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어 가장 중요한 점은 법가의 현실성에 초점을 맞추는 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유가, 묵가, 도가는 다 같이 농본적(農本的)질서를 이상적 모델로 상정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모두가 복고적 경향을 띄고 있다. 경험하지 못한 세계에 대하여 신뢰를 갖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과거의 이상적인 시대로 돌아갈 것을 주장한다. 여기에 비해 법가는 시대의 변화를 인정하고 새로운 대응 방식을 모색해 간다. 법가의 사관을 미래사관 또는 변화사관이라 하는 이유이다. 이는 당시로서는 혁명적인 발상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관련 일화 {수주대토(守株待兎)}
송나라 농부의 우화인 ‘수주대토’는 어제 일어났던 일이 오늘도 또 일어나리라고 기대하는 어리석음을 풍자하고 있다. 이 우화의 농부는 물론 그냥 농부를 뜻하는 게 아니라 다른 제자백가를 비유해 풍자하고 있는 것이다. 변화하는 현실을 낡은 인식 틀로써 이해하려고 하는 것이며, 대응 방식도 미래 지향적이지 못하고 과거 회귀적이라는 것이다. 시대를 보는 눈이 없다(無相時之心)는 것이다.
법가의 가장 큰 특징
법가의 가장 큰 특징은 이처럼 변화를 인정하고, 변화된 현실을 받아들이는 현실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인의(仁義)의 정치는 변화된 현실에서는 적합하지 않은 사상이라는 것이다. 급변하는 현실 속에서 인의의 정치를 주장하는 것은 고삐 없이 사나운 말을 몰려는 것과 다름 없다는 것이 법가의 인식이다.
법 지상주의를 선언하는 이 \'법가‘는 법치로서 행함을 이루는데 법치는 먼저 귀족, 지자, 용자 등 법외자에 대한 규제로 나타난다. 법 위에 군림하거나 법을 지키지 않는 사회적 강자들에 대한 규제에서 시작한다.
주(周) 이래로 규제 방식에는 예와 형(刑)이라는 두 가지 방식이 있었는데, 공경대부와 같은 귀족들은 예로 다스리고, 서민들은 형으로 다스리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법가는 주(周)대의 이러한 예와 형의 구분을 없애버린다. 귀족을 내려 똑같이 상벌로써 다스리는 것이다. 유가는 반대로 서민을 올려 귀족과 마찬가지로 예로써 다스리자는 주장을 했지만 법가는 유가의 이러한 방식을 현실을 외면한 백면서생(白面書生)들의 주장이라고 비판하고, 유가는 법가적 방식을 비열하다고 비판했다.
어쨌든 법가는 공평무사한 법치를 주장하며 어떠한 예외도 인정하지 않았다.
요약하자면 우리가 법가 사상에서 적극적 의미로 읽어야 하는 것은 개혁성과 법치주의란 것이다. 이것은 다른 사상에 비하여 분명한 차별성을 가지는 법가만의 특징이다.
법가사상에 대한 비판(변명)
천하를 통일하는데 사용된 이 사상도 비판을 피해갈 순 없었다. 법가에 대한 비판으로 가장 먼저 제기되는 것이 법가는 전국시대의 군주 철학이라는 주장이다. 애민(愛民)사상이 아니라 군주의 권력을 중심에 두는 충군(忠君)사상이라는 것이다. 즉 비민주적인 사상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비민주적 성격뿐만 아니라 현실적인 면에 있어서도 군주 권력에 과도한 무게를 두었기 때문에 시스템으로서의 관료 제도를 실패로 이끌었다고 한다. 관료의 역할과 임무를 최소화함으로써 본대
관련 일화 {수주대토(守株待兎)}
송나라 농부의 우화인 ‘수주대토’는 어제 일어났던 일이 오늘도 또 일어나리라고 기대하는 어리석음을 풍자하고 있다. 이 우화의 농부는 물론 그냥 농부를 뜻하는 게 아니라 다른 제자백가를 비유해 풍자하고 있는 것이다. 변화하는 현실을 낡은 인식 틀로써 이해하려고 하는 것이며, 대응 방식도 미래 지향적이지 못하고 과거 회귀적이라는 것이다. 시대를 보는 눈이 없다(無相時之心)는 것이다.
법가의 가장 큰 특징
법가의 가장 큰 특징은 이처럼 변화를 인정하고, 변화된 현실을 받아들이는 현실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인의(仁義)의 정치는 변화된 현실에서는 적합하지 않은 사상이라는 것이다. 급변하는 현실 속에서 인의의 정치를 주장하는 것은 고삐 없이 사나운 말을 몰려는 것과 다름 없다는 것이 법가의 인식이다.
법 지상주의를 선언하는 이 \'법가‘는 법치로서 행함을 이루는데 법치는 먼저 귀족, 지자, 용자 등 법외자에 대한 규제로 나타난다. 법 위에 군림하거나 법을 지키지 않는 사회적 강자들에 대한 규제에서 시작한다.
주(周) 이래로 규제 방식에는 예와 형(刑)이라는 두 가지 방식이 있었는데, 공경대부와 같은 귀족들은 예로 다스리고, 서민들은 형으로 다스리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법가는 주(周)대의 이러한 예와 형의 구분을 없애버린다. 귀족을 내려 똑같이 상벌로써 다스리는 것이다. 유가는 반대로 서민을 올려 귀족과 마찬가지로 예로써 다스리자는 주장을 했지만 법가는 유가의 이러한 방식을 현실을 외면한 백면서생(白面書生)들의 주장이라고 비판하고, 유가는 법가적 방식을 비열하다고 비판했다.
어쨌든 법가는 공평무사한 법치를 주장하며 어떠한 예외도 인정하지 않았다.
요약하자면 우리가 법가 사상에서 적극적 의미로 읽어야 하는 것은 개혁성과 법치주의란 것이다. 이것은 다른 사상에 비하여 분명한 차별성을 가지는 법가만의 특징이다.
법가사상에 대한 비판(변명)
천하를 통일하는데 사용된 이 사상도 비판을 피해갈 순 없었다. 법가에 대한 비판으로 가장 먼저 제기되는 것이 법가는 전국시대의 군주 철학이라는 주장이다. 애민(愛民)사상이 아니라 군주의 권력을 중심에 두는 충군(忠君)사상이라는 것이다. 즉 비민주적인 사상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비민주적 성격뿐만 아니라 현실적인 면에 있어서도 군주 권력에 과도한 무게를 두었기 때문에 시스템으로서의 관료 제도를 실패로 이끌었다고 한다. 관료의 역할과 임무를 최소화함으로써 본대
추천자료
제 3 부 : 성어와 우언으로
맹자의 사상과 한국정치
법가와 군주론 비교 - 한비(韓非)와 마키아벨리 비교
原時儒家·墨家·法家의 정치철학의 비교
묵자의 평화이념과 실천
공자, 맹자, 묵자, 장자, 공손룡의 사상
중국사 레포트
예수는 어떻게 12제자를 위대한 리더로 키웠는가
[퇴계 이황][철학 사상][사단칠정][이기호발설][도산십이곡][퇴계][이황]퇴계 이황의 철학 사...
명가 최종 수정본(1)
동학(천도교)의 창시, 전개, 출발, 기본교리, 수운과 그의 제자 해월, 유교, 성리학, 동학과 ...
예수는 있다, 이국진, 국제제자훈련원
위험한 순종 독후감 (케이 워렌, 국제제자훈련원)
중국학개론 - 고대사에 관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