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LC (Liver Cirrhosis : 간경화)]
1. 간
2. 간의 기능
3. 간경화(Liver Cirrhosis)
4. 간경화의 종류
5. 간경화의 증상
6. 간경화증에서 대두되는 문제
7. 간경화증의 합병증
8. 간경화의 간호
[Liver Cirrhosis의 간호과정]
1. 간호정보
2. 진단적 검사
3. 치료 및 처치
4. 투약
5. 간호진단
1. 간
2. 간의 기능
3. 간경화(Liver Cirrhosis)
4. 간경화의 종류
5. 간경화의 증상
6. 간경화증에서 대두되는 문제
7. 간경화증의 합병증
8. 간경화의 간호
[Liver Cirrhosis의 간호과정]
1. 간호정보
2. 진단적 검사
3. 치료 및 처치
4. 투약
5. 간호진단
본문내용
2
25.3
Platelet
15-40 (×10⁴/ul)
66
65
57
55
59
55
55
26
55
- Hb ↓ : 빈혈, 만성간염 있을 때 감소 → 환자 간경화이며 11/17 Lt. Nasal에서 심한 출혈 있었음.
2) 일반화학검사
정상치
11/15
11/17
11/18
11/19
11/20
11/21
11/22
11/23
11/24
BUN
8-23 mg/dl
11.5
9.6
9.8
9.8
8.7
8.8
9.1
9.1
8.5
Creatinine
0.6-1.2mg/dl
32.9
27.6
29.2
28.4
25.7
25.6
22.0
27.2
25.3
NH3
20-120μg/ml
66
65
57
55
59
55
55
26
55
TB
0.2~1.2mg/dl
22.4
48.4
48.4
44.8
47.1
46.3
44.3
38.9
DB
0~0.4mg/dl
17.4
16.1
14.9
13.1
- BUN ↑ : 간질환, 간염 있을 때 상승 → 환자 간경화이며 Hepatitis (A) 있음.
- NH3 : 암모니아의 증가는 간성혼수로의 위험요소이므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 HTGE QID로 실시.
3. 치료 및 처치
1) Diet
- Low Salt Diet, Low Protein (30g)
2) HTGE QID
3) Left Nasal에 Gauze packing
4. 투약
1) Ursa 100mg tab
- 담즙생성 촉진작용
- 담석증 환자의 자각증상 개선
- Lipase 작용을 활성화 시켜 지방의 소화흡수를 촉진
- 부작용 : 두통, 어지러움, 변비, 발진
- 투여경로 : PO
2) Nissel tab
- 간세포막 안정화에 의한 SGOT 하강작용
- 부작용 : 피진생성, 일과성 황달, 구역
- 투여경로 : PO
3) Recomid tab
- 위점막 PGE의 증가작용
- H.pylori 감염에 의한 Cytokine 생성억제 및 염증반응 억제효과
- 급만성 위염 및 위궤양 치료에 사용
- 부작용 : 과민증(습진, 발진), 변비, 복부팽만, 간기능 장애
- 투여경로 : PO
4) Kaywan tab
- Vitamin K1
- Plasmin에 의한 fibirin을 분해
- 출혈량 감소, 지혈시간 단축
- 적응증 : 섬유소성 용해항진과 관여된 출혈경향
- 부작용 : 오심, 구토, 설사, 저혈압, 혈전형성
- 투여경로 : PO
5) Thiamine HCl
- 각종 소모성 질환에 필요
- 탄수화물 대사에 필수적인 coenzyme 으로 요구량은 칼로리의 섭취량에 비례
- 섭취량 부족이나 흡수 대사 장애 등으로 인한 Vit-B1 결핍증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
- 부작용 : 심혈관계 허탈, 사망, 이상 감각증
- 투여경로 : PO
6) Spironolactone tab
- Na+ 재흡수 억제, K 배설 억제하는 K+ 저류성 이뇨제임.
- aldosterone 에 길항제
- 부작용 : 부종, 졸음, 기면, 두통, 반점, 구진, 식욕감퇴
- 투여경로 : PO
7) Vitamin Ki Inj.
- 혈액응고인자의 생성을 촉진하여 지혈작용
- 영양결핍, Vit K 생합성 및 흡수불량으로 오는 저트롬빈 혈증에 사용
- 부작용 : 과민증상, 흉통, 종창, 기관지경련
- 투여경로 : IV
8) Hepamerz
- 체내에 흡수되어 L-ornithine 과 aspartic acid로 분해됨
- L-ornithine은 간의 TCA cycle에 작용하여 효소생성촉진
- spartic acid는 핵산합성에 관여, 간세포 부활 작용이 있음
- 부작용 : 정맥주사시 후두부 열감, 구역
- 투여경로 : IV
9) Rocephin inj.
