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본문학.
- 상대(야마토 시대)
- 중고(헤이안 시대)
- 중세(가마쿠라 무로마치시대)
- 근세(에도 시대)
- 근대(도코 시대)
- 일본근대문학의 이해
- 참고문헌
- 상대(야마토 시대)
- 중고(헤이안 시대)
- 중세(가마쿠라 무로마치시대)
- 근세(에도 시대)
- 근대(도코 시대)
- 일본근대문학의 이해
- 참고문헌
본문내용
130여 년 간으로 629~759년, 즉 7, 8세기의 노래가 대부분이다. 아마도 여러 사람의 손에 의해 편집된 것으로 보이나 오토모 야카모치[大伴家持]가 최종적으로 집대성한 것임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수록된 와카는 소몬카[相聞歌 : 이성을 연모하는 노래]반카[輓歌 : 죽은이를 애도하는 노래]조카[雜歌 : 주로 궁정의 공식행사와 관계가 있는 노래] 등으로 분류편찬되어 있다. 〈만요슈〉는 시풍에 의해 4기로 나눌 수 있다. 제1기는 아직 상대 가요의 소박함이 남아 있는 시대로, 대표 시인으로는 여류시인 누카타노 오키미[額田王]를 들 수 있으며, 특히 왕실 시인이 많다. 제2기는 덴무[天武]지토[持統]몬무[文武] 3대 왕에 걸친 시기로서 개인의 의식이 두드러지고 표현기술도 진보하여 만요 시풍이 확립한 시기이다. 대표 시인인 가키노모토 히토마로[本人麻呂]는 특히 조카에 뛰어났으며 일본 와카 사상 최대의 시성(詩聖)으로 인정되는 시인이다. 제3기는 나라 시대 전기로 만요 최성기이다. 주정적인 노래에서 객관적인 노래로 옮겨가는 시기로, 개성적인 시인이 배출되었다. 대표 시인으로서는 단카와 서경가(敍景歌)에 뛰어난 야마베 아카히토[山部赤人], 야마노우에 오쿠라[山上憶良], 오토모 다비토[大伴旅人] 등이 있다. 제4기는 나라 시대 후기로, 시풍은 이지적기교적이어서 다음 헤이안 시대로 이행하는 징조가 보인다. 오토모 야카모치가 대표적인 시인이다. 각 시대에 따라 시풍의 변천은 있으나 전체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오는 소박한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한 남성적인 시풍이라 할 수 있다.
한시문(漢詩文)
율령문화가 전개됨에 따라 궁정귀족 사이에서 한시문이 활발히 씌어졌다. 〈가이후소 懷風藻〉(751)는 나라 시대까지 약 100년 동안 제작된 작품 120편을 수록한 한시집으로, 대부분이 육조시(六朝詩)의 영향을 받은 5언시(五言詩)여서 독창성이 부족하다. 772년에는 중국의 시론을 일본 단카에 적용하여 와카의 이론화를 꾀한 후지와라 하마나리[藤原浜成]의 〈가쿄효시키 歌經標式〉가 성립되었다.
중고( 헤이안 시대)
나라에서 헤이안쿄로 천도한 794년부터 다이라 씨[平氏]가 멸망한 1185년까지 약 400년간이 중고, 이른바 헤이안 시대이다. 이 시대 문학의 담당자는 궁정도시 헤이안쿄를 본거지로 하는 귀족계급이었으므로 이 시대를 궁정문학시대 또는 귀족문학시대라고도 부른다.
