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대수학
17세기 수학
18세기 수학
19세기 수학
현대수학
수학의 패러독스
17세기 수학
18세기 수학
19세기 수학
현대수학
수학의 패러독스
본문내용
의 체적을 가진 정육면체를 만드는 것.
위의 두 문제의 초등기하작도가 불가능하다는 증명은 1837년에 Wantzel P.L. (France, 1814 - 1848)에 의하여 이루어졌으니 소피스트들로부터 2000년 이상이 지나서 문제가 해결된 것이다.
(iii)員積문제. 즉, 주어진 원의 면적과 똑같은 면적을 가진 정사각형.
이 문제의 초등기하작도가 불가능하다는 증명은 1882년에 Lindemann F. (Deutschland, 1852-1938)의 「 π가 초월수라는 연구 」에 의하여 완성되었다.
◐ 제논(B.C. 495-435)의 역설◑
◆ 兩分 : 1 개의 선분상의 모든 점들을 유한의 시간 안에 통과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 아킬레스와 거북이와의 경주
*거리를 무한히 많은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는 가정은 틀린 것이라는 역설임.
(3) 플라톤 학파
소크라테스(B.C. 469-399)의 제자인 플라톤은 수학을 輕蔑한 소크라테스의 사후에 데오도로스로부터 기하학을 배웠고 이탈리아에서는 피타고라스 학파와 교제하였다. B.C. 389년에 플라톤은 아테네에 학교(Academy)를 열어서 평생교육과 저작에 종사하였다. 이 학교의 현관에 「기하학을 모르는 자는 출입을 금함」이라고 大書한 일화는 유명하다.
스승 소크라테스와는 반대로 플라톤은 정신 개발상 수학의 가치를 크게 인정하였다. 플라톤은 전문적인 수학자는 아니었다. 따라서 그에게는 수학에 대한 독창적인 연구는 거의 없지만, 수학의 연구를 고무하고 기하학에 사용되는 방법의 개선을 시사했다. 그는 이제까지 기하학자들이 본능적으로 사용한 논리를 의식적으로 불안이 없는 방법으로 바꾸었다. 그와 더불어 용의 주도한 정의와 공준, 공리의 사상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4) 알렉산드리아 학파
유클리드(B.C. 330 - 257?)의 생애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알려져 있지 않았으나 그의 저서인ㅒ「원본(Elements)」 13권을 저술한 것은 그가 35세 - 40세 때인 것으로 추측된다. 그 내용은 대체로 플라톤 학파의 테아이테토스나 에우독소스 및 그 이외의 학자들이 얻은 결과에 자기 자신이 얻은 결과들을 병합하여 집대성한 것이고 이것을 플라톤 학파의 교리에 따라서 공리, 공준, 정의, 정리의 형으로 배열하고 정리에는 엄밀한 증명을 붙인 것이다.
◐ 유클리드의 공준 ◑
1. 한 점으로부터 다른 한점으로 직선을 그을 수 있다.
2. 선분은 얼마든지 연장할 수 있다.
3. 주어진 점을 중심으로 하고 주어진 반지름을 갖는 원을 그릴 수 있다.
4. 직각은 서로 같다.
5. 한 직선이 다른 두 직선과 맞나서 어느 한 쪽에서의 두 내각의 합이
두 직각보다 작은 두 내각을 이루면, 그들 두 직선을 한없이 연장 시킬 때 그들의 내각이 있는 쪽에서 그들(두 직선)이 반드시 만난다.
지식의 어떤 부분을 둘러보아도 고대의 저술가 가운데 초등기하학에 있어서 유클리드만큼 근대 교육에 권위 있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사람은 없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은 유클리드에게 \"「원본(Elements)」에 의하지 않고 기하학을 배울 지름길은 없을까?\"하고 물었다. 그러자 유클리드는 즉석에서 \"기하학에는 왕도가 없습니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유클리드는 기하학을 배워서 무엇에 쓰느냐고 묻는 청년한테 \"돈 3 펜스를 갖다 주라\"고 말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아르키메데스(B.C. 287- 212)는 당시의 수학자인 동시에 물리학자이었고 그 광범한 여러 가지 실용문제에 응용했다. 특히 대중탕에서 순금의 비중에 관한 발견을 이루고 나체로 시가를 구보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아르키메데스는 주로 원과 구에 대한 결과를 얻었는데 다음과 같다.
