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사설시조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문과학] 사설시조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사설시조가 등장하게 된 역사적 배경
작가층의 변화

Ⅱ. 본론
주제별 분류
1. 사회를 비판하고 풍자하는 작품
2. 성에 대한 직설적 표현
3. 일상생활을 그린 작품

Ⅲ. 결론
총체적정리

본문내용

지이 사오
댁들에 동난지이 사오
져 쟝스야, 네 황후 긔 무서시라 웨는다, 사쟈.
外骨內肉(외골내육), 兩目(양목)이 上天(상천), 前行後行(전행후행), 小(소)아리 八(팔)足(족) 大(대)아리 二足(이족), 淸醬(청장) 스슥 한 동난이이 사오.
쟝스야, 하 거복이 웨지 말고 게젓이라 하렴은.
<현대어풀이>
여러 댁들이여, 동난지를 사시오.
저 장수야 네 파는 상품을 무엇이라 외치느냐? (그 물건을) 사자.
껍데기는 딱딱하고 속에는 연한 살이 있으며, 두 눈은 하늘을 향하고, 앞으로 갔다 뒤로 갔다, 작은 다리 여덟 개에다 큰 다리가 둘이라. (씹으면) 청장이 아스슥 소리가 나는 동난지 사시오.
장수야, 그렇게 거북하게 외치지 말고 (쉽게) 게젓이라 외치려무나.
위 작품은 시장에서 게젓을 파는 장사꾼과 대화하는 장면을 시조로 읊은 것인데, 이것의 특징은 게젓이라 하면 될 걸 문자를 써가며 아는 체하고, 유식하게 보이려는 장사꾼에 대한 풍자이다.
그 당시에도 쉽게 말하면 될 것을 현학적인 표현을 써가며 자신을 과시하고자 하는 양반계층에 대해 자신의 분수를 알고 겸손할 것을 익살스럽게 표현한 우리 선조들의 풍자와 해학을 엿볼 수 있다. 또 이 작품은 특정한 시공간 속에서 벌어지고 있는 상황을 인물 쌍방간의 대화로 그려냄으로써 보다 강한 현장성을 띠게 되어 화자의 태도를 분명하게 드러내주고 강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효과를 가진다.
(2) 두터비 리를 물고
두터비 리를 물고 두험 우회 치라 안자
것넌 山(산) 라보니 白松骨(백송골)이 떠잇거, 가슴이 금즉여 풀덕 뛰여 내다가 두험 아래 잣바지거고.
모쳐라 낸 낼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3.31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17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