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Reality Therapy
HISTORY OF REALITY THERAPY
PERSONALITY THEORY: CHOICE THEORY
THEORY OF REALITY THERAPY
PSYCHOLOGICAL DISORDERS
CURRENT TRENDS
USING REALITY THERAPY WITH OTHER THEORIES
RESEARCH
GENDER ISSUES
MUTICULTURAL ISSUES
GROUP COUNSELING
SUMMARY
HISTORY OF REALITY THERAPY
PERSONALITY THEORY: CHOICE THEORY
THEORY OF REALITY THERAPY
PSYCHOLOGICAL DISORDERS
CURRENT TRENDS
USING REALITY THERAPY WITH OTHER THEORIES
RESEARCH
GENDER ISSUES
MUTICULTURAL ISSUES
GROUP COUNSELING
SUMMARY
본문내용
문을 한다. 이러한 질문은 내담자의 내적 세계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질문하는 방식의 변화는 더 많은 이해를 촉진하며 이는 뒤에서 다루게 될 역설의 사용과 관련된다. Wubbolding은 치료자가 질문을 과용하지 않고, 반영적이면서도 적극적인 경청, 지각의 공유, 다른 진술 등이 함께 통합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Being positive
현실 치료자는 내담자가 할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현실 치료자들은 긍정적인 행동과 건설적인 계획을 위하여 기회를 활용한다. 긍정적 진술은 비극적이거나 불평적인 진술을 위해 제시된다. 예를 들어, 내담자가 다른 사람으로 인하여 화가 났다는 것을 호소하면, 현실 치료자들은 \"얼마나 오래 일어났나요?\"나 \"Mary가 당신을 대접해주지 않아서 당신은 지금 화가 났군요.\"라고 응답하지 않는다. 그들은 \"Mary에게 화가 나는 것을 선택하지 않기 위해서 무엇을 할 것을 선택할 것인가요?\"라고 물을 것이다. 상담자의 질문에 대한 강조는 긍정적인 행위에 있다.
Glasser(1976)는 Positive Addiction에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 힘에 대하여 논하였다. 그는 긍정적 중독이 창조성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여주며, 이는 지속적으로 작지만 여전히 유의미한, 삶 속에서 어떠한 문제라도 대처할 수 있는 추가의 힘을 부여한다고 주장하였다. 긍정적 중독은 부정적 중독과 마찬가지로 금단 증상을 갖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경쟁적이지 않은 활동과, 최소한의 정신적 노력, 육체적, 정신적, 영적 가치와 자기에 대한 무비판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긍정적이 되는 것에는 모든 것의 장점을 보는 것과, 희망과 소통하는 두 측면이 있다. (Ex. 10달에 9번 직장에서 해고된 전과자)
Metaphors
내담자의 언어에 관심을 기울이고, 내담자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은 내담자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그가 떠났을 때 지붕이 무너지는 것 같았아요\"라고 내담자가 말한다면, \"지붕이 몸 위로 떨어질 때 어떤 느낌이었나요?\"라고 물을 수 있을 것이다. 중요한 점은 치료자가 내담자의 개인적 인지(perceptions)와 동일한 시각에서 이야기하는 것이다.
Humor
현실 치료자들이 내담자와 맺고자 하는 친밀한 개입을 하기에, 유머는 현실 치료에 적합하다. 치료자는 종종 자신의 실수에 대하여 웃기도 하는데 이는, 내담자가 똑같이 할 수 있도록 격려하게 된다. 이는 내담자가 자신의 계획을 실현하지 못했을 때 실망감을 떨쳐버리는 데 도움이 된다.
즐거움(fun)이 기본적인 욕구이므로, 유머는 치료 기간 중 일정 부분 적절하게 활용된다. 치료자와 내담자가 농담을 나누는 동안 힘을 균등하게 하고, 즐거움에 대한 욕구를 나누게 된다. 유머가 친밀한 관계를 만드는 데까지 확장되면, 그것은 내담자의 소속에 대한 욕구를 만족시키도록 돕는다. 물론 유머는 강요되지 않는다.
Confrontation
현실 치료자들은 변명을 받아들이지 않고, 또한 그들의 작업에 대하여 쉽게 포기하지 않기 때문에 직면은 피할 수 없다. 직면에 있어서, 치료자들은 여전히 내담자들의 변명을 다루는데 있어 긍정적이 되어야 한다. 변명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직면의 한 형태이며, 치료자들은 내담자를 비판하거나 내담자와 논쟁하지 않고, 대신 계속해서 전 행위를 탐색하고 실제적인 계획을 세우려고 노력을 쏟는다.
직면은 현실 치료의 어느 장면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Alan의 예. P416.