◆ (구의 표면적 )=(대원의 면적의 4배)
◆ (구의 체적) = (반경의 3 자승의 4π/3 배)
◆ 30/71 < π< 3/7 : 이 결과는 정다각형의 변의 수를 점차 증가시켜감으로써 얻어진 것이라고 한다.
◆구의 체적 및 표면적은 각각 구에 외접하는 원기둥의 체적 및 표면적의 2/3이다.
플라톤이 그의 강당의 입구에 “기하학을 모르는 자는 들어오지 말라”고 써 붙였다는 이야기는 유명하다. 유클리드도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그의 《기하학원본》은 역사상 처음으로 수학을 논리적으로 정리하여 체계화한 것으로서 유럽에서는 19세기 말경까지 교과서로 쓰이고 있었다. 이 책은 공리에서 출발하여 차례차례로 정리(定理)를 증명하여 체계화하는 오늘날의 수학의 형식에 가까운 것을 이미 BC 3세기경에 보여주었다. 내용은 피타고라스를 비롯하여 많은 선인들의 업적이 대종(大宗)을 이루고 있는데 제1권에서 제4권까지가 평면기하학(平面幾何學), 제5권이 비례론(比例論), 제6권이 닮은꼴의 기하학, 제7권에서 제9권이 산술(算術), 제10권이 무리수(無理數), 제11권에서 제13권이 입체기하학(立體幾何學)이고, 끝으로 정다면체(正多面體)에 관한 문제가 설명되어 있다. 전체 13권 중 8권이 기하학인데, 당시의 수학 전반에 걸쳐 있다. 이 체계에는 오늘날의 눈으로 보면 여러 가지 결점도 있다. 그러나 그 이후의 수학에 끼친 영향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크다.
아르키메데스의 포물선 구적(抛物線求積)은 포물선(곡선)과 그 현(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는 문제인데, 그리스 특유의 엄밀한 논법으로써, 오늘의 적분학의 기초에 관련되는 생각을 보이고 있다. 그의 원기둥과 구(球)의 문제도 훌륭한 업적이며, 역학(力學)에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아폴로니오스는 《원뿔곡선론》(8권)에서 원뿔의 절단 자취로서의 원뿔곡선을 논하고 있다. 이 방면은 기하학원본에는 빠져 있는 분야로서 후세의 해석기하학(解析幾何學)에서 2차곡선론이라고 불리는 것의 대부분을, 해석기하학의 방법을 방불케 하는 생각을 써서 집대성하였다. 그리스 수학은 이론적으로 매우 뛰어났으나, 수나 계산 방면에는 큰 진전이 없었다.
디오판토스의 대수 방면의 연구도 역시 이론적인 면이 뚜렷하였다. 그 후 10세기경까지의 유럽은 인도나 근동 여러 나라에서 발전한 산술·대수를 수입하는 상태였다. 인도에서는 7세기에 아리아바타(
위의 두 문제의 초등기하작도가 불가능하다는 증명은 1837년에 Wantzel P.L. (France, 1814 - 1848)에 의하여 이루어졌으니 소피스트들로부터 2000년 이상이 지나서 문제가 해결된 것이다.
(iii)員積문제. 즉, 주어진 원의 면적과 똑같은 면적을 가진 정사각형.
이 문제의 초등기하작도가 불가능하다는 증명은 1882년에 Lindemann F. (Deutschland, 1852-1938)의 「 π가 초월수라는 연구 」에 의하여 완성되었다.
◐ 제논(B.C. 495-435)의 역설◑
◆ 兩分 : 1 개의 선분상의 모든 점들을 유한의 시간 안에 통과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 아킬레스와 거북이와의 경주
*거리를 무한히 많은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는 가정은 틀린 것이라는 역설임.
