 or 질병 과정을 멈출 수 있음
② 결핵은 비말 감염되며 옷, 책, 식기로는 전달되지 않음
③ 기침할 때, 웃을 때, 재채기할 때 코와 입을 막고 한다.
④ 체액, 마스크, 사용한 휴지를 만졌을 때 손을 세심하게 닦는다.
⑤ 필요한 경우 마스크를 사용(마스크는 잘 맞게 쓰고 자구 바꾼다)
⑥ 결핵 대상자는 대개 약물 치료를 시작하고 2~4주 이상 활동을 제한하지 않음
⑦ 약물요법을 잘 이행하고 있으면 다른 사람과 격리하지 않는다.
⑧ 결핵은 장기간 치료해야 하며, 처방된대로 정확하게 약물을 복용하고 모든 부작용을 보고, 의료진의 지시 없이 약물을 중단하지 않는다.
결핵 환자의 퇴원기준
객담배양검사를 매주 실시, 연속 3회 이상 음성일 때
임상 생활 양호, 대상자의 가정사정과 외래통원 치료로 약물요법 끝까지 이행 가능
X-선 검사 결과 좋음
자기 질환과 약물요법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할 때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① 정의 : 세기관지의 공기의 흐름이 영구적으로 폐색되는 폐질환(특수 질환이 아닌 기능적 분류 용어) -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천식, 기관지 확장증 포함
② 원인 : 흡연, 만성기관지염, 폐감염, 공해, 진폐증, 과민성인자, 유전인자, 혈관변화, 노화 등
③ 병태생리 : 진한 기도분비와 비후된 기도벽 →과대팽창 폐포, 무기폐
→폐의 신축성 감소(탄력성 소실), 늑막 내압 상승,
폐포 환기 감소(저산소증), 탄산가스 정체, 세기관지 허탈
④ 증상
3대 증상 : 호흡곤란(호흡보조근 사용, pursed lip 호흡), 간헐적 기침, 활동후 피로
기타 증상 : 천명음, 체중감소, 전신쇠약, 비정상 혈액가스, 저산 소혈증, 과탄소증, 청색증, talrmsdir과, 혈소판 증가, 다혈 구증, 호흡성산독증
※ 호흡곤란에 대한 신체적 대처기 전(O2 부족, CO2 과잉축적)
호기가 흡기보다 길고, pursed lip 하여 길게 호기함
호기시 복근이 퇴축(노력 호기 때문)
호흡시 몸을 앞으로 기울이거나 양팔을 들어올리는 자세 취함
호흡보조근 발달(늑간근육, 횡 경막 등)
만성 기관지염
① 정의 : 재발되는 기침과 많은 양의 객담이 나오는 기관지의 만성 염증
② 발생 빈도 : 노년 남자, 안개 끼고 춥고 습한 기후에서 증가
③ 원인 : 흡연, 공해, 감염 등이 기관지 자극
④ 증상
점막부종(기관지벽의 만성염증 에 의해)
기관지의 탄력성 상실
기관지 점액선과 배상세포 비후 (분비물 증가)
섬모 없고, 상피와 점액선과 근 육층 변형, 커진 점액선 개구부 로 게실 생김
계속적인 기침, 중정도 호흡곤 란
다량의 객담(농성; 끈적끈적하 고 냄새 남; foul odor) →배액 잘 안되어 감염 발생가 능성 높음
급성악화기 증상(저산소증, 과 탄산증, 산독증, 폐인성 심질환)
폐기종
① 정의 ⇒ 폐초 자체 파괴에 의한 환기 장애(COPD 중 가장 진행된 단계)
폐조직 파괴로 공기 흐름 막힘
폐포벽, 폐포관, 호흡세기관지가 파괴되
폐내에 큰 기공 형성
② 원인 : 흡연, 공기공해, 유전적 원인, 만성기관지염, 천식, 기관지 확장증
③ 증상 : 술통형 흉곽(barrel chest), 청색증, 고상지두, 호흡곤 란, 만성기침, 경정맥 확장, 불안, 호기시 wheezing, orthopnea
천식(Asthma)
① 정의 : 세기관지, 말단 세기관지 의 폐쇄로 호흡곤란이 발생
(알러지성) 기관지 경련, 점막부종, 과다한 점액분비를 동반하는 발작적
호흡곤란
② 원인
- 내인성 : 감염성 천식(35세 이후 발생, 심한 발작, 예후 bad, 일생동 안 지속)
- 외인성 : 알러지성 천식, 어린이 나 젊은층에서 발생, 알러지성 질 환력 가짐, 내인성으로 발전)
* 천식 발작의 위험요인 : allegen(꽃가루, 먼지 등), 환경적 자극(담배연기) 에어로졸, 스프레이, 건조한 공기, 극단적 온도 등), 호흡기 감염, 스트레스
③ 증상 : 호흡곤란(질식할 것 같음, 많은 E 필요), 발한, wheezing sound(호기시), 점액 분비, 기침발작, 청색증, 흉부 및 경정맥 팽창, 늑골퇴축, 가슴이 답답함, 진한가래
④ 진단 : 혈액검사(호산구 증가), PEF 감소, 잔기량과 FRC 증가
- 흉부 x-선 촬영은 특별한 소견 없음(불필요)
기관지확장증(bronchiectasis)
① 정의 : 기관지벽의 화농성 감염으로 기관지가 만성적으로 확장되어 탄력성이 없어지고 근육구조가 파괴되는 질환
② 발생 빈도 : 젊은 연령층 발생 多, 왼쪽
추천자료
간호중재...요약(수집.진단.계획.중재.평가)
성인간호학에서 호흡기계와 관련된 영어아티클(논문)해석하기
여성 스트레스 -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성인간호학(내과-호흡기) 저널 해석본
성인간호학 - 통증
간호사 국가고시 총정리 (모든 과목)
성인4뇌졸중환자의간호사례
성인간호학4공통) 바이러스성 간염을 유발하는 5가지 간염바이러스와 각각의 감염 경로 2)급...
3-2성인간호학 외과병동
[성인간호학][Cerebral infarction][뇌경색]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실습] stomach cancer(위암)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생리학, 성인간호학] 제 11장 체액과 전해질 정리 레포트
[생리학,성인간호학] Chapter2 염증과 면역반응
고위험모아간호학)아동간호시 고려해야할 윤리적인 문제들과 해결방안 아동간호사에게 아동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