Paradoxical techniques
현실 치료에서 계획을 세우고 내담자가 계획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은 보통 직접적으로 행해진다. 그러나 때때로 내담자는 자신이 세운 계획을 실천하는 것을 저항한다. 역설적 기법은 내담자에게 모순되는 지시를 하는 것이다. 긍정적인 변화는 치료자가 제시하는 옵션 중의 하나를 따르는 것에서 비롯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직장에서 강박적으로 실수를 하는 환자에게 실수를 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만약 내담자가 실수를 하려고 한다면, 그는 문제에 대한 통제력을 갖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게 되며, 만약 내담자가 제안을 거부한다면, 행위는 통제되고 제거된다. 역설적 기법은 사전에 준비되기 어렵고, 사용하기도 어렵다. Glasser는 현실 치료를 익히기에 2년의 기간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는 역설적 기법 사용의 난점에 대하여 검토한다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지각, 욕구, 전 행위에 대하여 다루는 선택 이론을 재고찰 할 때 이 속에 이미 암묵적인 역설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개인은 자신의 지각을 통제하고, 지적이며 성공적으로 보고 싶어한다. 지각을 바라는 것은 변화시키지 않는다. 누군가를 매력적으로 바라보기를 바라는 것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잘 작동하지 않으며, 역설적으로 매력에 대한 지각은 친밀도에 의하여 변화한다. 행위는 지각 그 자체를 바꾸는 것보다 쉽게 지각하는 바를 바꾼다. 또한 욕구는 서로의 욕구 사이에서 갈등을 빚을 수 있으며, 욕구는 바로 충족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그림과 지각에 의존하여 충족된다. 또한 전 행위에 있어 우리는 느낌과 생각에 주의를 더 기울이지만, 느낌은 느낌에 대하여 이야기할 때가 아니라, 행동하거나 행위를 바꿀 때 변화한다.
역설적 기법으로는 재구성(reframing)과 지시(prescription)이 언급될 수 있다. 역설적 지시는 내담자들이 그들 자신이 그들의 행위를 통제하고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하여 준다. 더 우울하여 질 수 있다는 것은 그 개인이 덜 우울함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재구성은 개인이 그 주제에 대하여 생각하는 방식을 바꾸는 것을 돕는다.
PSYCHOLOGICAL DISORDERS
Eating Disorders: Choosing to Starve and Purge
Glasser(1989)는 섭식장애를 중독으로 보았다. 그에 따르면 중독은 쉽게 할 수 있고, 다른 사람에 의존하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우리에게 일시적인 즐거움을 주거나 줄 것으로 믿기를 선택하는 행위를 말한다. 그러나 우리는 다른 중독에서 처럼 섭식장애에서 중독을 완전히 포기할 수는 없다; 그렇지 않으면
질문하는 방식의 변화는 더 많은 이해를 촉진하며 이는 뒤에서 다루게 될 역설의 사용과 관련된다. Wubbolding은 치료자가 질문을 과용하지 않고, 반영적이면서도 적극적인 경청, 지각의 공유, 다른 진술 등이 함께 통합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Being positive
현실 치료자는 내담자가 할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현실 치료자들은 긍정적인 행동과 건설적인 계획을 위하여 기회를 활용한다. 긍정적 진술은 비극적이거나 불평적인 진술을 위해 제시된다. 예를 들어, 내담자가 다른 사람으로 인하여 화가 났다는 것을 호소하면, 현실 치료자들은 \"얼마나 오래 일어났나요?\"나 \"Mary가 당신을 대접해주지 않아서 당신은 지금 화가 났군요.\"라고 응답하지 않는다. 그들은 \"Mary에게 화가 나는 것을 선택하지 않기 위해서 무엇을 할 것을 선택할 것인가요?\"라고 물을 것이다. 상담자의 질문에 대한 강조는 긍정적인 행위에 있다.
Glasser(1976)는 Positive Addiction에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 힘에 대하여 논하였다. 그는 긍정적 중독이 창조성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여주며, 이는 지속적으로 작지만 여전히 유의미한, 삶 속에서 어떠한 문제라도 대처할 수 있는 추가의 힘을 부여한다고 주장하였다. 긍정적 중독은 부정적 중독과 마찬가지로 금단 증상을 갖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경쟁적이지 않은 활동과, 최소한의 정신적 노력, 육체적, 정신적, 영적 가치와 자기에 대한 무비판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긍정적이 되는 것에는 모든 것의 장점을 보는 것과, 희망과 소통하는 두 측면이 있다. (Ex. 10달에 9번 직장에서 해고된 전과자)
Metaphors
내담자의 언어에 관심을 기울이고, 내담자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은 내담자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그가 떠났을 때 지붕이 무너지는 것 같았아요\"라고 내담자가 말한다면, \"지붕이 몸 위로 떨어질 때 어떤 느낌이었나요?\"라고 물을 수 있을 것이다. 중요한 점은 치료자가 내담자의 개인적 인지(perceptions)와 동일한 시각에서 이야기하는 것이다.
Humor
현실 치료자들이 내담자와 맺고자 하는 친밀한 개입을 하기에, 유머는 현실 치료에 적합하다. 치료자는 종종 자신의 실수에 대하여 웃기도 하는데 이는, 내담자가 똑같이 할 수 있도록 격려하게 된다. 이는 내담자가 자신의 계획을 실현하지 못했을 때 실망감을 떨쳐버리는 데 도움이 된다.
