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육아와 시쓰케(しつけ)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의 육아와 시쓰케(しつ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일본의 육아행사 1) 오시치야(お七夜) 2) 오미야마이리 3) 오이구조메 4) 히나마쯔리 5) 고이노보리 6) 첫돌 7) 시치고산(七五三) 8) 주산마이리 9) 성인식 2. 일본의 시쓰케 도덕 1) 일본의 가정 2) <시쓰케>(躾)라는 말의 의미 3) 일본의 전통적 시쓰케 사상 4) 변화하는 시쓰케 5) 현대의 시쓰케 오모이야리 도덕의 시쓰케 교육

3. 결론

본문내용

는 사회화의 에이전트로서의 부모, 조부모가 사회의 당연화된 가치 규범을 시쓰케를 통해 아이에게 주입시켰다. 그러나 현대는 사회적 행위를 선택할 수 있는 가치관이 다양화되어 있는 가운데, 부모는 아이에게 어떠한 가치 체계를 선택해 어떻게 시쓰케를 해야할지 몰라 불안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5) 현대의 시쓰케
물론 일본의 전통적인 시쓰케 사상이 사라지고, 현대 시쓰케 이데올로기가 다양화 되고 혼돈 상태에 있지만, 현재 일본의 가정에서는 여전히 전통적인 시쓰케 사상을 잠재적으로 재생산 하고 있으며, 그것은 사회화의 과정을 통해 아이에게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오모이야리 도덕의 시쓰케 교육
일본의 일반 사회에서 보면 눈에 띠는 시쓰케교육이 이다. 예를 들면 전차 칸에서 아이가 의자 위에 올라갈 때는 어머니가 반드시 신발을 벗겨 밑에 가지런히 놓으며, 아이가 떠들거나 장난하거나 하면 단호한 목소리로 ‘안 돼. 다른 사람에게 폐를 끼치는 행동을 하면 안 돼’라고 말하며 제지한다. 아이는 물론 엄마의 말을 잘 들으며 그래서 전차나 버스 안에서 먹고 마시고 하는 행위나 제멋대로 뛰어다니거나 옆사람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아이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런데 이러한 아이들에 대한 어머니의 시쓰케교육이 이상하게 느껴지지 않는 것은 어른의 생활이 그대로 본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즉 일본의 전철이나 버스 등의 교통기관은 매우 조용하며 여파람에게 약간만 닿아도 만원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반드시 미안하다는 말을 잊지 않는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층계를 오르내리거나 장난하지 않으며 홈을 바꾸는 통로등에서의 통행 질서가 매우 조용히 잘 되어있다. 이런 어른 생활의 도덕적 모습은 바로 가정의 시쓰케교육에서 비롯되며 또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남에게 폐를 끼쳐서는 안 된다’는 도덕의식의 기반이 되는 사상은 바로 유교사상이다. 유교 사상의 충(忠), 효(孝), 서(恕)사상 가운데 서(恕)사상은 논어에서 말하는 표현 그대로 기소불욕 물시어인야(己所不欲勿施於人也)라고 하여 ‘자기가 원치 않는 것을 남으로 하여금 하게 하지 않는 것’이라는 말이다. 즉 자기가 하기 싫으면 남도 하기 싫어함으로 자기가 하기 싫은 것을 남에게 시키지 말라는 말이다. 이러한 서(恕)사상은 일본의 전통 도덕인 남의 형편을 자기 형편으로 생각하여 동정하는 의미인 <오모이야리>도덕성과 일치하면서 오모이야리 도덕성의 사상적 배경으로 생각할 수 있다.
즉 일본 가정의 시쓰케 교육은 남을 의식하고 남과 일치하는 행동 및 태도를 갖게 하는 것이 되었다. 그렇게 함으로서 남의 폐를 끼치지 않게 되며, 그럴 때 좋은 사람, 인자한 사람 오모이야리를 아는 사람이라는 평을 듣게 되는 것이다.
오늘날 일본은 학력주의로 인하여 가정교육이 상실되어 가고, 입시 준비를 위한 교육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사회적 계층의 수직적 이동이 완만해진 사회 구조 속에서, 고등 교육 수료의 학력이 더 이상 사회적 계층 이동의 효용을 지니지 못하게 되었다. 비교적 안정된 사회 구조 속에서, 부모는 가정에서 아이와 상호 작용 하면서 그들을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사회화시켜 가족의 문화적 재생산을 이루어 간다. 그 속에서 아이는 가족의 문화를 습득하고 성장하여 학력을 획득해 간다. 어머니의 문화적 활동형이 따른 어린이의 학업 생활의 차이가 이것을 잘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일본 가정의 교육력은 강하게 존재하고 있고, 나아가 교육제도, 입시제도와 관련되어 일본 사회의 문화적 계층의 재생산에 기능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전통과 현대가 동시에 살아 숨쉬는 일본. 일본은 세계에서 손꼽히게 발전된 국가이면서 전통 역시 훌륭하게 계승 발전해가는 나라이다. 그러한 전통 가정 교육과 현대의 교육이 어우러지면서, 예의 바르고 책임감 있는 사람이라며 세계적으로 칭찬받는 일본인들이 탄생했다. 여러 전쟁들의 폐해와 급속도의 발전으로 전통적인 것을 많이 잃어버린 우리나라는, 동방예의지국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시민의식과 도덕이 사라져버린지 오래이다. 이제는 일본의 엄격한 시쓰케 교육과 전통 육아 행사의 계승 의식을 본받아 우리도 아이를 훌륭하게 키워내야 할 때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참고도서----------------------------------------------------------
일본의 도덕과 도덕교육 / 홍현길/ 보고사
일본 문화 / 김미란 편저 / 형설출판사
日敎育의 理解 / 일본연구초어 간행위원회 / 시사일본어사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5.19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03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