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실학사상과 국문학 ▣
1. 실학
1) 실학의 발생
2) 실학사상과 국문학
2. 실학 사상과 사설시조
1) 사설시조
2) 사설시조의 발생 (17C 발생, 18C 융성)
3) 사설시조의 특징
4) 작품
3. 실학 사상과 가사(歌辭)
1) ‘가사’의 변모
2) 현실비판가사
4. ‘산문문학’의 발달
1) 야담의 세계
2) 판소리 문학의 성장
3) ‘가면극’의 등장
4) 소설의 발달
5. 결론
1. 실학
1) 실학의 발생
2) 실학사상과 국문학
2. 실학 사상과 사설시조
1) 사설시조
2) 사설시조의 발생 (17C 발생, 18C 융성)
3) 사설시조의 특징
4) 작품
3. 실학 사상과 가사(歌辭)
1) ‘가사’의 변모
2) 현실비판가사
4. ‘산문문학’의 발달
1) 야담의 세계
2) 판소리 문학의 성장
3) ‘가면극’의 등장
4) 소설의 발달
5. 결론
본문내용
▣ 실학사상과 국문학 ▣
1. 실학
1) 실학의 발생
(1) 실학의 연원: ‘실사구시’의 약칭. 중국 전한서의 “학문을 닦고 옛 것을 좋아하며, 실제의 일에서 옳은 것을 구한다.”는 말에서 연원.
(2) 실학의 발생: 중국에서 실학이 출현하게 된 것은 17세기 후반기에서 18세기 전반기 사이로, 고증학풍의 출현에 따라 점차 실사구시의 학풍이 형성.
2) 실학의 의미
① 실학이란 본래 유학자들이 스스로의 학문을 도교 및 불교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해 온 말.
② 그러나 일반적으로 말하는 실학이란 유학의 한 학풍으로 진보적 사회사조 및 학문연구방법을 의미.
3) 한국의 실학사상
(1) 발생: 당시 시대 상황과 밀접한 관련.
① 임란 호란 양대 국란을 겪은 후 정치적 혼란과 경제적 피폐는 기존의 봉건적 규범과 질서에 영향을 줌. → 양반 지배층의 무능과 허식이 폭로. 평민들의 자아의식이 싹트면서, 평민 대중의 계층이 사회의 표면으로 부각.
② 사상적으로는 전통적인 주자학은 관념적이고 형식적인 낡은 이념 → 보다 현실적이고 인간 생활 위주의 근대적 사상인 실학이 일어나게 됨.
(2) 특징
① 실증 실용을 특징으로 하는 실사구시의 학문.
② 민본주의적 민주사상.
③ 사대주의에 대한 반대.
④ 민족적 자주정신의 강조.
2. 실학사상과 국문학
- 의의: 당시 사회를 반영하고, 세태에 대해 풍자. 서민적인 소박한 생활 감정이 솔직하게 표현.
1) 특징
① 현실에 대한 비판과 평민 의식을 구가하는 새로운 내용이 작품 속에 투영.
②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삶의 의미를 추구.
③ 의식의 성장과 한글의 보급으로 작가의 범위가 확대. → 여성 서민문학의 발생.
④ 작품의 제재 및 주제의 변화
⑤ 운문 중심에서 산문 중심의 문학으로 이행.
2) 문학의 양상
- 사설시조의 발생
- 가사문학의 변질
- 소설문학의 발전
(1) 사설시조
① 산문 정신의 발달 → 파격 형태인 사설시조의 탄생.
② 서민들의 진솔한 자기표현.
③ 객관적인 사실성이 도입.
④ 가사와 민요 형식이 혼입.
⑤ 대화가 많고 장형화.
⑥ 구체적 이야기와 대담성. 풍자를 통한 비유와 적나라한 폭로.
⑦ 작품의 질적 수준은 낮음.
(2) 가사
① 장편가사의 등장.
② 작품의 제재 및 주제의 다양화.
③ 작자 층과 표현 양식의 다양화.
(3) 소설
① 운문에 비해 쉽고, 자유로운 형식으로 인한 서민들의 참여.
② 현실에 대한 비판과 평민의식을 구가.
③ 현실적인 소재.