한시문의 융성
중고시대 전기(8세기 말엽~10세기 중엽)는 대륙문화의 모방시대이다. 도성(都城)의 규모를 비롯해 궁정의례 전반이 당풍(唐風)으로 장식되었으며 남성 관료들이 다투어 한시문을 씀에 따라 한시문 융성시대를 맞기에 이른다. 8세기 초엽에는 왕명에 따라 한시문 3집인 〈료운슈 凌雲集〉(814)〈분카슈레이슈 文華秀麗集〉(818)〈게이코쿠슈 經國集〉(827)가 잇달아 출현했으며 이 칙찬(勅撰) 한시문집 이외에 개인 시집인 사가집(私家集)이 다수 나왔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요시미네 야스요[良岑安世], 후지와라 후유쓰구[藤原冬嗣], 오노 미네모리[小野岑守], 구카이[空海] 등을 들 수 있다. 주목할 만한 저서로는 구카이의 시문집 〈쇼료슈 性靈集〉(835)와 시문의 수사법을 논한 〈분쿄히후론 文鏡秘府論〉(819)이 있다. 9세기 후반부터 10세기에는 미야코 요시카[都良香], 스가와라 미치자네[菅原道眞], 기노 하세오[紀長谷雄] 등이 활약했는데, 특히 스가와라 미치자네의 시문집 〈간케분소 菅家文草〉(900)〈간케코슈 菅家後集〉(903)가 주목할 만하다.
와카의 부흥
〈만요슈〉 이후 헤이안 시대 초엽의 약 100여 년 동안 와카는 한시문에 가려져 공적인 세계에서 거의 자취를 감추었으며 민간 또는 사적인 세계에서 명맥을 유지해오다가 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 가나[假名] 문자의 보급발전에 힘입어 부활하게 되었고 와카의 궁정사회 복귀는 가나 문자의 보급을 촉진시켰다. 이와 더불어 견당사(遣唐使) 파견이 중지되고 점차 당풍에서 벗어나려는 기운이 일면서 와카를 일본 고유의 시가로 자각하게 되었고, 가나 문자가 국자(國字)로서 널리 통용되기에 이르렀다. 마침내 10세기초에 칙명에 의하여 〈고킨와카슈 古今和歌集〉(905)가 편찬되었다. 〈고킨와카슈〉 성립 이전 이른바 와카사[和歌史] 전환기에는 아리와라 나리히라[在原業平], 헨조[遍照], 오노 고마치[小野小町], 훈야 야스히데[文屋康秀], 기센[喜撰], 오토모 구로누시[大伴黑主] 등 6가선(六歌仙)이 활약했다. 6가선시대로부터 〈고킨와카슈〉 성립에 이르는 시기는 우아한 고킨초[古今調] 시풍의 형성기였다. 세련된 기지와 취향을 추구하여 만요 와카와는 다른 헤이안 귀족의 취미나 정서에 맞는 75조의 유려한 시풍이 생겨났다. 〈고킨와카슈〉의 시인으로는 편찬자인 기노 쓰라유키[紀貫之], 오시코우치 미쓰네[凡河內躬恒], 미부노 다다미네[壬生忠岑], 기노 도모노리[紀友則]를 비롯해 소세이법사[素性法師], 기요하라 후카야부[淸原深養父], 후지와라 오키카제[藤原興風], 이세[伊勢] 등이 유명하다. 〈고킨와카슈〉에는 약 1,100수의 와카가 춘가(春歌 : 상하)하가(夏歌)추가(秋歌 : 상하)동가(冬歌)하가(賀歌)이별가(離別歌)기리요카[旅歌]모노노나[物の名]연가(戀歌 : 1~5권)애상가(哀傷歌)조카[雜歌 : 상하]자쓰테이[雜體]오우타도코로어카[大歌所御歌]의 20권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근간을 이루는 것은 사계가(四季歌)와 연가이다. 또한 이 시집에는 가나로 된 서문과 한자 서문이 실려 있는데 기노 쓰라유키가 쓴 가나 서문은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와카론으로 일본 평론문학사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후 와카는 약 1세기 동안 활기를 띠었으나 10세기 전후 산문문학이 융성함에 따라 부진한 상태를 보이다가 10세기 말엽 부활하여 잇달아 칙찬집이 출현했으며 대규모 우타아와세[歌合]가 활발히 개최되고 사가집이 다수 출현했다. 우타아와세는 좌우로 편을 갈라 주어진 주제 아래 와카를 지어서 우열을 겨루는 일종의 놀이였는데 심판을 맡은 판자(判者)의 평언(評言)을 통해 시론(詩論)으로 조직화되어갔다. 이처럼 활발한 헤이안 후기의 시단(詩壇)에서 주목되는 인물은 유현(幽玄)의 미(여운의 넘치는 섬세한 미적 경지)를 추구한 후지와라
한시문(漢詩文)
율령문화가 전개됨에 따라 궁정귀족 사이에서 한시문이 활발히 씌어졌다. 〈가이후소 懷風藻〉(751)는 나라 시대까지 약 100년 동안 제작된 작품 120편을 수록한 한시집으로, 대부분이 육조시(六朝詩)의 영향을 받은 5언시(五言詩)여서 독창성이 부족하다. 772년에는 중국의 시론을 일본 단카에 적용하여 와카의 이론화를 꾀한 후지와라 하마나리[藤原浜成]의 〈가쿄효시키 歌經標式〉가 성립되었다.
