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목차
1부 로마에서 배우는 조직론
1. 왜 로마인가
2. 문명관과 조직론
3. 현재는 미래 변화의 시그널
4. 로마의 교훈
2부 로마와 로마인
제 1장 시스팀으로 움직이는 로마
1. 견제와 균형의 정치시스팀
2. 시스팀의 균열
제 2장 로마인 그들은 누구인가
1. 로마인과 로마정신
2. 군대에서 보는 로마정신
3. 우민의 시대로
제 3장 노블레스 오블리제
1. 리더의 절제정신
2. 창조적 소수자의 소멸
제 4장 개방과 포용
1. 동반의 길
2. 열린 사회
3. 동반에서 지배로
제 5장 천천히 그러나 착실하게
1. 진정한 보수주의
2. 반보후퇴, 일보전진
제 6장 미래를 위한 투자
1. 성장의 기반
2. 로마의 법
3. 로마를 떠받친 인프라
3부 대로마의 길
1. 소로마와 대로마
2. 국가의 원리, 조직의 원리
1. 왜 로마인가
2. 문명관과 조직론
3. 현재는 미래 변화의 시그널
4. 로마의 교훈
2부 로마와 로마인
제 1장 시스팀으로 움직이는 로마
1. 견제와 균형의 정치시스팀
2. 시스팀의 균열
제 2장 로마인 그들은 누구인가
1. 로마인과 로마정신
2. 군대에서 보는 로마정신
3. 우민의 시대로
제 3장 노블레스 오블리제
1. 리더의 절제정신
2. 창조적 소수자의 소멸
제 4장 개방과 포용
1. 동반의 길
2. 열린 사회
3. 동반에서 지배로
제 5장 천천히 그러나 착실하게
1. 진정한 보수주의
2. 반보후퇴, 일보전진
제 6장 미래를 위한 투자
1. 성장의 기반
2. 로마의 법
3. 로마를 떠받친 인프라
3부 대로마의 길
1. 소로마와 대로마
2. 국가의 원리, 조직의 원리
본문내용
[ 야성(野性)과 투지(鬪志)를 상실할 때 조직은 사망한다.]
성공한 조직으로서의 로마
신한금융종합연구소는 지냔해 12월 신한 그룸의 임원부서장 연수를 위해 내부 자료로 [대경쟁(大競爭)시대에 배우는 로마 흥망(興亡)의 교훈]이란 1백10여쪽 분량의 책자를 펴냈다. 이춘국 기업문화 실장을 팀장으로 5명의 연구원이 6개월간 작업을 한 끝에 펴낸 이 자료는 로마의 성공요인(成功要因)을 연구분석, 한국 금융계에서 어떻게 살아남고 성공할 것인가라는 교훈과 전략을 이끌어낸 것이다.
이번 연구는 조직론(組織論)적인 관점(觀點)에서 로마의 쇠망(衰亡)이 아닌, 성공(成功)의 원인(原因)에 초점을 맞췄다. 작은 도시국가에서 시작해 숱한 경쟁과 도전을 이기고 大제국으로 성장한 로마의 역사를 분석해보면 [한국의 작은 은행]인 신한은행이 세계 유수의 은행으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 비결을 찾을 수 있으리라고 보았던 것이다.
신한그룹은 지난 1월부터 3월까지 [ 로마흥망의 교훈 ]을 자료로 내부연수를 실시했고, 국가경영전략연구원, 광주은행, 동원산업 등에서도 간부들을 대상으로 같은 내용을 소개하기도 했다.
이 연구 작업을 지휘한 송연수 신한종합연구소 부소장(45)과 이춘국 실장(39)을 만나 연구의 동기와 성과 등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 기업의 성공사례가 아닌 로마에 눈을 돌리게 된 동기는.
[ 올해 우리 금융계가 엄청난 어려움에 직면하리라는 것은 이미 예상한 일입니다. 금융시장 개 방과 금리 자율화라고 하는 새로운 한경이 대경쟁을 예고하고 있었기 때문이지요.