④ 평범한 주인공.
⑤ 방각본의 활성화로 인한 작품의 양적 증가.
※ 연암소설의 특징
① 당시 양반의 행습을 여러 가지 묘사를 통해 자세히 구현 비판.
② 현실생활에서의 소재 선택.
③ 재자가인이나 영웅이 아닌 서민 계층이 주인공으로 등장.
④ 내면적 심리의 추리.
⑤ 현실적인 표현.
3. 실학 사상과 사설시조
조선 후기의 사회경제적인 요인(양란과 상인발달로 인한 신분제 동요)으로 인해 실학이 발달하게 되었는데, 그 실학이 조선 후기의 문학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이 시기에는 사설시조, 가사, 산문문학(수필), 판소리, 가면극 등이 발전하였다.
1) 사설시조
- 시조는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 세 가지 또는 평시조. 사설시조 두 가지로 나눈다. 평시조의 형식에서 조금만 벗어나 둘째 줄이 4구에서 6구로 벗어나면 엇시조라 하는 것이 관례이다. 변형의 정도가 심해서 2행 이상이 6구로, 어느 1행이 8구로 늘어난 것부터 사설시조라 한다. 즉, 사설시조는 서민의식의 성장과 실학사상등장, 성리학체제가 파괴되면서 문학적으로 산문화경향의 조류에 힘입어 삶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일정한 틀에 묶여있던 3행시의 형태를 깨뜨리게 되었다.
2) 사설시조의 발생 (17C 발생, 18C 융성)
① 임진왜란 이후 조선 왕조의 모순 노출 → ② 서민 의식의 각성 → ③ 실학의 대두 →
④ 산문 정신의 발달 → ⑤ 사설시조 발생
3) 사설시조의 특징
① 중장이 길다.
② 종장은 평시조와 비슷한 틀을 유지하되 초중장 혹은 그 중 어느 일부가 4음보 율격의 정제된 구조에서 현저하게 이탈하여 장형화 함.
③ 평시조의 영탄, 서경에서 벗어남
④ 일상의 생활에 쓰이는 언어를 그대로 시어로 채택
⑤ 서민들의 고달픈 생활을 해학적으로 그림
⑥ 주도적 인물-평민가객
⑦ 대담한 묘사상징과 은유 사용
⑧ 시정(市井)의 현실적 삶을 주로 표현
⑨ 실학사상 반영
⑩ 미의식 : 해학미골계미 주로 추구
⑪ 현실의 모순을 날카롭게 풍자
4) 작품
제목 가버슨 兒孩(아해)ㅣ 들리
작자 : 이 정 신
가버슨 아해(兒孩)ㅣ들리 거
1. 실학
1) 실학의 발생
(1) 실학의 연원: ‘실사구시’의 약칭. 중국 전한서의 “학문을 닦고 옛 것을 좋아하며, 실제의 일에서 옳은 것을 구한다.”는 말에서 연원.
(2) 실학의 발생: 중국에서 실학이 출현하게 된 것은 17세기 후반기에서 18세기 전반기 사이로, 고증학풍의 출현에 따라 점차 실사구시의 학풍이 형성.
2) 실학의 의미
① 실학이란 본래 유학자들이 스스로의 학문을 도교 및 불교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해 온 말.
② 그러나 일반적으로 말하는 실학이란 유학의 한 학풍으로 진보적 사회사조 및 학문연구방법을 의미.
3) 한국의 실학사상
(1) 발생: 당시 시대 상황과 밀접한 관련.
① 임란 호란 양대 국란을 겪은 후 정치적 혼란과 경제적 피폐는 기존의 봉건적 규범과 질서에 영향을 줌. → 양반 지배층의 무능과 허식이 폭로. 평민들의 자아의식이 싹트면서, 평민 대중의 계층이 사회의 표면으로 부각.
② 사상적으로는 전통적인 주자학은 관념적이고 형식적인 낡은 이념 → 보다 현실적이고 인간 생활 위주의 근대적 사상인 실학이 일어나게 됨.
(2) 특징
① 실증 실용을 특징으로 하는 실사구시의 학문.
② 민본주의적 민주사상.
③ 사대주의에 대한 반대.
