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혼례(婚禮)의 의미
주육례 六禮
주자사례 朱子四禮
근대 결혼식의 절차
결혼의 다양한 유형
현대 중국인들의 결혼
각 민족들의 특색있는 혼인 풍습
[ 漢族 / 만족 / 모쒀족 / 기타 소수 민족의 혼인 ]
중국 결혼 경제학
Behind Story
혼례(婚禮)의 의미
주육례 六禮
주자사례 朱子四禮
근대 결혼식의 절차
결혼의 다양한 유형
현대 중국인들의 결혼
각 민족들의 특색있는 혼인 풍습
[ 漢族 / 만족 / 모쒀족 / 기타 소수 민족의 혼인 ]
중국 결혼 경제학
Behind Story
본문내용
을 지니고 있다. 이는 매년 음력 대보름날부터 3일 동안 미혼 남녀들이 함께 모여 즐기는 축제일로서 서로 마음에 드는 사람과 짝을 지어 산기슭이나 논밭의 언덕 밑에서 노래를 부른 뒤 사랑을 나누는 풍습이다. 대부분 짝짓기 축제일인 \'방녀출란\'때에 배우자를 선택하게 된다.
미아오족 등 일부 소수 민족은 \'혼세 교차제\'를 전통적으로 지키고 있다. 즉 아버지 자매 측의 처녀를 어머니 형제 측의 총각과 결혼을 시키는 풍습이다. 총각측에서 친척을 통해 처녀를 아내로 맞이하고 싶다고 하면 딸을 가진 친척은 절대 다른 곳에 시집보낼 수가 없다.
이와는 반대로 뚱족이나 칭뽀족은 인척간의 혼인을 절대 금지하고 있다. 이들 민족은 어머니 형제나 아버지 형제를 같은 씨족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혼인을 절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중국 대륙 서남 지역의 러빠족은 혼세 교차제(婚歲 交差制)의 혼인을 유달리 장려하고 있는 민족이다. 이 민족은 인척간의 통혼이야말로 \'금화하고도 바꿀 수 없는 혼인\'이라고 여기고 있다. 가령 남편이 사망하면 그 부인은 남편의 형제와 재혼해야 한다. 반대로 부인이 먼저 사망하면 남편은 결혼하지 않은 부인의 자매와 재혼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비슷한 풍습을 가진 민족이 서북 지역의 하사크족과 원크족인데, 이들 근친 결혼을 \'차윤팡\'이라 부르고 법으로 \"남편이 먼저 사망했을 경우 죽은 남편의 형제와 재혼해야 하며, 그 권리와 의무를 지켜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대부분 친인철 끼리만 결혼해야 되므로 이들이 집단으로 살고 있는 곳을 가보면 모두가 가까운 친척들이다.
대륙의 청해성 몽골족. 하사크족 거주 지역에 들렸더니 70여 가구 전부가 가까운 친척들이었다. 어느 한 집은 친사촌과 결혼하여 두 딸과 아들 하나를 두었는데 위의 두 딸중 하나는 이모네 집으로 또 하나는 고모네 집으로 시집을 보냈고, 아들은 삼촌 집 막내딸과 결혼하기로 결정되었다고 설명하였다.
두룽족의 경우는 부인과 사별했을 경우 부인의 자매와 결혼을 하게 되었는데, 나이가 어리면 적령이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이때 남자는 미리 칼, 삼베, 소, 돼지 등을 사전에 혼약의 표시로 여자의 집에 갖다 주어야 한다.
이마오족과 위구르족 역시 부인이 사망하면 부인의 자매와 재혼하는 오랜 풍습이 있다.
타벳족 가운데 청해성에 거주하는 황남 티벳족 자치 지구에서는 \'형제 일처혼\'이란 세계에서 기이한 풍습이유일하게 남아 있는 곳이다. 이것은 옛날부터 장원가(莊園家)에서 해온 결혼 풍습으로, 즉 장남이 결혼하면 그 집 형제 모두가 동시에 결혼하는 것이며, 한 명의 여자를 공동의 아내로 공유하는 풍습이다. 어린아이가 태어나면 연장자인 맏형만이 아버지가 되며, 동생들은 전부 \'리로이\'로만 부르게 하고 있다. 운남성의 리장 유역에 살고 있는 나씨족은 \'아주혼(阿州婚)\'이란 결혼 풍속을 갖고 있다. 이 풍속은 남자가 밤에 처갓집에 가서 노동에 종사하는 생활 풍속이다. 그래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이 끝난 뒤인 밤 시간 이외에는 처갓집에 함부로 찾아갈 수 없다.
