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의사소통
1. 언어적 의사소통 - 언어의 힘
2. 비언어적 의사소통 - 준언어(Paralanguage)
Ⅱ. 의사소통과 면담을 위한 지침
1. 면담을 위한 준비
2. 컴퓨터 이용의 보안성과 간호적용
3. 전화상담
Ⅲ. 가족과의 의사소통
1. 부모와의 의사소통
2. 아동과의 의사소통 (communicating with children)
1. 언어적 의사소통 - 언어의 힘
2. 비언어적 의사소통 - 준언어(Paralanguage)
Ⅱ. 의사소통과 면담을 위한 지침
1. 면담을 위한 준비
2. 컴퓨터 이용의 보안성과 간호적용
3. 전화상담
Ⅲ. 가족과의 의사소통
1. 부모와의 의사소통
2. 아동과의 의사소통 (communicating with children)
본문내용
아동과 가족의 의사소통과 건강사정
Ⅰ. 의사소통
ㆍ의사소통의 형태에는 언어적, 비언어적, 추상적 의사소통이 있다.
ㆍ간호사는 경청을 포함한 효율적인 의사소통기법들을 이해하고 상황과 시간에 적절하게 사용되어야 한다.
1. 언어적 의사소통 - 언어의 힘
1) 회피 언어(avoidance language)
ㆍ느낌을 숨기고 싶을 때, 현실을 변화시키고자 할 때 그것을 사실대로 묘사하는 단어는 피하고 다른 단어를 사용하는 방법
ㆍ직접적이고 간결한 서술 : 상황을 올바르게 판단하고, 두려움을 표현케 한다.
ㆍ완곡어법(euphemism) : 두려움만 지속, 강화시킨다.
ex) ‘사망(death)’이라는 말 대신 ‘돌아가셨다(passed on)’는 말이 사용된다.
2) 거리를 두는 언어(distancing language)
ㆍ장점 : 주제가 대상자에게 너무 고통스러울 경우 직접 논의가 어려울 때, 제3자 기법으 로 알맞은 피드백과 치료가 효과적이다.
ㆍ단점 : 문제의 존재를 부정할 가능성이 크다.
ex) 부모는 자신의 아이의 발달지체를 성장이 느린 어떤 아이를 안다고 표현한다. 그 리고 자녀의 이상을 다른 사람의 일로 인식하여 특수시설이나 훈련을 고려하지 않 을 수 있다.
2. 비언어적 의사소통 - 준언어(Paralanguage)
ㆍ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음의 높낮이, 중단, 억양, 속도, 강도와 같은 비언 어적 수단이다.
ㆍ아이들은 준언어에 매우 익숙하다.
ㆍ보통 사람들은 비언어적 표현을 의식하여 조절하지 않기 때문에 문제의 단서가 많이 내포되어있다.
ㆍ간호사는 타인이 말한 단어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 메시지를 잘 이해하고 자신의 준언어 를 정확히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1) 승인행동(confirming behaviors)과 비승인 행동(disconfirming behaviors)
ㆍ사람들은 고개를 끄덕이고 눈을 맞추는 승인행동, 혹은 눈 맞춤을 돌리고 말을 중단 시 키는 것과 같은 비승인 행동을 통해 타인에게 반응한다.
ㆍ간호사는 대상자에게 승인반응을 얻기 위해 승인행동을 사용해야한다.
ㆍ거울효과(mirroring effects)는 비언어적 단서에 대해 민감하므로 아동들에게 특히 명 백하게 나타난다.
Ⅱ. 의사소통과 면담을 위한 지침
의사소통의 원칙
① 듣고 말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라
② 정직하라
③ 신뢰하게 하라
④ 한계를 정하라
⑤ 접촉을 통해 대화하라
⑥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인정하라
⑦ 감정을 존중하라
⑧ 관계형성을 서두르지 말라
⑨ 아동의 눈높이에
Ⅰ. 의사소통
ㆍ의사소통의 형태에는 언어적, 비언어적, 추상적 의사소통이 있다.
ㆍ간호사는 경청을 포함한 효율적인 의사소통기법들을 이해하고 상황과 시간에 적절하게 사용되어야 한다.