중고( 헤이안 시대)
나라에서 헤이안쿄로 천도한 794년부터 다이라 씨[平氏]가 멸망한 1185년까지 약 400년간이 중고, 이른바 헤이안 시대이다. 이 시대 문학의 담당자는 궁정도시 헤이안쿄를 본거지로 하는 귀족계급이었으므로 이 시대를 궁정문학시대 또는 귀족문학시대라고도 부른다.
한시문의 융성
중고시대 전기(8세기 말엽~10세기 중엽)는 대륙문화의 모방시대이다. 도성(都城)의 규모를 비롯해 궁정의례 전반이 당풍(唐風)으로 장식되었으며 남성 관료들이 다투어 한시문을 씀에 따라 한시문 융성시대를 맞기에 이른다. 8세기 초엽에는 왕명에 따라 한시문 3집인 〈료운슈 凌雲集〉(814)〈분카슈레이슈 文華秀麗集〉(818)〈게이코쿠슈 經國集〉(827)가 잇달아 출현했으며 이 칙찬(勅撰) 한시문집 이외에 개인 시집인 사가집(私家集)이 다수 나왔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요시미네 야스요[良岑安世], 후지와라 후유쓰구[藤原冬嗣], 오노 미네모리[小野岑守], 구카이[空海] 등을 들 수 있다. 주목할 만한 저서로는 구카이의 시문집 〈쇼료슈 性靈集〉(835)와 시문의 수사법을 논한 〈분쿄히후론 文鏡秘府論〉(819)이 있다. 9세기 후반부터 10세기에는 미야코 요시카[都良香], 스가와라 미치자네[菅原道眞], 기노 하세오[紀長谷雄] 등이 활약했는데, 특히 스가와라 미치자네의 시문집 〈간케분소 菅家文草〉(900)〈간케코슈 菅家後集〉(903)가 주목할 만하다.