외국은행이 진출하고 서비스가 개선되고 대기업은 脫은행화하여 국제금융시장에서 직접 돈 을 구하게 됩니다. 국내 은행들도 이제는 자금운용을 둘러싼 경쟁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 입니다. 지금까지는 돈을 구하려는 사람들이 줄을 서 있었으니 은행들은 편하게 장사했지만 상황이 완전히 달라진 거지요. 그리고 이 경쟁이 앞으로도 계속 격화되리라는 것은 명약관 화한 사실입니다.
이 새로운 도전에 대비하기 위해서 싱가포르 에어라인, IBM, 휴렛 팩커드, 그리고 다른 금 융기관들을 대상으로 벤치마킹을 해왔습니다. [ 최고를 찾아서 ]( In Search of Excellence ) 라는 책에 등장한 사례들도 연구해봤지만 그 책에 등장했던 기업들 중에도 2~3년 후에는 도 산한 경우가 적지 않았어요. 그래서 이런 [한시적]사례가 아닌, [ 영원한 진리 ]를 구하게 된 것이지요]
- 국가와 기업은 속성이 전혀 다른 집단인 만큼 국가의 원리를 기업에 적용하는 것은 무리라는 생각이 듭니다만, 로마의 특히 어떤 점이 교훈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셨습니까.
[ 대경쟁의 시대에 신한은행이 국내 금융시장을 석권하고 세계 금융시장에 진출하려면 작은 도시국가였던 로마가 주변 국가들을 정복하고 끌어들여 광대한 국가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배울 것이 많다고 보았습니다. 로마가 주변국가들과 경쟁하여 승리해가는 과정을 분석해 보 면 [경쟁에서 승리하는 요인 ]에 대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고 본 것이지요. 세계 제패의 꿈 을 가진 조그마한 은행이 로마를 [ 理想型 ]으로 삼아 기업이 아닌 국가를 상대로 벤치마킹 을 해본 겁니다.
기업이나 국가나 그 흥망성쇠(興亡盛衰)의 원리(原理)는 같다고 봅니다. 국가도 기업도 일 차적으로는 존속하고 번영한다는 목표를 갖습니다. 국가나 기업의 번영이라면 일차적으로 양 적인 팽창을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국가로서는 GNP가 늘어나고 영토를 확장하는 것, 기 업으로서는 매출액의 증가 등을 생각할 수 있지요. 그리고 그 결과로서 국민과 종업원 나아 가 소비자들을 더 잘 살게 하는 것이지요. 여러가지 면에서 국가와 기업은 같은 방식으로 움 직일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과거의 성공요인은 과감히 버린다.
- 로마사 연구를 통해 얻은 조직의 성공 요인은 어떤 것입니까.
[ 우선 조직론적인 면에서 로마의 특징은 다양한 인종을 통합한 세계제국이었다는 점, 그리고 한 사람의 영웅보다는 시스팀에 의존해 움직였다는 특징을 드 수 있습니다.
그리고 로마사의 史實들을 일차 미분하여 얻은 결과는 여섯 가지로 요약됩니다. 첫째 요인 은 왕정, 귀족정, 민주정의 원리가 혼합된 로마의 정치체제(王政, 貴族政, 民主政의 原理가 混 合된 로마의 政治體制)가 가장 중요한 성공 요인입니다. 여기서 강조해야 할 것은 시스팀자체 의 우수성보다 환경에 맞게 변화해온 정치 시스팀의 기능입니다.
둘째 요인은 공동체 의식(共同體 意識)과 참여의식(參與意識), 理性을 지닌 로마인들의 市民 性이지요 셋째 요인은 바로 이러한 시민성에 바탕을 둔 [ 노블레스 오블리제 ] 즉, 리 더 집단의 솔선수범하는 節制 意識입니다. 네 번째로는 로마의 개방성(開放性), 포용성 (包容性), 다섯째는 착실하고 지속적인 개혁(改革) 그리고 마지막 요인은 도로와 통신 등을 포함한 인프라의 확립입니다. ]
[ 근본을 지키기 위해 전략을 바꾼다. ]
- 로마 흥망의 교훈으로부터 기업 또는 조직이 배울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교훈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한 마디로 요약하면 [ 지킬 것은 지키고 버릴 것은 버린다 ]는 것이지요. 지컬 것은 확실하 게 지키고 버릴 것은 과감하게 버리면서 자기 변혁을 시도 하자는 것입니다.