1. 언어적 의사소통 - 언어의 힘
1) 회피 언어(avoidance language)
ㆍ느낌을 숨기고 싶을 때, 현실을 변화시키고자 할 때 그것을 사실대로 묘사하는 단어는 피하고 다른 단어를 사용하는 방법
ㆍ직접적이고 간결한 서술 : 상황을 올바르게 판단하고, 두려움을 표현케 한다.
ㆍ완곡어법(euphemism) : 두려움만 지속, 강화시킨다.
ex) ‘사망(death)’이라는 말 대신 ‘돌아가셨다(passed on)’는 말이 사용된다.
2) 거리를 두는 언어(distancing language)
ㆍ장점 : 주제가 대상자에게 너무 고통스러울 경우 직접 논의가 어려울 때, 제3자 기법으 로 알맞은 피드백과 치료가 효과적이다.
ㆍ단점 : 문제의 존재를 부정할 가능성이 크다.
ex) 부모는 자신의 아이의 발달지체를 성장이 느린 어떤 아이를 안다고 표현한다. 그 리고 자녀의 이상을 다른 사람의 일로 인식하여 특수시설이나 훈련을 고려하지 않 을 수 있다.
2. 비언어적 의사소통 - 준언어(Paralanguage)
ㆍ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음의 높낮이, 중단, 억양, 속도, 강도와 같은 비언 어적 수단이다.
ㆍ아이들은 준언어에 매우 익숙하다.
ㆍ보통 사람들은 비언어적 표현을 의식하여 조절하지 않기 때문에 문제의 단서가 많이 내포되어있다.
ㆍ간호사는 타인이 말한 단어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 메시지를 잘 이해하고 자신의 준언어 를 정확히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1) 승인행동(confirming behaviors)과 비승인 행동(disconfirming behaviors)
ㆍ사람들은 고개를 끄덕이고 눈을 맞추는 승인행동, 혹은 눈 맞춤을 돌리고 말을 중단 시 키는 것과 같은 비승인 행동을 통해 타인에게 반응한다.
ㆍ간호사는 대상자에게 승인반응을 얻기 위해 승인행동을 사용해야한다.
ㆍ거울효과(mirroring effects)는 비언어적 단서에 대해 민감하므로 아동들에게 특히 명 백하게 나타난다.
Ⅱ. 의사소통과 면담을 위한 지침
의사소통의 원칙
① 듣고 말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라
② 정직하라
③ 신뢰하게 하라
④ 한계를 정하라
⑤ 접촉을 통해 대화하라
⑥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인정하라
⑦ 감정을 존중하라
⑧ 관계형성을 서두르지 말라
⑨ 아동의 눈높이에
추천자료
[사회과학] 원활한 의사소통 기술에 필요한 언어적기술과 비언어적 기술(미리보기 확인요^^)
유아 언어 말하기, 의사소통 모의수업 교육 활동 계획안과 교구교재계획안 첨부, 나와 가족, ...
유치원 언어생활 영역과 표준보육과정 의사소통영역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하시오
영유아의 언어발달 단계를 설명하고 표준보육과정의 의사소통 영역에서 만2세 영아를 위한 활...
영유아의 언어발달 단계를 설명하고 표준보육과정의 의사소통 영역에서 만2세 영아를 위한 활...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교육론 Canale과 Swain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을 문법적 능력, 사회언어...
의사소통기술의 이해 - 언어적 의사소통기술,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언어적 행동, 비언어적 의...
[영유아발달] ≪유아의 언어발달(言語發達)≫ 언어발달이론(학습이론,생득이론,인지이론) &am...
만4세 유아의 신체발달(신체운동. 건강영역), 언어발달(의사소통 영역), 사회성발달(사회관계...
[아동언어발달] 아동기 언어발달(아동의 어휘-문법발달, 의사소통능력발달, 읽기와 쓰기능력...
[아동언어발달] 아동기 언어발달(아동기 어휘사용발달, 문법지식발달, 의사소통기술발달, 아...
주요 학자의 생애와 업적,인간관,자아상태모델,교류의 패턴,상보교류-의사소통의 제1법칙,언...
[유아 언어발달] 유아기 어휘발달, 문법발달, 의사소통발달, 유아기 언어적 환경의 중요성
[사회복지실천기술] 의사소통기술 - 사회복지실천에서 의사소통기술(언어적 및 비언어적 의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