운남성 린창지역의 와족 자치 지역인 푸롱 지구, 쓰마오 지구의 와족과 라후족은 모계 가족제를 유지하고 있다. 모든 재산은 여자에게만 상속되며, 결혼한 남자는 자기의 생활 용구와 옷가지 등을 모두 처가에 두고 살아야 하는 풍속이다. 만약 이혼을 하게 되면 남자는 자신의 생활 용구와 옷가지만 가지고 나가야 하며, 자녀들이 있을 경우, 모두 여자 측에서 맡도록 되어 있다. 아이들의 성은 어머니의 성을 따른다.
대륙의 남방 지역에 사는 뚱족, 푸이족, 야오족, 칭뽀족등도 다소 차이는 잇지만 결혼후 여자는 아이가 둘이 될 때까지 시댁에 가지 않고 친정에서 생활한다, 이 가운데 뚱족은 제삿날에만 자기 아내를 잠시 시댁에 데리고 올 뿐 대부분 처갓집에서 생활한다.
푸이족은 결혼 당일 신부가 신랑집에 가서 인사만 하고 돌아온 후 계속 친정에서만 생활한다. 또 신랑집에 특별한 일이 생겨 들리게 되어도 절대 같은 방을 쓰지 않는다.
미아오족, 칭뽀족, 나씨족 거주 지역에는 \'약탈혼\'이란 것이 아직 남아 있다. 중국의 옛 기록을 보면 1,000여년 전 \"북방의 말갈족은 신부 감을 약탈하는 혼인 풍습이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바로 이러한 약탈혼 풍습이 남방지역 민족에게도 남아 있다. 남녀가 서로 좋아하면 부모의 동의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남자 친구들과 함께 처녀가 있는 집에 몰래 가서 여자를 납치해 와 결혼해 사는 풍습이다. 딸을 가진 부모는 자기의 딸이 납치된 것을 알고 신랑감으로서 마음에 들면 중개인을 통해 결혼 승낙을 뜻하는 오색 끈을 보내는데, 이때 사위가 될 남자는 여자집 부모에게 술 두잔을 따라 들이면 된다. 만약 부모가 결혼을 동의할 수 없으면 창을 들고 끝까지 추적하고, 그래도 딸을 찾을 수 없으면 중간에 사람을 넣어 담판을 한다. 남자 측에서 적극적인 구혼 요청을 하면 대게 원만하게 타결된다. 그러나 도저히 타협이 불가능하게 되면 남자 측에 처녀를 돌려보내고 돼지 두 마리를 잡아 받치고 용서를 빌면 된다. 중국 대륙 서남 지역에 거주하는 두룽족은 신부를 맞아들이는 것을 \'푸마\'라고 부르는데, 이 말은 여자를 사 온다는 의미이다. 여자의 값은 솥, 냄비 1개, 화로 1개, 돼지 2마리나 소 1마리 값으로 환산하여 여자 측 부모에게 주면 된다. 그러나 린창 지역의 누족, 이족, 수이족, 와족은 여자의 값을 신체 조건과 용모에 따라 차등을 둔다. 이들 민족이 말하는 가장 아름다운 신체 조건이 좋은 여자는, 첫째 손과 발이 커야 하고, 발목이 가늘며, 엉덩이가 큰 여자이다. 이유는 손발이 큰 여자는 일을 잘하고, 발목이 가는 여자는 성에 비교적 약하며, 엉덩이가 크며 아이를 잘 낳기 때문이라고 이 곳의 안내자는 설명한다. 남자는 이러한 조건이 갖추어진 여자에게 소 10마리의 값으로 환산해 돈을 주든지, 아니면 암소 9마리에 황소 1마리를 여자 측 부모에게 받쳐야 한다.
