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정상 BUN치는 6~20mg이다. 혈액요소질소는 단백질의 대사산물로서 간에 의해 합성되고 신장으로 배설된다.
그러므로 혈액요소질소의 수치는 신장기능을 나타내는 동시에 간기능도 반영하며 다음과 같은 경우 상승한다.
- 일부 항암제
- 탈수
- 신장질환
- 간질환
한편 간- 신 증후군(hepatorenal syndrome)이 있거나 간과 신장질환의 복합되어 있을 때 BUN 치가 정상일 수 있다. 이는 신배설기능이 좋기 때문이 아니라 간기능이 나쁘기 때문에 BUN 형성이 감소되므로 BUN치가 낮게 나타나는 것이다.
- 혈중요소질소 - creatinine 비율 ( BUN 0 creatinine ratio)
: 때로 혈중요소질소 비율은 신기능 측정지표로 이용되는데 정상 비율은 10~20 : 1 이다, 혈중 요소질소의 비율에서 BUN의 증가는 혈액손실, 심한 설사, 심부전, 간질환 등 신전성 원인(prerenal causes)으로 인한 신손상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원인으로 인해 비율이 20:1 이상으로 증가된다.
- 요산 ( Uric acid)
: 요산은 단백대사에서 생성되는 질소성 산물로 퓨린의 최종 대사산물이다. 퓨린(purines)은 세포핵산 대사와 복합적인 단백식이대사에 의해 생성된다. 혈청내 요산 수준은 신기능장애가 있거나 퓨린대사의 장애가 있을 때 상승한다. 혈청내 요산의 정상수준은 남성 2.1~ 7.5mg , 여성 2.0~6.6ng이다.
- 기타 검사
: 만성 신부전환자는 적혈구조혈호르몬 생성이 감소되므로 혈색소와 헤마토크리트치가 낮다. 백혈구는 요로계의 감염이 있으면 상승된다. 혈청포타슘과 인의 수준은 급성 신부전과 요독증이 있을 때 상승되는데 고칼륨혈증과 대사성산증은 특히 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흔하다. 만성 신부전 시 혈청 내 인은 상승되고 혈청칼슘은 감소된다.
2. 요검사물 수집방법
- 무작위 검사물 (Random specimens)
: 무작위 검사물은 언제라도 수집할 수 있지만 이른 아침의 검사물이 신장의 요농축 능력과 함유물질을 확인하는데 더 정확한 결과를 제공한다. 특별한 준비는 필요없으나 여성은 회음부위를 깨끗이 씻도록 한다. 검사물은 깨끗한 용기에 담는다. 이 검사물은 배양 및 민감도검사에 사용할 수 없고 배양과 민감도검사를 위해서는 검사물로 중간뇨를 수집해야 한다.
- 중간뇨 검사물(Clean catch specimen, midstream specimen)
: 보통 정규적인 소변분석검사, 요침전물 검사, 배양 및 민감도 검사에 사용된다. 요로감염이 의심되면 항생제를 투여하기 전에 검사물을 채취해야 한다.
중간뇨 검사물 채취를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항생제를 투여하기 전에 검사물을 수집한다.
2) 요도개구부를 0.5% chlorhexidine과 같은 소독용액으로 청결하게 닦는다. 변기에 배뇨 를 시작한다.
3) 배뇨 중간에 검사용 용기에 적당한 양의 소변을 받는다.
4) 변기에다 배뇨를 마친다.
요도 개구부를 정확히 닦기 위해 남성은 포피가 안쪽으로 당겨지도록 해야 하며, 여성은 요도개구부를 노출시켜 닦기 위해 음순을 완전히 벌려야 함을 환자에게 이해시킨다. 중간뇨 방법으로 검사물을 채취하여 요도 개구부에 남아있는 세균, 농, 소독 용액이 검사물에 섞이지 않도록 한다.
- 인공도뇨 검사물 (Catheter specimens)
: 배양검사물 채취를 위해 도뇨를 시행한다. 그러나 도뇨를 통해 요도나 방광으로 유기체가 침입할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이 시술은 피하는 것이 좋다. 특히 신부전 대상자는 세균을 씻어 낼 것이 좋다. 특히 신부전 대상자는 세균을 씻어낼 만큼 충분한 소변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요로 감염의 위험이 크다.