어느 시대에나 그 시대에 살아남기위한 전략이 있습니다. 새로운 환경이 도래하면 그 상황 에 맞는 전략을 취해야 합니다. 변화에는 [ 비선형적 변화 ]와 [ 선형적 변화 ]가 있지요. 비 선형적 변화란 패러다임의 전환, 즉 어제나 오늘의 기준으로는 예측할 수 없는 혁신적인 변 화를 말합니다. 선형적 변화는 이와는 달리 주어진 환경 안에서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것입 니다.
예를 들어 로마가 공화정을 유지하면서 그 안에서
성공한 조직으로서의 로마
신한금융종합연구소는 지냔해 12월 신한 그룸의 임원부서장 연수를 위해 내부 자료로 [대경쟁(大競爭)시대에 배우는 로마 흥망(興亡)의 교훈]이란 1백10여쪽 분량의 책자를 펴냈다. 이춘국 기업문화 실장을 팀장으로 5명의 연구원이 6개월간 작업을 한 끝에 펴낸 이 자료는 로마의 성공요인(成功要因)을 연구분석, 한국 금융계에서 어떻게 살아남고 성공할 것인가라는 교훈과 전략을 이끌어낸 것이다.
이번 연구는 조직론(組織論)적인 관점(觀點)에서 로마의 쇠망(衰亡)이 아닌, 성공(成功)의 원인(原因)에 초점을 맞췄다. 작은 도시국가에서 시작해 숱한 경쟁과 도전을 이기고 大제국으로 성장한 로마의 역사를 분석해보면 [한국의 작은 은행]인 신한은행이 세계 유수의 은행으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 비결을 찾을 수 있으리라고 보았던 것이다.
신한그룹은 지난 1월부터 3월까지 [ 로마흥망의 교훈 ]을 자료로 내부연수를 실시했고, 국가경영전략연구원, 광주은행, 동원산업 등에서도 간부들을 대상으로 같은 내용을 소개하기도 했다.
이 연구 작업을 지휘한 송연수 신한종합연구소 부소장(45)과 이춘국 실장(39)을 만나 연구의 동기와 성과 등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 기업의 성공사례가 아닌 로마에 눈을 돌리게 된 동기는.
[ 올해 우리 금융계가 엄청난 어려움에 직면하리라는 것은 이미 예상한 일입니다. 금융시장 개 방과 금리 자율화라고 하는 새로운 한경이 대경쟁을 예고하고 있었기 때문이지요.
외국은행이 진출하고 서비스가 개선되고 대기업은 脫은행화하여 국제금융시장에서 직접 돈 을 구하게 됩니다. 국내 은행들도 이제는 자금운용을 둘러싼 경쟁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 입니다. 지금까지는 돈을 구하려는 사람들이 줄을 서 있었으니 은행들은 편하게 장사했지만 상황이 완전히 달라진 거지요. 그리고 이 경쟁이 앞으로도 계속 격화되리라는 것은 명약관 화한 사실입니다.
이 새로운 도전에 대비하기 위해서 싱가포르 에어라인, IBM, 휴렛 팩커드, 그리고 다른 금 융기관들을 대상으로 벤치마킹을 해왔습니다. [ 최고를 찾아서 ]( In Search of Excellence ) 라는 책에 등장한 사례들도 연구해봤지만 그 책에 등장했던 기업들 중에도 2~3년 후에는 도 산한 경우가 적지 않았어요. 그래서 이런 [한시적]사례가 아닌, [ 영원한 진리 ]를 구하게 된 것이지요]
- 국가와 기업은 속성이 전혀 다른 집단인 만큼 국가의 원리를 기업에 적용하는 것은 무리라는 생각이 듭니다만, 로마의 특히 어떤 점이 교훈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셨습니까.
[ 대경쟁의 시대에 신한은행이 국내 금융시장을 석권하고 세계 금융시장에 진출하려면 작은 도시국가였던 로마가 주변 국가들을 정복하고 끌어들여 광대한 국가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배울 것이 많다고 보았습니다. 로마가 주변국가들과 경쟁하여 승리해가는 과정을 분석해 보 면 [경쟁에서 승리하는 요인 ]에 대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고 본 것이지요. 세계 제패의 꿈 을 가진 조그마한 은행이 로마를 [ 理想型 ]으로 삼아 기업이 아닌 국가를 상대로 벤치마킹 을 해본 겁니다.