티벳 자치구의 와족은 남자는 소만 있으면 여자를 얼마든지 살수가 있다. 이들은 자기 집에 소가 몇 마리 있는지를 자랑하는데 소가 세 마리 이상 되면 아주 잘 사는 부잣집에 속한다.
중국 대?
미아오족 등 일부 소수 민족은 \'혼세 교차제\'를 전통적으로 지키고 있다. 즉 아버지 자매 측의 처녀를 어머니 형제 측의 총각과 결혼을 시키는 풍습이다. 총각측에서 친척을 통해 처녀를 아내로 맞이하고 싶다고 하면 딸을 가진 친척은 절대 다른 곳에 시집보낼 수가 없다.
이와는 반대로 뚱족이나 칭뽀족은 인척간의 혼인을 절대 금지하고 있다. 이들 민족은 어머니 형제나 아버지 형제를 같은 씨족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혼인을 절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중국 대륙 서남 지역의 러빠족은 혼세 교차제(婚歲 交差制)의 혼인을 유달리 장려하고 있는 민족이다. 이 민족은 인척간의 통혼이야말로 \'금화하고도 바꿀 수 없는 혼인\'이라고 여기고 있다. 가령 남편이 사망하면 그 부인은 남편의 형제와 재혼해야 한다. 반대로 부인이 먼저 사망하면 남편은 결혼하지 않은 부인의 자매와 재혼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비슷한 풍습을 가진 민족이 서북 지역의 하사크족과 원크족인데, 이들 근친 결혼을 \'차윤팡\'이라 부르고 법으로 \"남편이 먼저 사망했을 경우 죽은 남편의 형제와 재혼해야 하며, 그 권리와 의무를 지켜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대부분 친인철 끼리만 결혼해야 되므로 이들이 집단으로 살고 있는 곳을 가보면 모두가 가까운 친척들이다.
대륙의 청해성 몽골족. 하사크족 거주 지역에 들렸더니 70여 가구 전부가 가까운 친척들이었다. 어느 한 집은 친사촌과 결혼하여 두 딸과 아들 하나를 두었는데 위의 두 딸중 하나는 이모네 집으로 또 하나는 고모네 집으로 시집을 보냈고, 아들은 삼촌 집 막내딸과 결혼하기로 결정되었다고 설명하였다.
두룽족의 경우는 부인과 사별했을 경우 부인의 자매와 결혼을 하게 되었는데, 나이가 어리면 적령이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이때 남자는 미리 칼, 삼베, 소, 돼지 등을 사전에 혼약의 표시로 여자의 집에 갖다 주어야 한다.
이마오족과 위구르족 역시 부인이 사망하면 부인의 자매와 재혼하는 오랜 풍습이 있다.
타벳족 가운데 청해성에 거주하는 황남 티벳족 자치 지구에서는 \'형제 일처혼\'이란 세계에서 기이한 풍습이유일하게 남아 있는 곳이다. 이것은 옛날부터 장원가(莊園家)에서 해온 결혼 풍습으로, 즉 장남이 결혼하면 그 집 형제 모두가 동시에 결혼하는 것이며, 한 명의 여자를 공동의 아내로 공유하는 풍습이다. 어린아이가 태어나면 연장자인 맏형만이 아버지가 되며, 동생들은 전부 \'리로이\'로만 부르게 하고 있다. 운남성의 리장 유역에 살고 있는 나씨족은 \'아주혼(阿州婚)\'이란 결혼 풍속을 갖고 있다. 이 풍속은 남자가 밤에 처갓집에 가서 노동에 종사하는 생활 풍속이다. 그래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이 끝난 뒤인 밤 시간 이외에는 처갓집에 함부로 찾아갈 수 없다.
운남성 린창지역의 와족 자치 지역인 푸롱 지구, 쓰마오 지구의 와족과 라후족은 모계 가족제를 유지하고 있다. 모든 재산은 여자에게만 상속되며, 결혼한 남자는 자기의 생활 용구와 옷가지 등을 모두 처가에 두고 살아야 하는 풍속이다. 만약 이혼을 하게 되면 남자는 자신의 생활 용구와 옷가지만 가지고 나가야 하며, 자녀들이 있을 경우, 모두 여자 측에서 맡도록 되어 있다. 아이들의 성은 어머니의 성을 따른다.