- 3세대 cephalosporin
- 강력한 항균효과
- 부작용 : 발진, 두드러기, 오심, 구토, 설사
- 투여경로 : IV
5. 간호진단
1) 진단1 : 황달로 인한 소양증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간호사정
간호목표
계획 및 간호중재
[주관적 자료]
- “피부가 너무 가려 워요. 이거 왜 이런 거에요? 어떻게 좀 안될까?”
[객관적 자료]
- LC환자로, 전신의 피부와 공막이 황달로 인해 노란색이다.
- v/s를 측정하러 갈 때마다 신체를 긁고 있다.
-TB : 46.3mg/dl
- 대상자가 피부간호 의 중요성을 인식 하고, 황달로 인한 소양증의 피부간호 방법에 대하여 설 명할 수 있다.
- 대상자가 소양감이 완화되었음을 표현 한다.
☆ 수시로 피부를 시진하고 피부상태와 변화 관찰 한다.
- 시진 시 피부색은 연한 단무지 색깔이었고, 굉 장히 건조해서 각질이 생겨날 정도였다
☆ 피부를 청결하게 하고 수분을 적절히 유지시킨 다.
- 피부가 건조하지 않도록 하고 특히 건조한 부 분에는 부드러운 로션을 적용한다.
☆ 침구류를 건조하고 청결하게 한다.
- 시트나 베개가 주름지지 않도록 한다.
☆ 소양감이 일어날 때에 긁는 것을 제한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환자를 교육한다.
- 피부를 긁음으로 해서 생기는 상처와 그로인한 피부감염 등을 설명한다.
- 긁는 대신 두드림으로 긁음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음을 알려준다.
[간호평가] ☆ “예전만큼 간지럽지 않아요. 훨씬 견딜만 해. 진작 이런걸 알았으면 좋았을 텐데”
- 환자가 소양증이 완화 되었음을 표현하였다.
2) 진단2 : 질병의 관리방법과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사정
간호목표
계획 및 간호중재
[주관적 자료]
- “퇴원하고 나서는 술 마셔도 되죠?”
- “치료를 다 하고 나 서도 안돼요?”
- 대상자는 음주가 자 신의 질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이해 할 수 있다.
- 퇴원 후에 금주의 의지를 언어로 표현 한다.
☆ 대상자가 자신의 질환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 사정을 한다.
☆ 음주가 대상자의 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 명한다.
- 알코올이 대상자의 간염과 간경화에 미치는 나 쁜 영향에 대해 알려주었으며 자신의 건강과 음 주의 해로운 결과를 연관 시켜 생각할 수 있게 끔 격려하였다.(음주로 인해 증상이 또다시 악화 될 수 있음을 설명함.)
[간호평가] ☆ 대상자는 간경화의 가장 큰 위험요인이 음주인 것을 알게 되었다고 말하였다.
☆ 퇴원 후에 술을 마시지 않아야겠다며 굳은 의지를 보여주었다.
☆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25.3
Platelet
15-40 (×10⁴/ul)
66
65
57
55
59
55
55
26
55
- Hb ↓ : 빈혈, 만성간염 있을 때 감소 → 환자 간경화이며 11/17 Lt. Nasal에서 심한 출혈 있었음.
2) 일반화학검사
정상치
11/15
11/17
11/18
11/19
11/20
11/21
11/22
11/23
11/24
BUN
8-23 mg/dl
11.5
9.6
9.8
9.8
8.7
8.8
9.1
9.1
8.5
Creatinine
0.6-1.2mg/dl
32.9
27.6
29.2
28.4
25.7
25.6
22.0
27.2
25.3
NH3
20-120μg/ml
66
65
57
55
59
55
55
26
55
TB
0.2~1.2mg/dl
22.4
48.4
48.4
44.8
47.1
46.3
44.3
38.9
DB
0~0.4mg/dl
17.4
16.1
14.9
13.1
- BUN ↑ : 간질환, 간염 있을 때 상승 → 환자 간경화이며 Hepatitis (A) 있음.
- NH3 : 암모니아의 증가는 간성혼수로의 위험요소이므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 HTGE QID로 실시.
