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파린을 묻힌다.
이유 : 혈액의 응고를 막기위해
② 피부표면의 45-60도 각도로 바늘을 놓고 동맥내로 삽입한다.
이유 : 동맥압은 몇초내로 주사기 안으로 혈액을 채워지게 한다.
③ 혈액 채취후 바늘을 제거하고 마른 스폰지로 천자부위에 압박을 가한다.
이유 : 동맥압으로 인해 심한 출혈이 일어날 수 있다.
④ 주사기와 바늘의 공기를 제거하고 고무 stopper내로 바늘을 삽입한다.
이유 : 바늘을 즉시 고무마게에 끼워 혈액 표본내로 공기가 섞이는 것을 피한다.
⑤ 주사기를 얼음이 담긴 용기에 넣는다.
이유 : 주사기를 얼음에 넣는 것은 O2의 현저한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3.정상수치
① PaO2 : 동맥혈의 산소의 분압 80∼100mmHg 이상
② PaCO2 : 동맥혈의 이산화 탄소 분압 35∼45mmHg 이하
③ SaO2 : 동맥혈의 산소포화도 95∼100% 이상
④ PH : 수소이온의 농도 또는 산 염기의 균형의 정도 7.35∼7.45
⑤ HCO3 : 혈액탄산의 양 22∼26mEq/L
4.간호진단
① PaO2 : 방안 공기 21%로 숨을 쉴 때 80mmHg 이하 저산소혈증
60세 이상의 노인은 매 1년마다 1mmHg 감소
② PaCO2 : PaCO2 증가 과소환기(과탄산증)의 결과
PaCO2 감소 과대환기(저탄산증)의 결과
③ SaO2 : 산소포화도는 혈색소에 의해 운반되는 산소의 농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만일 PaO2가 50mmHg 이하 산소포화도는 급속히 떨어짐.
④ PH : 7.45 이상 염기증
7.35 이하 산성증
※ 호흡성 산성증 : PaCO2의 급격한 증가 & pH의 감소
호흡성 염기증 : PaCO2의 급격한 감소 & pH의 증가
⑤ HCO3 : HCO3 저하 대사성 산증 ex) 당뇨성 케톤산성증
HCO3 증가 대사성 염기증
5.간호중재
① PaO2
저산소혈증시 : 산소를 공급한다. 이때 산소공급 양은 정상수준으로 유지한다.
생명을 위협하는 저산소혈증시 : 산소공급을 중단하지 않는다.
흡입 산소농도의 증가 : 반드시 PaO2 증가를 동반한다.
*계산법*
O2농도 X 5
ex) 30%의 O2???
PaO2 150mmHg
② PaCO2
점점 상승되고, 피로하면 인공기도로 호흡을 도와준다.
PaCO2가 정상보다 낮으면 과환기의 원인을 해소시켜준다.
ex) 동통, 불안, 공포
③ SaO2
조직에 산소를 해리하는 Hb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온도, pH, PaCO2, 혈액의 효소, 화학물질
산소 포화도교정은 영향을 받는 요인을 변화시켜야 한다.
산소 공급은 혈색소의 산소 포화도를 교정하지만, 조직의 산화를 교정하지는
못한다.
④ PH
pH, HCO3, 염기의 과잉/부족을 중재
대사성 산-염기 불균형 발생시 : 즉시 교정
대사성 산성증 : 중탄산나트륨을 투여
대사성 염기증 : 비정상 전해질을 교정 & ammonium chloride(NH4Cl),희석된
HCl을 투여
⑤ HCO3
대사성 산성증 : 원인치료, HCO3을 정맥으로 보충 & K를 보충
대사성 염기증 : 원인치료
식염수에 반응하는 대사성 염기증 : 등장성 식염수와 KCl을 혼합하여 정맥으로
주입
식염수에 반응하지 않는 대사성 염기증 : 수술, ACE억제제, spironolactone을 투여
신기능 장애 : 투석
폐기능검사(PFT)
1. 개요 :
호흡 측정기(spirometer)로 세차게 숨을 내뿜는 양을 측정하여 그라프(graph)로 나타내 공기가 폐내로 출입하는 환기 기능을 조사하는 검사입니다.
폐의 기능은 공기가 폐에 출입하는 환기기능과 산소를 폐에서 혈중으로 보내고, 이산화탄소(탄산가스)를 혈액에서 체외로 내보내는 호흡기능의 2가지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폐기능 검사란 보통 환기 기능을 조사하는 검사를 가리킵니다. 이 검사에서는 최대한 숨을 들이마신 후 배출되는 양을 측정하는 폐활량 이외에 여러가지 검사를 하게 됩니다.
