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한국 자동차 산업과 FTA(Free Trade Agreement)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FTA(Free Trade Agreement)
1-1. 세계적인 지역주의의 확산
1-2. FTA의 의의
1-3. FTA 체결현황
1-4. FTA체결로 인한 경제효과
1-5. FTA의 허용조건과 기준
2.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의 한국 자동차
2-1. 자동차 전쟁의 시작
2-2. 세계 시장에서 한국 자동차의 약진
2-3. 국내 자동차 시장의 불안
3. 한국 자동차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 방안
3-1. 한국 자동차 산업의 문제점
3-2. 경쟁력 제고 방안
4. 타켓시장 선정 및 분석
4-1. 왜 중국인가
4-2. 중국의 자동차 공급 현황
4-3. 중국 자동차 시장의 수요
5. 대 중국 승용차 시장 진출 강화 방안
5-1. 협력 형태와 파트너 선택
5-2. 부품생산 네트워크 구축 및 산업 내 분업체계 구축
5-3. 공동기술개발체계 구축
5-4. 정부의 역할 증진

결론

본문내용

우위가 뚜렷하여 보완성이 강한 편이다. 중국은 기본 공학에서 비교우위를 갖고 있다. 또한 연구개발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연구인력 인건비가 낮아 연구개발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반면, 한국은 중국이 개발하고자하는 보통급 승용차에 대한 개발 경험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실험설비와 축적자료를 많이 보유하고 있어 연구 실험비를 크게 절감 시킬 수 있다. 양국은 공동기술개발 협력 대상을 완성차뿐만 아니라 부품산업전체에 대해 적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기술협력 기반을 바탕으로 양국은 협력 범위를 자본, 생산, 수출로 확대시켜 성공적인 완성차업체 합작을 도모할 수 있다.
5-4. 정부의 역할 증진
한중 양국의 승용차산업 제반 협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양국 정부의 긴밀한 협조가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한중 양국은 네 차례의 한중산업협력위원회 자동차부품분과위를 통해 양국간 투자확대도모, 인력 교류와 자료 교환 등을 위해 노력하였지만 유감스럽게도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한중 자동차부품분과위의 성과가 미흡했던 배경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우리 측이 반성해야 할 부분도 많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것 중의 하나는 우리 측 대표들의 전문성 결여와 단절성이다. 우리 측 대표들이 주로 자동차 업계를 중심으로 구성되다 보니 자동차에 대해서는 박식할 줄 모르나 중국의 제반 경제 환경을 비롯하여 , 경제체제, 승용차산업과 관련된 산업 정보에 대해서는 이해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따라서 중국 측의 의사와 입장을 파악하기가 힘들었고, 한중 양국의 실질적 협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돌파구를 마련하기도 어려웠다. 또한 상당수의 우리 측 대표들이 회의 때마다 변경되어 회의의 연속성과 발전성을 도모할 수 없었고 매번 비슷한 주제가 되풀이되는 한계도 나타냈다.
앞으로 새로 구성되는 한중 자동차산업 협력분과위원회에서는 이러한 현상들을 시정하는 것을 전제로 승용차산업에서의 양국간 협력 필요성에 대해 우선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 한중 승용차산업 협력체제 구축이 중국 승용차산업 발전에 얼마나 유익한 가를 중국 정부에 충분히 설득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중국 승용차산업 전문가를 국가적 차원에서 충분히 양성확보하여야 하며 중국 내에서 우리의 진출을 지원할 내부 협조 세력도 아울러 구축하여야한다. 중국 내에서 관료, 전문가 등을 중심으로 한중 승용차산업 협력이 중국의 승용차산업 발전을 위해 효율적이라는 주장들이 자발적으로 나올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이들의 논리 개발에 충분한 지원을 해주어야한다. 양국간 협력 공감대가 형성되고 관계자들간 우호적 분위기가 조성되면 양국은 부품산업 협력체제 구축, 공동기술개발체제 구축, 인적자료 교류제제 구축 등 보다 구체적인 협력 단계로 이행할 수 있다.
