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울리시지 않을까 하는 못된 생각을 했었다. 고등학교에 갓 입학해서 우리 역시 아직적응을 하지 못한 혼란 스러운 상황인데 담임선생님까지 강단이 없으시고, 아이들 대하는 것을 어려워하시니 난 정말로 담임선생님을 잘못 만났다고까지 생각했었다. 반 아이들에게 청소하나 시키지 못하셨고, 수업 역시 흐지부지했었다. 대학 입시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고등학교 1학년의 시작을 담임선생님 때문에 잘못 시작했다는 생각도 들었고 왜 우리반만 초임인 선생님이 맡았는지 반 아이들의 불만도 꽤 높았었다. 그런데도 지금 교육학수업을 들으며 가장 먼저 떠오르는 선생님은 그분이다. 떨어진 성적 때문에 의기소침해하던 내 손을 잡고 함께 눈물을 흘리시며 기도를 해주신 그 분을 잊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몰랐었다. 단지 모든 게 서투신 분이라고만 생각했다. 하지만 하루하루가 지나고 선생님을 알아가면서 난 참 따뜻한 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앞에서 큰소리로 이끌지는 못하시지만 뒤에서 하나하나 아이들을 챙겨서 앞으로 나아가게 하시는 느낌이랄까. 눈으로 확 들어오지는 않았지만 정말 선생님이라는 느낌...... 그 느낌을 받기까지가 너무 멀어서 너무나 오래 걸려서 우리가 진짜 선생님을 몰라
추천자료
대학원 교육학개론 요약
[교육학개론] 페스탈로찌의 교육사상
[교육학개론]입시의 기능에 대해 논하시오.
[교육학개론] 고교평준화논쟁
[교육학개론]'북한에서는 어떻게 교육할까'를 읽고
[교육학개론] 학교 교육에서의 ‘체벌’에 대한 심층 고찰
[교육학개론] 창의력 교육 -꿈을키우는 아이들-
[교육학개론] 자신의 인생에 영향을 미친 교육과 관련된 사건 혹은 경험
[특수교육학개론] 13장 의사소통장애아 교육
[교육학개론 과제] 내가 꿈꾸는 교사의 모습
[교육학개론] 철학의 연구영역의 이해 (존재론(ontology), 인식론(epistemology), 가치론(axi...
[교육학개론] 사회의 기능과 교육 (사회의 기능과 교육의 관계가 어떤 것인가?)
[교육학개론] 블룸(B. S. Bloom)의 완전학습을 위한 교수전략
[교육학개론] 잠재적 교육과정(manifest curriculum)의 이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