(3) 플라톤 학파
소크라테스(B.C. 469-399)의 제자인 플라톤은 수학을 輕蔑한 소크라테스의 사후에 데오도로스로부터 기하학을 배웠고 이탈리아에서는 피타고라스 학파와 교제하였다. B.C. 389년에 플라톤은 아테네에 학교(Academy)를 열어서 평생교육과 저작에 종사하였다. 이 학교의 현관에 「기하학을 모르는 자는 출입을 금함」이라고 大書한 일화는 유명하다.
스승 소크라테스와는 반대로 플라톤은 정신 개발상 수학의 가치를 크게 인정하였다. 플라톤은 전문적인 수학자는 아니었다. 따라서 그에게는 수학에 대한 독창적인 연구는 거의 없지만, 수학의 연구를 고무하고 기하학에 사용되는 방법의 개선을 시사했다. 그는 이제까지 기하학자들이 본능적으로 사용한 논리를 의식적으로 불안이 없는 방법으로 바꾸었다. 그와 더불어 용의 주도한 정의와 공준, 공리의 사상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4) 알렉산드리아 학파
유클리드(B.C. 330 - 257?)의 생애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알려져 있지 않았으나 그의 저서인ㅒ「원본(Elements)」 13권을 저술한 것은 그가 35세 - 40세 때인 것으로 추측된다. 그 내용은 대체로 플라톤 학파의 테아이테토스나 에우독소스 및 그 이외의 학자들이 얻은 결과에 자기 자신이 얻은 결과들을 병합하여 집대성한 것이고 이것을 플라톤 학파의 교리에 따라서 공리, 공준, 정의, 정리의 형으로 배열하고 정리에는 엄밀한 증명을 붙인 것이다.
◐ 유클리드의 공준 ◑
1. 한 점으로부터 다른 한점으로 직선을 그을 수 있다.
2. 선분은 얼마든지 연장할 수 있다.
3. 주어진 점을 중심으로 하고 주어진 반지름을 갖는 원을 그릴 수 있다.
4. 직각은 서로 같다.
5. 한 직선이 다른 두 직선과 맞나서 어느 한 쪽에서의 두 내각의 합이
두 직각보다 작은 두 내각을 이루면, 그들 두 직선을 한없이 연장 시킬 때 그들의 내각이 있는 쪽에서 그들(두 직선)이 반드시 만난다.
지식의 어떤 부분을 둘러보아도 고대의 저술가 가운데 초등기하학에 있어서 유클리드만큼 근대 교육에 권위 있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사람은 없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은 유클리드에게 \"「원본(Elements)」에 의하지 않고 기하학을 배울 지름길은 없을까?\"하고 물었다. 그러자 유클리드는 즉석에서 \"기하학에는 왕도가 없습니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유클리드는 기하학을 배워서 무엇에 쓰느냐고 묻는 청년한테 \"돈 3 펜스를 갖다 주라\"고 말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아르키메데스(B.C. 287- 212)는 당시의 수학자인 동시에 물리학자이었고 그 광범한 여러 가지 실용문제에 응용했다. 특히 대중탕에서 순금의 비중에 관한 발견을 이루고 나체로 시가를 구보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아르키메데스는 주로 원과 구에 대한 결과를 얻었는데 다음과 같다.
◆ (구의 표면적 )=(대원의 면적의 4배)
◆ (구의 체적) = (반경의 3 자승의 4π/3 배)
◆ 30/71 < π< 3/7 : 이 결과는 정다각형의 변의 수를 점차 증가시켜감으로써 얻어진 것이라고 한다.
◆구의 체적 및 표면적은 각각 구에 외접하는 원기둥의 체적 및 표면적의 2/3이다.
