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디 조경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잔디 조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들이 있다. 전문적인 그룹들과 상업체들간에 대회들이 조직될 때 핸드볼, 테니스, 라켓볼, 원반던지기놀이, 잔디밭에서 하는 볼링과 당구들과 같은 소형(compact)스포츠들은 관중들에게 매력있다. 접근문제(access problem)들 때문에 이러한 이용들은 이들이 지상이나 혹은 지상가까이에 자리잡을 수 있는 좀 더 큰 장소를 가진 projects로 제한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보기드문 택지개발업자(developer)만이 상업적 건물안에 근로자들의 오락적 필요들을 의도적(자발적)으로 제기할 것이다. 건물들이 지닌 함유물에 대해 floor-area프리미엄들을 매기거나 혹은 total floor area와 근로자 밀집도에 기초한 규모를 가진 존재(their presence)를 요구하는 것은 이러한 공간을 매력적으로 만들 수 있다.
옥외와 옥내의 오락공간들은 미화와 도시설계(계획) 목표들과 통합되어야만 한다. 미화척도들이 좀더 큰 디자인 목표들을 절충하지 않고서 오락적 필요들을 충족키 위해 만들어질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오락시설들은 오락적 가치를 상실하지 않고 대규모의 도시계획 목표들을 충족키 위해 만들어질 수 있다. 미화와 오락(recreation), 그리고 정형적 도시계획(design)은 옥외공간관심들을 각기 분리시켜 생각(배치)하는 것은 한정된 자원의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한다.
# 참고문헌 #
‘전통일반3’
‘한국주택건축’ : 주남철 저. 일지사
‘한국전통조경’ : ‘92IFLA한국조직위원회편. 도서출판 조경
‘한국의살림집’ : 신영조
‘조경사’ : 윤국병, 일조각, 1982
‘한국인의 자연관에 관한 연구’ : 정영선, 1974
서울대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경학‘ : 윤국병, 일조각, 1984
‘소쇄원’ : 정재훈, 문화재 16호, 1983
‘한국조경양식론’ : 서울대 환경대학원 수업 中
과제물 모음, 누리에, 1996
‘수공간의 연출’ : 지문당, 1986
‘한국정원문화’
‘조경설계의 실제Ⅰ’ : 지문당
‘조경학’ : 김광래
‘전통조경일반Ⅲ’ : 경희대학교 조경학과 치, 1992
경희대학교 조경학과 치 회지 제 27권, 1996
‘나의 문화유산답사기Ⅰ,Ⅱ’ : 유홍준, 창작과 비평, 1994
지피(地皮)ground cover 라고 하는 것은 면적(面積)인 넓어짐을 가지고 지포(紙砲)를 덮어주는 식물을 가리키는 말이다. 따라서 지피식재(地被植栽)란 이러한 식물을 써서 지표(地表)를 평먼적으로 낮게 덮어주는 식재수법(植栽手法)을 말하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잔디밭이다,
(1) 지피식재(地被植栽)의 기능(機能)과 효과(果)
(a) 사암방지(砂巖防止)
일반적으로 토양입자(土壤粒子)가 미세(微細)할 때에는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건조함에 따라 바람에 날리기 쉬우나 잔디와 같은 지피로 덮어 줄 때에는 날리는 흙입자의 양을 1/3~1/6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욱상경기장이나 공항경마장임해매립지와 같이 바람이 일기 쉬운 광대한 공간이나 특히 청결한 환경을 필요로 하는 병원전자기계공장정밀기계공장식품공장섬유공장 등에서는 나지를 님기지 않도록 지표(地表)를 모두 잔딜 덮는 것이 통례가 되고 있다.
(b) 강우로 인한 진땅 방지.
축구장이나 럭비장야구장골프장과 같이 우천에도 사요하는 장소는 잔딜 덮어 놓음으로써 진땅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c) 침식방지
나출(裸出)된 경사면은 비올 때마다 침식당한다. 이러한 자리를 지피식물(地被植物)로 덮어줄 때에는 강우에 의한 침식과 유하수(流下水)로 인한 세굴현상(洗掘現象)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도로나 철도매설 또는 택지 조성에 의해 이루어진 법면(法面)은 반드시 지피(地被)로 보호하도록 해야 한다.
(d) 동상방지(凍上防止)
서릿발에 의한 동결융해(凍結融解)가 되풀이될 때에는 지표(地表)가 연해져 진땅으로 변하기 쉬우나 잔디를 입혀 놓으면 기온의 저하로 인한 지온(地溫)의 저하를 완화시켜 동결(凍結)이 방지된다. 또한 뿌리로 토양 수분을 흡수하여 잎으로부터 증산(蒸散)시키는 한편 뿌리로 흙입자(粒子)를 얽어매어 주고 지하모세관수(地下毛細管水)의 상승 현상을 근계부분(根系部分)에서 차단하기 때문에 서릿발이 생겨나기 어려워 진땅으로 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e) 미기상(微氣象)의 완화(緩和)
나지(裸地)는 온도의 상승 하강 형상이 급격히 일어나지마는 잔디가 입혀져 있는 경우에는 나지에 비해 온도교차가 작아져 여릅철에는 잔디밭이 나지(裸地)보다 0.5~3.0 낮고, 겨울에는 0.8~4.0 높다. 이러한 현상은 환경 개선상 바람직한 일이며 또한 빌딩의 옥상에 지피(地被)를 조성해 놓을 때에는 최상층(最上層)의 실온(室溫) 상승을 억제하는 데 효과가 있다.
(f) 운동휴식효과
잔디밭은 넘어져도 나지(裸地)에 비해 상처가 가볍고 촉감이 부드러우므로 어린이의 유희장소(遊戱場所)나 휴식장소(休息場所)로서 알맞다. 또한 옷이 더럽혀지지 않고 지표온도(地表溫度)가 완화되어 있기 때문에 앉아도 쾌적하다.
(g) 미적효과(美的效果)
(h) 잔디의 푸르름은 그 스스로가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화단의 꽃의 색채나 경기장의 언트커en-tout-cas 포장의 색체와 대비하여 배색 효과가 높아지며 반사가 적어 눈이 부시지 않다.
(2) 지피(地皮)로서 갖추어애 할 조건(條件)
지피(地被) 조성용으로 쓰이는 식물은 아래와 같은 일곱 가지 조건이 갖추어져 있는 것이라야 한다.
① 식물체(植物體)의 키가 낮을 것, 가급적 30cm 이하의 낮은 키를 가진 것이라야 하며 크게 자라는 식믈은 자주 깎아야하기 때문에 관리상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보기에도 별로 아름답지 못하다.
② 다년생식물(多年生植物)로서 가급적이면 상록(常綠)일 것, 다년생 식물이라면한 번 심어서 반 영구적으로 지피역할(地被役割)을 시킬 수 있고 겨울에도 푸르다는 것을 사철을 통해서 지피(地被)로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뜻한다.
③ 비교적 속히 생장하는 한편 번식력(繁殖力)이 완성할 것, 생장 속도가 빠르고 번식력이 왕성하면 대상지역을 단기일 내에 덮을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그 식물이 지하경(地下莖)으로 자라나는 것이라면 지표를 속히 덮어 버리게 되나 포기로 자라는
  • 가격3,000
  • 페이지수50페이지
  • 등록일2007.02.12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43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