즐거움(fun)이 기본적인 욕구이므로, 유머는 치료 기간 중 일정 부분 적절하게 활용된다. 치료자와 내담자가 농담을 나누는 동안 힘을 균등하게 하고, 즐거움에 대한 욕구를 나누게 된다. 유머가 친밀한 관계를 만드는 데까지 확장되면, 그것은 내담자의 소속에 대한 욕구를 만족시키도록 돕는다. 물론 유머는 강요되지 않는다.
Confrontation
현실 치료자들은 변명을 받아들이지 않고, 또한 그들의 작업에 대하여 쉽게 포기하지 않기 때문에 직면은 피할 수 없다. 직면에 있어서, 치료자들은 여전히 내담자들의 변명을 다루는데 있어 긍정적이 되어야 한다. 변명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직면의 한 형태이며, 치료자들은 내담자를 비판하거나 내담자와 논쟁하지 않고, 대신 계속해서 전 행위를 탐색하고 실제적인 계획을 세우려고 노력을 쏟는다.
직면은 현실 치료의 어느 장면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Alan의 예. P416.
Paradoxical techniques
현실 치료에서 계획을 세우고 내담자가 계획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은 보통 직접적으로 행해진다. 그러나 때때로 내담자는 자신이 세운 계획을 실천하는 것을 저항한다. 역설적 기법은 내담자에게 모순되는 지시를 하는 것이다. 긍정적인 변화는 치료자가 제시하는 옵션 중의 하나를 따르는 것에서 비롯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직장에서 강박적으로 실수를 하는 환자에게 실수를 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만약 내담자가 실수를 하려고 한다면, 그는 문제에 대한 통제력을 갖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게 되며, 만약 내담자가 제안을 거부한다면, 행위는 통제되고 제거된다. 역설적 기법은 사전에 준비되기 어렵고, 사용하기도 어렵다. Glasser는 현실 치료를 익히기에 2년의 기간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는 역설적 기법 사용의 난점에 대하여 검토한다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지각, 욕구, 전 행위에 대하여 다루는 선택 이론을 재고찰 할 때 이 속에 이미 암묵적인 역설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개인은 자신의 지각을 통제하고, 지적이며 성공적으로 보고 싶어한다. 지각을 바라는 것은 변화시키지 않는다. 누군가를 매력적으로 바라보기를 바라는 것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잘 작동하지 않으며, 역설적으로 매력에 대한 지각은 친밀도에 의하여 변화한다. 행위는 지각 그 자체를 바꾸는 것보다 쉽게 지각하는 바를 바꾼다. 또한 욕구는 서로의 욕구 사이에서 갈등을 빚을 수 있으며, 욕구는 바로 충족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그림과 지각에 의존하여 충족된다. 또한 전 행위에 있어 우리는 느낌과 생각에 주의를 더 기울이지만, 느낌은 느낌에 대하여 이야기할 때가 아니라, 행동하거나 행위를 바꿀 때 변화한다.
역설적 기법으로는 재구성(reframing)과 지시(prescription)이 언급될 수 있다. 역설적 지시는 내담자들이 그들 자신이 그들의 행위를 통제하고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하여 준다. 더 우울하여 질 수 있다는 것은 그 개인이 덜 우울함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재구성은 개인이 그 주제에 대하여 생각하는 방식을 바꾸는 것을 돕는다.
PSYCHOLOGICAL DISORDERS
Eating Disorders: Choosing to Starve and Purge
Glasser(1989)는 섭식장애를 중독으로 보았다. 그에 따르면 중독은 쉽게 할 수 있고, 다른 사람에 의존하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우리에게 일시적인 즐거움을 주거나 줄 것으로 믿기를 선택하는 행위를 말한다. 그러나 우리는 다른 중독에서 처럼 섭식장애에서 중독을 완전히 포기할 수는 없다; 그렇지 않으면
키워드
추천자료
심령치료에 대한 이해와 그 사례
노인복지를 위한 음악치료에 대한 이해와 해부
미술치료에 대한 이해와 사례
[한국가정문제]이혼에 대한 이해와 이혼가족의 문제 그리고 가족복지 대책 및 치료 사례
[Family Therapy] 가족치료에 대한 이해와 사례 연구 레포트
게슈탈트 심리치료에 대한 이해와 상담 지도자의 역할 및 태도와 과제
미술치료에 대한 이해
[인문과학]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의미
악성 종양에 대한 전자선 치료 이해 (의약학)
언어장애에 대한 이해 - 언어장애의 개념과 언어장애의 분류 및 언어장애 영유아의 치료와 교육
[경험주의 가족치료 이론 내용 정리 ] Satir의 가족치료에 대한 이해와 방법, 기여점, 한계점...
사회복지, 평생교육, 성인학습 및 상담에 대한 이해 (상담의 의미, 상담, 심리치료, 생활지도...
[색채치료/色彩治療/Color Therapy] 색상의 감각 표현에 대한 이해
아동상담의 심리치료과정에 대한 이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