결론
한국의 자동차 산업은 2002년도에 구조조정을 마치고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과거에 정부와 국내 내수 시장의 큰 힘을 발편으로 현대와 기아, 그리고 대우, 삼성까지 자동차 사업에 뛰어들었으며 이로 인한 산업 구조조정의 재편은 2~3년 동안이나 한국 자동차 장의 부정적인 악재로 등장하곤 하였다. 하지만 현재 자동차 산업의 구조조정이 마무리 되었고 앞으로는 한국의 수출 주력 상품으로서의 자동차 제품이 다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할 뿐 아니라 중국과 더불어 후발 도상국에 대한 견제를 위해서도 한국 자동차 산업에서의 국제 경쟁력 제고 방안은 반드시 풀어야할 과제로 남아있다.
앞서 언급한 한국의 타켓시장은 본 보고서를 작성한 이들의 주관적인 생각에 의해 결정되어졌다. 본 보고서에서 타켓시장으로 삼은 중국자동차시장외에도 세계에는 더 많은 시장이 존재한다. 현재 세계의 모든 자동차 업계들이 모든 노력을 기울여 그 돌파구를 찾으려 하는 미국시장에서부터 아프리카를 비롯한 규모가 비교적 작은 시장까지 그 시장의 수는 무한하다. 본론에 언급한 국제경쟁력제고방안을 토대로 세계의 어느 기업과 견주어도 뒤지지 않는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앞으로 다가올 무한경쟁시대에서 한국 자동차 산업이 생존하는 유일한 전략이 될 것임에는 틀림이 없다.
세계 시장에서의 자동차산업 경쟁력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가 올 FTA시장에서의 국내 자동차 시장을 다시 한 번 돌아보는 것도 필요하다. 더 이상 소비자들의 애국심에 호소하여 자국 상품을 구매해 달라고 요구하는 것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
연구를 하는 과정에서 자동차 시장의 무한한 잠재력을 느낄 수 있었다. 부디 "Made in KOREA"라는 상표를 가진 자동차가 세계 곳곳에서 선전하기를 바라면서 이 보고서를 마치고자 한다. 대한민국 화이팅! 한국자동차 파이팅!
참고문헌
이문형, [중국 승용차산업 발전 현황과 한중 협력증진 방안], 김용준 편,
{중국 산업별 현황과 전망}, 성균관대학교 현대중국연구소, 2000
노재학, [한국 자동차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무역학과, 2003.02
[주요국의 FTA 체결현황 및 교역비중], 무역협회, 2004.04,
[아시아 주요국의 FTA 추진 동향]. 무역협회. 2003.09,
이문형, [고도성장하에서 구조조정 겪고 있는 중국 자동차산업], 무역협회, 2002.11.
金容善, [중국 자동차시장의 공급현황과 수요전망], {中國學論叢}, 2003.
채영석, 자동차전쟁 : 한국차 살아남을 수 있을까?, 기한재, 2003.
서정욱 외, 세계가 놀란 한국 핵심산업기술, 김영사, 2002.
홍순현 황인성 외, SERI 전망 2004, 삼성경제연구소, 2003.
산업자원부, 산업자원백서, 2002
자동차 상반기 수출 62.6억불 추정, 2001
한국자동차공업협회, 자동차 산업, 2002.
참고 인터넷 사이트
http://autoway.kia.co.kr/storage/kiaworld/kw198/pdf
http://www.iloveshipping.com/ishipping/isdata/sample/research.pdf
http://segero.hufs.ac.kr/scripts/article_view.asp
조선일보 홈페이지
네이버 지식 검색 지식IN

키워드

자동차,   fta,   무역,   국제,   한국,   미국,   농산물,   중국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7.02.21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8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