폐기능 검사 항목과 정상치
항목
개요
정상치
폐활량 (VC)
남자 : 32,000∼48,000㎖
여자 : 23,000∼32,000㎖
%페활량
표준치에 비해 얼마만큼의 폐활량인가의 비율(%)
80 % 이상
노력성 폐활량
마음껏 들이마신 후 한 번에 내쉴 때의 가스량
VC의 95 % 이상
1초율
노력성 폐활량의 최초 1초간의 가스량을 노력성폐활량으로 나눈 것
70% 이상
1회 환기량(TV)
안정상태에서 숨을 들이마시거나 내쉴 때의 가스량
400∼600mL
예비흡기량(ERV)
안정상태의 내쉬는 시점보다 더욱 최대로 노력해서 내쉴 수 있는 가스량
남자 : 1000~2000mL
여자 : 800∼1600 mL
잔기량
최대로 노력해서 내쉰후 아직도 폐에 남아 있는 가스량
35 % 이하
2. 검사 목적 :
폐질환의 진단, 중증도 그리고 치료효과 판정
기관지 천식의 진단
수술시 마취방식의 결정
체력측정
3. 검사로 알 수 있는 질환 :
폐색성 장애
숨을 내쉬는 것이 장애된 것.
검사에서 폐활량은 그다지 감소되지 않으나 1초율은 70 % 이하로 감소됩니다.
폐기종, 기관지천식 등이 이에 속합니다.
구속성 장애
폐나 가슴의 운동이 장애된 것
검사의 1초율은 정상인데 %폐활량이 80% 이하로 감소됩니다.
폐섬유종, 무기폐, 늑막유탁 등이 이에 속합니다.
혼합성 장애
%폐활량, 1초율, 모두가 감소된 폐질환도 있습니다.
중증폐결핵, 폐화농증 등이 이 장애에 속합니다.
4. 검사 방법 :
스피로메타(spirometer)라고 하는 장비로 검사합니다. 비강으로 숨이 새지 않도록 코를 집게(클립)로 막고, 장비에 달려있는 호흡계의 파이프를 입에 물고 숨을 힘껏 내뿜거나 들이마시어 검사합니다.
5. 검사 결과와 판정 :
자동 스피로메타인 경우는 계측치와 함게 컴퓨터에 의해 분석되어 결과가 출력(print out)됩니다. 그 수치로 호흡기의 질환을 진단하고 그 중증도가 판정되므로 그 자리에서 설명을 들을 수 있습니다.
폐활량의 정상치 기준은 성인 남자에서 35,000㎖, 성인 여자는 25,000㎖입니다. 그러나 연령, 성별, 신장 등에 따라 정상치가 다르므로 의문이 있으면 담당의사와 상의합니다
이유 : 혈액의 응고를 막기위해
② 피부표면의 45-60도 각도로 바늘을 놓고 동맥내로 삽입한다.
이유 : 동맥압은 몇초내로 주사기 안으로 혈액을 채워지게 한다.
③ 혈액 채취후 바늘을 제거하고 마른 스폰지로 천자부위에 압박을 가한다.
이유 : 동맥압으로 인해 심한 출혈이 일어날 수 있다.
④ 주사기와 바늘의 공기를 제거하고 고무 stopper내로 바늘을 삽입한다.
이유 : 바늘을 즉시 고무마게에 끼워 혈액 표본내로 공기가 섞이는 것을 피한다.
⑤ 주사기를 얼음이 담긴 용기에 넣는다.
이유 : 주사기를 얼음에 넣는 것은 O2의 현저한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3.정상수치
① PaO2 : 동맥혈의 산소의 분압 80∼100mmHg 이상
② PaCO2 : 동맥혈의 이산화 탄소 분압 35∼45mmHg 이하
③ SaO2 : 동맥혈의 산소포화도 95∼100% 이상
④ PH : 수소이온의 농도 또는 산 염기의 균형의 정도 7.35∼7.45
⑤ HCO3 : 혈액탄산의 양 22∼26mEq/L
4.간호진단
① PaO2 : 방안 공기 21%로 숨을 쉴 때 80mmHg 이하 저산소혈증
60세 이상의 노인은 매 1년마다 1mmHg 감소
② PaCO2 : PaCO2 증가 과소환기(과탄산증)의 결과
PaCO2 감소 과대환기(저탄산증)의 결과
③ SaO2 : 산소포화도는 혈색소에 의해 운반되는 산소의 농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만일 PaO2가 50mmHg 이하 산소포화도는 급속히 떨어짐.
④ PH : 7.45 이상 염기증
7.35 이하 산성증
※ 호흡성 산성증 : PaCO2의 급격한 증가 & pH의 감소
호흡성 염기증 : PaCO2의 급격한 감소 & pH의 증가
⑤ HCO3 : HCO3 저하 대사성 산증 ex) 당뇨성 케톤산성증
HCO3 증가 대사성 염기증
5.간호중재
① PaO2
저산소혈증시 : 산소를 공급한다. 이때 산소공급 양은 정상수준으로 유지한다.
생명을 위협하는 저산소혈증시 : 산소공급을 중단하지 않는다.