3. 치료 및 처치
1) Diet
- Low Salt Diet, Low Protein (30g)
2) HTGE QID
3) Left Nasal에 Gauze packing
4. 투약
1) Ursa 100mg tab
- 담즙생성 촉진작용
- 담석증 환자의 자각증상 개선
- Lipase 작용을 활성화 시켜 지방의 소화흡수를 촉진
- 부작용 : 두통, 어지러움, 변비, 발진
- 투여경로 : PO
2) Nissel tab
- 간세포막 안정화에 의한 SGOT 하강작용
- 부작용 : 피진생성, 일과성 황달, 구역
- 투여경로 : PO
3) Recomid tab
- 위점막 PGE의 증가작용
- H.pylori 감염에 의한 Cytokine 생성억제 및 염증반응 억제효과
- 급만성 위염 및 위궤양 치료에 사용
- 부작용 : 과민증(습진, 발진), 변비, 복부팽만, 간기능 장애
- 투여경로 : PO
4) Kaywan tab
- Vitamin K1
- Plasmin에 의한 fibirin을 분해
- 출혈량 감소, 지혈시간 단축
- 적응증 : 섬유소성 용해항진과 관여된 출혈경향
- 부작용 : 오심, 구토, 설사, 저혈압, 혈전형성
- 투여경로 : PO
5) Thiamine HCl
- 각종 소모성 질환에 필요
- 탄수화물 대사에 필수적인 coenzyme 으로 요구량은 칼로리의 섭취량에 비례
- 섭취량 부족이나 흡수 대사 장애 등으로 인한 Vit-B1 결핍증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
- 부작용 : 심혈관계 허탈, 사망, 이상 감각증
- 투여경로 : PO
6) Spironolactone tab
- Na+ 재흡수 억제, K 배설 억제하는 K+ 저류성 이뇨제임.
- aldosterone 에 길항제
- 부작용 : 부종, 졸음, 기면, 두통, 반점, 구진, 식욕감퇴
- 투여경로 : PO
7) Vitamin Ki Inj.
- 혈액응고인자의 생성을 촉진하여 지혈작용
- 영양결핍, Vit K 생합성 및 흡수불량으로 오는 저트롬빈 혈증에 사용
- 부작용 : 과민증상, 흉통, 종창, 기관지경련
- 투여경로 : IV
8) Hepamerz
- 체내에 흡수되어 L-ornithine 과 aspartic acid로 분해됨
- L-ornithine은 간의 TCA cycle에 작용하여 효소생성촉진
- spartic acid는 핵산합성에 관여, 간세포 부활 작용이 있음
- 부작용 : 정맥주사시 후두부 열감, 구역
- 투여경로 : IV
9) Rocephin inj.
- 3세대 cephalosporin
- 강력한 항균효과
- 부작용 : 발진, 두드러기, 오심, 구토, 설사
- 투여경로 : IV
5. 간호진단
1) 진단1 : 황달로 인한 소양증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간호사정
간호목표
계획 및 간호중재
[주관적 자료]
- “피부가 너무 가려 워요. 이거 왜 이런 거에요? 어떻게 좀 안될까?”
[객관적 자료]
- LC환자로, 전신의 피부와 공막이 황달로 인해 노란색이다.
- v/s를 측정하러 갈 때마다 신체를 긁고 있다.
-TB : 46.3mg/dl
- 대상자가 피부간호 의 중요성을 인식 하고, 황달로 인한 소양증의 피부간호 방법에 대하여 설 명할 수 있다.
- 대상자가 소양감이 완화되었음을 표현 한다.
☆ 수시로 피부를 시진하고 피부상태와 변화 관찰 한다.
- 시진 시 피부색은 연한 단무지 색깔이었고, 굉 장히 건조해서 각질이 생겨날 정도였다
☆ 피부를 청결하게 하고 수분을 적절히 유지시킨 다.
- 피부가 건조하지 않도록 하고 특히 건조한 부 분에는 부드러운 로션을 적용한다.
☆ 침구류를 건조하고 청결하게 한다.
- 시트나 베개가 주름지지 않도록 한다.
☆ 소양감이 일어날 때에 긁는 것을 제한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환자를 교육한다.
- 피부를 긁음으로 해서 생기는 상처와 그로인한 피부감염 등을 설명한다.
- 긁는 대신 두드림으로 긁음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음을 알려준다.
[간호평가] ☆ “예전만큼 간지럽지 않아요. 훨씬 견딜만 해. 진작 이런걸 알았으면 좋았을 텐데”
- 환자가 소양증이 완화 되었음을 표현하였다.
2) 진단2 : 질병의 관리방법과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사정
간호목표
계획 및 간호중재
[주관적 자료]
- “퇴원하고 나서는 술 마셔도 되죠?”
- “치료를 다 하고 나 서도 안돼요?”
- 대상자는 음주가 자 신의 질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이해 할 수 있다.
- 퇴원 후에 금주의 의지를 언어로 표현 한다.
☆ 대상자가 자신의 질환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 사정을 한다.
☆ 음주가 대상자의 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 명한다.
- 알코올이 대상자의 간염과 간경화에 미치는 나 쁜 영향에 대해 알려주었으며 자신의 건강과 음 주의 해로운 결과를 연관 시켜 생각할 수 있게 끔 격려하였다.(음주로 인해 증상이 또다시 악화 될 수 있음을 설명함.)
[간호평가] ☆ 대상자는 간경화의 가장 큰 위험요인이 음주인 것을 알게 되었다고 말하였다.
☆ 퇴원 후에 술을 마시지 않아야겠다며 굳은 의지를 보여주었다.
☆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