④ 민족적 자주정신의 강조.
2. 실학사상과 국문학
- 의의: 당시 사회를 반영하고, 세태에 대해 풍자. 서민적인 소박한 생활 감정이 솔직하게 표현.
1) 특징
① 현실에 대한 비판과 평민 의식을 구가하는 새로운 내용이 작품 속에 투영.
②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삶의 의미를 추구.
③ 의식의 성장과 한글의 보급으로 작가의 범위가 확대. → 여성 서민문학의 발생.
④ 작품의 제재 및 주제의 변화
⑤ 운문 중심에서 산문 중심의 문학으로 이행.
2) 문학의 양상
- 사설시조의 발생
- 가사문학의 변질
- 소설문학의 발전
(1) 사설시조
① 산문 정신의 발달 → 파격 형태인 사설시조의 탄생.
② 서민들의 진솔한 자기표현.
③ 객관적인 사실성이 도입.
④ 가사와 민요 형식이 혼입.
⑤ 대화가 많고 장형화.
⑥ 구체적 이야기와 대담성. 풍자를 통한 비유와 적나라한 폭로.
⑦ 작품의 질적 수준은 낮음.
(2) 가사
① 장편가사의 등장.
② 작품의 제재 및 주제의 다양화.
③ 작자 층과 표현 양식의 다양화.
(3) 소설
① 운문에 비해 쉽고, 자유로운 형식으로 인한 서민들의 참여.
② 현실에 대한 비판과 평민의식을 구가.
③ 현실적인 소재.
④ 평범한 주인공.
⑤ 방각본의 활성화로 인한 작품의 양적 증가.
※ 연암소설의 특징
① 당시 양반의 행습을 여러 가지 묘사를 통해 자세히 구현 비판.
② 현실생활에서의 소재 선택.
③ 재자가인이나 영웅이 아닌 서민 계층이 주인공으로 등장.
④ 내면적 심리의 추리.
⑤ 현실적인 표현.
3. 실학 사상과 사설시조
조선 후기의 사회경제적인 요인(양란과 상인발달로 인한 신분제 동요)으로 인해 실학이 발달하게 되었는데, 그 실학이 조선 후기의 문학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이 시기에는 사설시조, 가사, 산문문학(수필), 판소리, 가면극 등이 발전하였다.
1) 사설시조
- 시조는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 세 가지 또는 평시조. 사설시조 두 가지로 나눈다. 평시조의 형식에서 조금만 벗어나 둘째 줄이 4구에서 6구로 벗어나면 엇시조라 하는 것이 관례이다. 변형의 정도가 심해서 2행 이상이 6구로, 어느 1행이 8구로 늘어난 것부터 사설시조라 한다. 즉, 사설시조는 서민의식의 성장과 실학사상등장, 성리학체제가 파괴되면서 문학적으로 산문화경향의 조류에 힘입어 삶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일정한 틀에 묶여있던 3행시의 형태를 깨뜨리게 되었다.
2) 사설시조의 발생 (17C 발생, 18C 융성)
① 임진왜란 이후 조선 왕조의 모순 노출 → ② 서민 의식의 각성 → ③ 실학의 대두 →
④ 산문 정신의 발달 → ⑤ 사설시조 발생
3) 사설시조의 특징
① 중장이 길다.
② 종장은 평시조와 비슷한 틀을 유지하되 초중장 혹은 그 중 어느 일부가 4음보 율격의 정제된 구조에서 현저하게 이탈하여 장형화 함.
③ 평시조의 영탄, 서경에서 벗어남
④ 일상의 생활에 쓰이는 언어를 그대로 시어로 채택
⑤ 서민들의 고달픈 생활을 해학적으로 그림
⑥ 주도적 인물-평민가객
⑦ 대담한 묘사상징과 은유 사용
⑧ 시정(市井)의 현실적 삶을 주로 표현
⑨ 실학사상 반영
⑩ 미의식 : 해학미골계미 주로 추구
⑪ 현실의 모순을 날카롭게 풍자
4) 작품
제목 가버슨 兒孩(아해)ㅣ 들리
작자 : 이 정 신
가버슨 아해(兒孩)ㅣ들리 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