흐
그러므로 혈액요소질소의 수치는 신장기능을 나타내는 동시에 간기능도 반영하며 다음과 같은 경우 상승한다.
- 일부 항암제
- 탈수
- 신장질환
- 간질환
한편 간- 신 증후군(hepatorenal syndrome)이 있거나 간과 신장질환의 복합되어 있을 때 BUN 치가 정상일 수 있다. 이는 신배설기능이 좋기 때문이 아니라 간기능이 나쁘기 때문에 BUN 형성이 감소되므로 BUN치가 낮게 나타나는 것이다.
- 혈중요소질소 - creatinine 비율 ( BUN 0 creatinine ratio)
: 때로 혈중요소질소 비율은 신기능 측정지표로 이용되는데 정상 비율은 10~20 : 1 이다, 혈중 요소질소의 비율에서 BUN의 증가는 혈액손실, 심한 설사, 심부전, 간질환 등 신전성 원인(prerenal causes)으로 인한 신손상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원인으로 인해 비율이 20:1 이상으로 증가된다.
- 요산 ( Uric acid)
: 요산은 단백대사에서 생성되는 질소성 산물로 퓨린의 최종 대사산물이다. 퓨린(purines)은 세포핵산 대사와 복합적인 단백식이대사에 의해 생성된다. 혈청내 요산 수준은 신기능장애가 있거나 퓨린대사의 장애가 있을 때 상승한다. 혈청내 요산의 정상수준은 남성 2.1~ 7.5mg , 여성 2.0~6.6ng이다.
- 기타 검사
: 만성 신부전환자는 적혈구조혈호르몬 생성이 감소되므로 혈색소와 헤마토크리트치가 낮다. 백혈구는 요로계의 감염이 있으면 상승된다. 혈청포타슘과 인의 수준은 급성 신부전과 요독증이 있을 때 상승되는데 고칼륨혈증과 대사성산증은 특히 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흔하다. 만성 신부전 시 혈청 내 인은 상승되고 혈청칼슘은 감소된다.
2. 요검사물 수집방법
- 무작위 검사물 (Random specimens)
: 무작위 검사물은 언제라도 수집할 수 있지만 이른 아침의 검사물이 신장의 요농축 능력과 함유물질을 확인하는데 더 정확한 결과를 제공한다. 특별한 준비는 필요없으나 여성은 회음부위를 깨끗이 씻도록 한다. 검사물은 깨끗한 용기에 담는다. 이 검사물은 배양 및 민감도검사에 사용할 수 없고 배양과 민감도검사를 위해서는 검사물로 중간뇨를 수집해야 한다.
- 중간뇨 검사물(Clean catch specimen, midstream specimen)
: 보통 정규적인 소변분석검사, 요침전물 검사, 배양 및 민감도 검사에 사용된다. 요로감염이 의심되면 항생제를 투여하기 전에 검사물을 채취해야 한다.
중간뇨 검사물 채취를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항생제를 투여하기 전에 검사물을 수집한다.
2) 요도개구부를 0.5% chlorhexidine과 같은 소독용액으로 청결하게 닦는다. 변기에 배뇨 를 시작한다.
3) 배뇨 중간에 검사용 용기에 적당한 양의 소변을 받는다.
4) 변기에다 배뇨를 마친다.
요도 개구부를 정확히 닦기 위해 남성은 포피가 안쪽으로 당겨지도록 해야 하며, 여성은 요도개구부를 노출시켜 닦기 위해 음순을 완전히 벌려야 함을 환자에게 이해시킨다. 중간뇨 방법으로 검사물을 채취하여 요도 개구부에 남아있는 세균, 농, 소독 용액이 검사물에 섞이지 않도록 한다.
- 인공도뇨 검사물 (Catheter specimens)
: 배양검사물 채취를 위해 도뇨를 시행한다. 그러나 도뇨를 통해 요도나 방광으로 유기체가 침입할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이 시술은 피하는 것이 좋다. 특히 신부전 대상자는 세균을 씻어 낼 것이 좋다. 특히 신부전 대상자는 세균을 씻어낼 만큼 충분한 소변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요로 감염의 위험이 크다.
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