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 호흡기계 진단적 검사 정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 호흡기계 진단적 검사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흉부 엑스선 검사(chest X-ray study)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Studies : PFT)

동맥혈액 가스분석(arterial blood gas analysis : ABGA)

배양과 민감도 조사(C & S)

항산성 박테리아 검사(AFB)

세포학적 검사(Cytology)

기관지경 검사 (Bronchoscopy)

흉부 컴퓨터 단층촬영검사 (Computer Tomography of the Chest)

흉강천자술(Thoracentesis)

늑막생검 (pleural biopsy)

기관지조영술(bronchography )

알파 Ⅰ-항트립신 검사 (Alpha Ⅰ-Antitrypsin Determination)

전혈검사(CBC)

자기공명 영상술(MRI)

폐생검(Lung biopsy)

폐혈관조영술(Pulmonary Angiography)

본문내용

자가 1000개가 될 경우 의사에게 즉시 알림
자기공명 영상술(MRI)
① 목적
자기공명을 이용하여 신체에 대한 특별한 조작없이 내부장기 및 혈관의 병변을 확인, 진단하기 위함이다.
선천성 기형, 모반증, 혈관질환, 각종 종양, 감염성 질환, 퇴행성 질환
② 검사 전후 간호
·permission (-)
·금식 : Abdomen, pelvis & kidney는 금식 필요하나 brain 은 필요치 않음.
골반 촬영시 방광을 채운다.
·IV : H-cap
·MRA 검사 시에는 18G pressure line으로 준비
·검사 시 절대 움직이지 않고 누워있어야 함을 설명하고 검사 소요시간이 1시간 정도 지속되므로 검사 전 방광을 비우도록 한다.
폐스캔(Lung scan)
① 목적
·폐 혈관과 관련된 질환 즉 폐에서의 혈액 흐름이 얼마나 잘 이루어지는 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는 검사
·방사성 동위원소가 이용. 즉 방사성 동위 원소를 혈관을 통해 주입하고 이 원소가 폐혈관을 통해 폐로 들어갈 시간에 이 방사선 동위원소의 분포를 알아낼 수 있는 감마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
·만약 폐 혈관의 일부가 막혀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다면 혈액이 흐르지 못하는 부위에서는 방사선 동위 원소가 감마 카메라에 잡히지 않으므로 흰색의 빈공간 처럼 나타남
② 검사과정
·방사성 동위원소를 주사기를 이용하여 혈관에 주사
·누운 상태에서 감마 카메라를 이용하여 좔영하며 검사에 걸리는 시간은 약 30분 정도
③ 검사 전후 간호
·폐렴이나 늑막염, 페암과 같이 폐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주의
·요오드가 동위원소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갑상선에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동위원소 투여 전에 루골 용액을 검사 몇 시간 전에 미리 투여
·정상인의 경우에는 방사성 원소가 이용되더라도 극소량이므로 문제가 되지 않으나 임산부의 경우에는 주의
폐생검(Lung biopsy)
① 정상 : 병적인 증거가 나타나지 않음
개방적 방법은 흉곽개봉술에 의해서만 가능하며 폐쇄법에는 횡기관지 폐 생검(transbron
-chial biopsy), 횡기관지 주사바늘 흡인생검(transcarherer bronchial brushing biopsy)방법 등이 있다. 생검은 암이나 육종이나 사르코이드종(sarcoidosis)같은 폐 실질조직의 이상이나 폐 병소가 있을 때 시행한다.또한 가족성 질환이나 환경적 위험등을 미리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하여 시행한다. 시술 후 합병증으로 기흉,농흉, 폐출혈 등이 있을 수 있다.
② 검사과정