플라톤이 그의 강당의 입구에 “기하학을 모르는 자는 들어오지 말라”고 써 붙였다는 이야기는 유명하다. 유클리드도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그의 《기하학원본》은 역사상 처음으로 수학을 논리적으로 정리하여 체계화한 것으로서 유럽에서는 19세기 말경까지 교과서로 쓰이고 있었다. 이 책은 공리에서 출발하여 차례차례로 정리(定理)를 증명하여 체계화하는 오늘날의 수학의 형식에 가까운 것을 이미 BC 3세기경에 보여주었다. 내용은 피타고라스를 비롯하여 많은 선인들의 업적이 대종(大宗)을 이루고 있는데 제1권에서 제4권까지가 평면기하학(平面幾何學), 제5권이 비례론(比例論), 제6권이 닮은꼴의 기하학, 제7권에서 제9권이 산술(算術), 제10권이 무리수(無理數), 제11권에서 제13권이 입체기하학(立體幾何學)이고, 끝으로 정다면체(正多面體)에 관한 문제가 설명되어 있다. 전체 13권 중 8권이 기하학인데, 당시의 수학 전반에 걸쳐 있다. 이 체계에는 오늘날의 눈으로 보면 여러 가지 결점도 있다. 그러나 그 이후의 수학에 끼친 영향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크다.
아르키메데스의 포물선 구적(抛物線求積)은 포물선(곡선)과 그 현(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는 문제인데, 그리스 특유의 엄밀한 논법으로써, 오늘의 적분학의 기초에 관련되는 생각을 보이고 있다. 그의 원기둥과 구(球)의 문제도 훌륭한 업적이며, 역학(力學)에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아폴로니오스는 《원뿔곡선론》(8권)에서 원뿔의 절단 자취로서의 원뿔곡선을 논하고 있다. 이 방면은 기하학원본에는 빠져 있는 분야로서 후세의 해석기하학(解析幾何學)에서 2차곡선론이라고 불리는 것의 대부분을, 해석기하학의 방법을 방불케 하는 생각을 써서 집대성하였다. 그리스 수학은 이론적으로 매우 뛰어났으나, 수나 계산 방면에는 큰 진전이 없었다.
디오판토스의 대수 방면의 연구도 역시 이론적인 면이 뚜렷하였다. 그 후 10세기경까지의 유럽은 인도나 근동 여러 나라에서 발전한 산술·대수를 수입하는 상태였다. 인도에서는 7세기에 아리아바타(
추천자료
수학교육(수학학습) 목표와 문제점, 수학교육(수학학습) 게임(놀이)활용 교육적 가치, 수학교...
수학과 교육의 목표, 수학과 교육의 수학적 사고력, 수학과 문제해결력신장 멀티미디어활용학...
수학과교육(수학교육)의 목표, 수학과교육(수학교육)의 성격, 수학과 문제해결력신장 ICT활용...
수학과교육의 특성, 수학과교육의 목표, 문제해결능력의 개념, 문제해결능력의 구성요소, 수...
수학과(수학교육) 문제해결의 목적, 수학과(수학교육) 문제해결의 중요성, 수학과(수학교육) ...
수학영재의 개념과 성격, 수학영재의 판별, 수학영재교육의 목표, 수학영재교육의 렌줄리(렌...
수학과(수학교육) 놀이중심학습과 원리발견학습, 수학과(수학교육) 문제해결학습과 수준별학...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의 목표와 지도원칙, 공통수학(공통수학교육)의 평가, 공통수학(공통...
수학 놀이학습 특성과 필요성, 레크레이션 수학(레크리에이션 수학) 정의, 레크레이션 수학(...
수학과(수학교육)의 목표, 수학과(수학교육)의 교재, 수학과(수학교육)의 내용, 수학과(수학...
수학교육(수학수업, 학습) 변천, 수학교육(수학수업, 학습) 인식, 수학교육(수학수업, 학습) ...
수학수업(수학교육, 지도) 목표와 발문, 수학수업(수학교육, 지도) 계산기활용, 수학수업(수...
수학지도(학습, 수학교육) 목적, 이론, 관점, 수학지도(학습, 수학교육)와 자기주도적 학습, ...
수학의이해A형_1.고대 그리스 수학에서 유클리드와 아르키메데스의 수학사적 의의를 서술하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