흡입 산소농도의 증가 : 반드시 PaO2 증가를 동반한다.
*계산법*
O2농도 X 5
ex) 30%의 O2???
PaO2 150mmHg
② PaCO2
점점 상승되고, 피로하면 인공기도로 호흡을 도와준다.
PaCO2가 정상보다 낮으면 과환기의 원인을 해소시켜준다.
ex) 동통, 불안, 공포
③ SaO2
조직에 산소를 해리하는 Hb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온도, pH, PaCO2, 혈액의 효소, 화학물질
산소 포화도교정은 영향을 받는 요인을 변화시켜야 한다.
산소 공급은 혈색소의 산소 포화도를 교정하지만, 조직의 산화를 교정하지는
못한다.
④ PH
pH, HCO3, 염기의 과잉/부족을 중재
대사성 산-염기 불균형 발생시 : 즉시 교정
대사성 산성증 : 중탄산나트륨을 투여
대사성 염기증 : 비정상 전해질을 교정 & ammonium chloride(NH4Cl),희석된
HCl을 투여
⑤ HCO3
대사성 산성증 : 원인치료, HCO3을 정맥으로 보충 & K를 보충
대사성 염기증 : 원인치료
식염수에 반응하는 대사성 염기증 : 등장성 식염수와 KCl을 혼합하여 정맥으로
주입
식염수에 반응하지 않는 대사성 염기증 : 수술, ACE억제제, spironolactone을 투여
신기능 장애 : 투석
폐기능검사(PFT)
1. 개요 :
호흡 측정기(spirometer)로 세차게 숨을 내뿜는 양을 측정하여 그라프(graph)로 나타내 공기가 폐내로 출입하는 환기 기능을 조사하는 검사입니다.
폐의 기능은 공기가 폐에 출입하는 환기기능과 산소를 폐에서 혈중으로 보내고, 이산화탄소(탄산가스)를 혈액에서 체외로 내보내는 호흡기능의 2가지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폐기능 검사란 보통 환기 기능을 조사하는 검사를 가리킵니다. 이 검사에서는 최대한 숨을 들이마신 후 배출되는 양을 측정하는 폐활량 이외에 여러가지 검사를 하게 됩니다.
폐기능 검사 항목과 정상치
항목
개요
정상치
폐활량 (VC)
남자 : 32,000∼48,000㎖
여자 : 23,000∼32,000㎖
%페활량
표준치에 비해 얼마만큼의 폐활량인가의 비율(%)
80 % 이상
노력성 폐활량
마음껏 들이마신 후 한 번에 내쉴 때의 가스량
VC의 95 % 이상
1초율
노력성 폐활량의 최초 1초간의 가스량을 노력성폐활량으로 나눈 것
70% 이상
1회 환기량(TV)
안정상태에서 숨을 들이마시거나 내쉴 때의 가스량
400∼600mL
예비흡기량(ERV)
안정상태의 내쉬는 시점보다 더욱 최대로 노력해서 내쉴 수 있는 가스량
남자 : 1000~2000mL
여자 : 800∼1600 mL
잔기량
최대로 노력해서 내쉰후 아직도 폐에 남아 있는 가스량
35 % 이하
2. 검사 목적 :
폐질환의 진단, 중증도 그리고 치료효과 판정
기관지 천식의 진단
수술시 마취방식의 결정
체력측정
3. 검사로 알 수 있는 질환 :
폐색성 장애
숨을 내쉬는 것이 장애된 것.
검사에서 폐활량은 그다지 감소되지 않으나 1초율은 70 % 이하로 감소됩니다.
폐기종, 기관지천식 등이 이에 속합니다.
구속성 장애
폐나 가슴의 운동이 장애된 것
검사의 1초율은 정상인데 %폐활량이 80% 이하로 감소됩니다.
폐섬유종, 무기폐, 늑막유탁 등이 이에 속합니다.
혼합성 장애
%폐활량, 1초율, 모두가 감소된 폐질환도 있습니다.
중증폐결핵, 폐화농증 등이 이 장애에 속합니다.
4. 검사 방법 :
스피로메타(spirometer)라고 하는 장비로 검사합니다. 비강으로 숨이 새지 않도록 코를 집게(클립)로 막고, 장비에 달려있는 호흡계의 파이프를 입에 물고 숨을 힘껏 내뿜거나 들이마시어 검사합니다.
5. 검사 결과와 판정 :
자동 스피로메타인 경우는 계측치와 함게 컴퓨터에 의해 분석되어 결과가 출력(print out)됩니다. 그 수치로 호흡기의 질환을 진단하고 그 중증도가 판정되므로 그 자리에서 설명을 들을 수 있습니다.
폐활량의 정상치 기준은 성인 남자에서 35,000㎖, 성인 여자는 25,000㎖입니다. 그러나 연령, 성별, 신장 등에 따라 정상치가 다르므로 의문이 있으면 담당의사와 상의합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