시술 하루 전날 저녁부터 금식이 필요하며 시술 30분~1시간 전에 진정제와 가래배출 억제제를 투약한다. 환자의 자세는 검사방법과 병소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
횡기관지 생검은 유연한 굴절성 기관지경을 통하여 병소를 보면서 기관지경의 관을 통하여 섭자를 삽입하여 병소로부터 검체를 채취한다.
횡기관지 주사바늘 흡인 생검은 기관지경을 보면서 기관지경을 통해서 형광수시상에서 확인된 종양의 부위에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주사바늘과 연결된 관과 주사기로 종양조직을 흡인한다.
횡 카테터 기관지 브러슁 생검은 기관지경을 통하여 브러쉬를 삽입하여 병소위치에서 위 아래로 브러쉬를 움직여 묻어나오는 조직을 현미경으로 확인하는 방법이다.
폐쇄적 방법 중 또 다른 방법은 경피적 주사바늘 생검(percutaneous needle biopsy)이다. X-선상에서 확인된 위치에 척수 천자 때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주사바늘을 피부를 통해 삽입하여 조직을 얻는 방법이다. 보지 않고 실시하므로 혈관을 다칠수 있다는 것이 단점이다.
개방적 폐 생검은 수술실에서 전신마취하에 작은 흉곽 절개창을 낸 후 폐 조직을 얻는 방법이다. 수술 후 24시간 동안 다른 흉곽절개술에서와 같이 흉곽 배액을 실시한다.
③ 금기사항
폐수종, 혈관이상, 출혈성 경향, 폐성 고혈압, 폐부전등이 있을 때는 금하는 것이 좋으나 위험부담보다는 진단을 하는 것이 중요할 때는 할 수도 있다.
④ 간호진단
기관지경검사와 관련된 간호진단
잠재성 합병증: 기흉, 출혈, 폐농양
⑤ 간호중재
시술 전날 저녁부터 금식한다.
시술 30분~1시간 전에 가래 분비 억제제와 진정제를 투여한다.
생검 동안 움직이거나 기침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폐에 상해를 줄 수 있다.
시술 과정동안 호흡기 상해 증상을 관찰한다. 호흡곤란, 빈맥, 청색증 등이 나타나면 의사에게 빨리 보고한다.
시술 후 생검 조직을 검사용기에 담아 검사실로 보낸다.
시술 후 합병증을 관찰하기 위하여 활력증상을 관찰한다. 첫 4회는 15분마다, 다음 4회는 30분마다 잰다. 환자의 호흡음을 사정한다. 특히 생검부위의 호흡음이 없는 것에 주의한다.
시술 후 합병증인 기흉의 발생이 없는가를 X-선검사를 통하여 확인한다.
폐혈관조영술(Pulmonary Angiography)
① 정상 : 정상적 폐혈관 분포
이 검사는 방사성 조영제를 폐동맥 네에 주사하여 폐혈관 분포를 관찰한다. 이 검사는 폐색전을 알아내고, 폐혈관의 선천성 및 후천성 병소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된다. 폐색전이 의심되면 폐검사가 먼저 실시되어야 한다. 그러나 만약 폐스캔이 양성이라도 폐색전이라는 진단은 확실한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폐실질조직의 병리과정도 폐조사에서 비정상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폐색적 확진하기 위해서는 폐혈관 조영술이 필요하다.
② 관련 합병증
1. 심부정맥 : 오른쪽 심방에 카테터를 집어넣을 동안 생기는 심실조기수축은 심실빈맥과 심실세동을 유발할 수 있다.
2. 과민증 : 이 검사에서 사용되는 조영제는 조영제 알러지가 있는 환자에게 과민증을 유발할 수 있다.
3. 사망위험 : 중환자실에서 밀접한 관찰을 하지 않으면 불안정한 환자는 죽음을 이를 수 있는 심한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다.
기관지혈관 조영술은 폐내의 출혈부위를 알아내기 위해 시행될 수 있다. 이때는 카테터를 동맥을 통해 기관지 동맥내에 삽입한댜. 그 후 방사선을 물질은 주입하면 동맥이 보이게 된다.
③ 검사과정
전날밤 자정부터 금식한다. 환자는 보통 아트로핀과 meperidine으로 진정시킨다. 혈관조영실내에서 환자를 X-선 테이블 위에 눕힌다. 서혜부를 준비하여 무균적 방버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7.05.01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75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