와카의 부흥
〈만요슈〉 이후 헤이안 시대 초엽의 약 100여 년 동안 와카는 한시문에 가려져 공적인 세계에서 거의 자취를 감추었으며 민간 또는 사적인 세계에서 명맥을 유지해오다가 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 가나[假名] 문자의 보급발전에 힘입어 부활하게 되었고 와카의 궁정사회 복귀는 가나 문자의 보급을 촉진시켰다. 이와 더불어 견당사(遣唐使) 파견이 중지되고 점차 당풍에서 벗어나려는 기운이 일면서 와카를 일본 고유의 시가로 자각하게 되었고, 가나 문자가 국자(國字)로서 널리 통용되기에 이르렀다. 마침내 10세기초에 칙명에 의하여 〈고킨와카슈 古今和歌集〉(905)가 편찬되었다. 〈고킨와카슈〉 성립 이전 이른바 와카사[和歌史] 전환기에는 아리와라 나리히라[在原業平], 헨조[遍照], 오노 고마치[小野小町], 훈야 야스히데[文屋康秀], 기센[喜撰], 오토모 구로누시[大伴黑主] 등 6가선(六歌仙)이 활약했다. 6가선시대로부터 〈고킨와카슈〉 성립에 이르는 시기는 우아한 고킨초[古今調] 시풍의 형성기였다. 세련된 기지와 취향을 추구하여 만요 와카와는 다른 헤이안 귀족의 취미나 정서에 맞는 75조의 유려한 시풍이 생겨났다. 〈고킨와카슈〉의 시인으로는 편찬자인 기노 쓰라유키[紀貫之], 오시코우치 미쓰네[凡河內躬恒], 미부노 다다미네[壬生忠岑], 기노 도모노리[紀友則]를 비롯해 소세이법사[素性法師], 기요하라 후카야부[淸原深養父], 후지와라 오키카제[藤原興風], 이세[伊勢] 등이 유명하다. 〈고킨와카슈〉에는 약 1,100수의 와카가 춘가(春歌 : 상하)하가(夏歌)추가(秋歌 : 상하)동가(冬歌)하가(賀歌)이별가(離別歌)기리요카[旅歌]모노노나[物の名]연가(戀歌 : 1~5권)애상가(哀傷歌)조카[雜歌 : 상하]자쓰테이[雜體]오우타도코로어카[大歌所御歌]의 20권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근간을 이루는 것은 사계가(四季歌)와 연가이다. 또한 이 시집에는 가나로 된 서문과 한자 서문이 실려 있는데 기노 쓰라유키가 쓴 가나 서문은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와카론으로 일본 평론문학사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후 와카는 약 1세기 동안 활기를 띠었으나 10세기 전후 산문문학이 융성함에 따라 부진한 상태를 보이다가 10세기 말엽 부활하여 잇달아 칙찬집이 출현했으며 대규모 우타아와세[歌合]가 활발히 개최되고 사가집이 다수 출현했다. 우타아와세는 좌우로 편을 갈라 주어진 주제 아래 와카를 지어서 우열을 겨루는 일종의 놀이였는데 심판을 맡은 판자(判者)의 평언(評言)을 통해 시론(詩論)으로 조직화되어갔다. 이처럼 활발한 헤이안 후기의 시단(詩壇)에서 주목되는 인물은 유현(幽玄)의 미(여운의 넘치는 섬세한 미적 경지)를 추구한 후지와라
추천자료
남북국 시대의 한문학
조선시대 사대부 부녀자 작가의 문학
중고 근세문학의 시대적배경의 특징 주요작품 장르별특징 및 주요작가와 작품에 대하여jo
[자연주의]자연주의(자연주의사상) 작가와 작품, 자연주의(자연주의사상)와 사실주의(사실주...
중고 및 근세문학의 시대적 배경의 특징, 중고문학의 특징과 주요 작품, 근세문학의 장르별 ...
[사회과학] 문학발생 장으로서의 우타가키와 상대 운문문학의 특징에 대하여 서술
운영전의 내용과 운영전에 대한 북한문학사에서의 시대별 가치평가(국어국문학과 고전소설강독)
[조선시대 문학][여성가사][시조][한문단편][청구야담]조선시대 문학의 특징, 조선시대 문학 ...
식민지 시대의 소설 문학 [염상섭과 박태원을 중심으로]
일본 고대문학
[신석기시대]신석기시대의 특징, 신석기시대의 분류, 신석기시대의 역사, 신석기시대의 상대...
[일본사(일본역사), 고대시대, 헤이안시대]일본사(일본역사)와 고대시대, 일본사(일본역사)와...
시대적 흐름에 따른 문학의 변화 과정
[와비와 사비 (わび와 さび)] 와비와 사비 유래와 개념, 다도(茶道), 일본 문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