기업이나 국가나 그 흥망성쇠(興亡盛衰)의 원리(原理)는 같다고 봅니다. 국가도 기업도 일 차적으로는 존속하고 번영한다는 목표를 갖습니다. 국가나 기업의 번영이라면 일차적으로 양 적인 팽창을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국가로서는 GNP가 늘어나고 영토를 확장하는 것, 기 업으로서는 매출액의 증가 등을 생각할 수 있지요. 그리고 그 결과로서 국민과 종업원 나아 가 소비자들을 더 잘 살게 하는 것이지요. 여러가지 면에서 국가와 기업은 같은 방식으로 움 직일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과거의 성공요인은 과감히 버린다.
- 로마사 연구를 통해 얻은 조직의 성공 요인은 어떤 것입니까.
[ 우선 조직론적인 면에서 로마의 특징은 다양한 인종을 통합한 세계제국이었다는 점, 그리고 한 사람의 영웅보다는 시스팀에 의존해 움직였다는 특징을 드 수 있습니다.
그리고 로마사의 史實들을 일차 미분하여 얻은 결과는 여섯 가지로 요약됩니다. 첫째 요인 은 왕정, 귀족정, 민주정의 원리가 혼합된 로마의 정치체제(王政, 貴族政, 民主政의 原理가 混 合된 로마의 政治體制)가 가장 중요한 성공 요인입니다. 여기서 강조해야 할 것은 시스팀자체 의 우수성보다 환경에 맞게 변화해온 정치 시스팀의 기능입니다.
둘째 요인은 공동체 의식(共同體 意識)과 참여의식(參與意識), 理性을 지닌 로마인들의 市民 性이지요 셋째 요인은 바로 이러한 시민성에 바탕을 둔 [ 노블레스 오블리제 ] 즉, 리 더 집단의 솔선수범하는 節制 意識입니다. 네 번째로는 로마의 개방성(開放性), 포용성 (包容性), 다섯째는 착실하고 지속적인 개혁(改革) 그리고 마지막 요인은 도로와 통신 등을 포함한 인프라의 확립입니다. ]
[ 근본을 지키기 위해 전략을 바꾼다. ]
- 로마 흥망의 교훈으로부터 기업 또는 조직이 배울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교훈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한 마디로 요약하면 [ 지킬 것은 지키고 버릴 것은 버린다 ]는 것이지요. 지컬 것은 확실하 게 지키고 버릴 것은 과감하게 버리면서 자기 변혁을 시도 하자는 것입니다.
어느 시대에나 그 시대에 살아남기위한 전략이 있습니다. 새로운 환경이 도래하면 그 상황 에 맞는 전략을 취해야 합니다. 변화에는 [ 비선형적 변화 ]와 [ 선형적 변화 ]가 있지요. 비 선형적 변화란 패러다임의 전환, 즉 어제나 오늘의 기준으로는 예측할 수 없는 혁신적인 변 화를 말합니다. 선형적 변화는 이와는 달리 주어진 환경 안에서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것입 니다.
예를 들어 로마가 공화정을 유지하면서 그 안에서
키워드
추천자료
신구약 성경의 교회관
초빙교장제에 관하여
청소년시기의 사회교육 - 논문
학교폭력의 원인과 그 해결방안
팀 티칭(Team Teaching),정의,도입배경,설계모형,적용,장단점 정리
신약개론(서울신학대학교)
[정보통계학과] [생산관리]e-Collaboration의 주요형태, 운용구조, 추진 및 해결과제
교육의 역사와 철학
[인문과학] 사회학습이론에 대해 가능한 한 자세히 설명하고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하시오.
[분석/조사]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관광산업에 있어 인터넷(관광정보시스템)이 미치는 영향
유머와 경영연구목적연구배경연구방법내용 결론
프랜차이즈마케팅전략,패밀리레스토랑 프랜차이즈,패밀리레스토랑분석,프랜차이즈사례
(기초간호과학2016)면역에서 과민반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설명하고,4가지 과민반응별로발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