대륙의 남방 지역에 사는 뚱족, 푸이족, 야오족, 칭뽀족등도 다소 차이는 잇지만 결혼후 여자는 아이가 둘이 될 때까지 시댁에 가지 않고 친정에서 생활한다, 이 가운데 뚱족은 제삿날에만 자기 아내를 잠시 시댁에 데리고 올 뿐 대부분 처갓집에서 생활한다.
푸이족은 결혼 당일 신부가 신랑집에 가서 인사만 하고 돌아온 후 계속 친정에서만 생활한다. 또 신랑집에 특별한 일이 생겨 들리게 되어도 절대 같은 방을 쓰지 않는다.
미아오족, 칭뽀족, 나씨족 거주 지역에는 \'약탈혼\'이란 것이 아직 남아 있다. 중국의 옛 기록을 보면 1,000여년 전 \"북방의 말갈족은 신부 감을 약탈하는 혼인 풍습이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바로 이러한 약탈혼 풍습이 남방지역 민족에게도 남아 있다. 남녀가 서로 좋아하면 부모의 동의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남자 친구들과 함께 처녀가 있는 집에 몰래 가서 여자를 납치해 와 결혼해 사는 풍습이다. 딸을 가진 부모는 자기의 딸이 납치된 것을 알고 신랑감으로서 마음에 들면 중개인을 통해 결혼 승낙을 뜻하는 오색 끈을 보내는데, 이때 사위가 될 남자는 여자집 부모에게 술 두잔을 따라 들이면 된다. 만약 부모가 결혼을 동의할 수 없으면 창을 들고 끝까지 추적하고, 그래도 딸을 찾을 수 없으면 중간에 사람을 넣어 담판을 한다. 남자 측에서 적극적인 구혼 요청을 하면 대게 원만하게 타결된다. 그러나 도저히 타협이 불가능하게 되면 남자 측에 처녀를 돌려보내고 돼지 두 마리를 잡아 받치고 용서를 빌면 된다. 중국 대륙 서남 지역에 거주하는 두룽족은 신부를 맞아들이는 것을 \'푸마\'라고 부르는데, 이 말은 여자를 사 온다는 의미이다. 여자의 값은 솥, 냄비 1개, 화로 1개, 돼지 2마리나 소 1마리 값으로 환산하여 여자 측 부모에게 주면 된다. 그러나 린창 지역의 누족, 이족, 수이족, 와족은 여자의 값을 신체 조건과 용모에 따라 차등을 둔다. 이들 민족이 말하는 가장 아름다운 신체 조건이 좋은 여자는, 첫째 손과 발이 커야 하고, 발목이 가늘며, 엉덩이가 큰 여자이다. 이유는 손발이 큰 여자는 일을 잘하고, 발목이 가는 여자는 성에 비교적 약하며, 엉덩이가 크며 아이를 잘 낳기 때문이라고 이 곳의 안내자는 설명한다. 남자는 이러한 조건이 갖추어진 여자에게 소 10마리의 값으로 환산해 돈을 주든지, 아니면 암소 9마리에 황소 1마리를 여자 측 부모에게 받쳐야 한다.
티벳 자치구의 와족은 남자는 소만 있으면 여자를 얼마든지 살수가 있다. 이들은 자기 집에 소가 몇 마리 있는지를 자랑하는데 소가 세 마리 이상 되면 아주 잘 사는 부잣집에 속한다.
중국 대?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과학] 관례,혼례에대하여 구체적으로...
관례,혼례에대하여 구체적으로...
전통혼례감상문
전통혼례의 장단점
일본의 혼인 풍습에 대해
전통혼례의 절차
한국의 혼례와 제례
동지의 명칭과 기원, 동짓날 행해졌던 대표적인 세시풍속과 동지를 제재로 한 당시를 통해 그...
[북한][북한의 상징화][북한의 의생활][북한의 식생활][북한의 혼례][북한의 제사][북한의 성...
혼례의 절차
상장례(상례, 장례식, 장례)의 실제와 의의, 상장례(상례, 장례식, 장례) 대비, 상장례(상례,...
민속문화 체험학습 보고서(전통혼례)
19C(19세기)의 자연주의문학과 재혼풍습, 19C(19세기)의 동아시아침략과 철학, 19C(19세기)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