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언어의 중요성
(2) 언어 구사에서의 차이
(3) 성별어가 나타나게 된 원인 - 보편적인 이론 배경
Ⅱ. 본론
(1) 성의 차별성이 나타나게 된 원인
(2) 언어에 나타난 성의 차별성
(3) 문제점
Ⅲ. 결론
※참고문헌 및 참고 자료 출처
(1) 언어의 중요성
(2) 언어 구사에서의 차이
(3) 성별어가 나타나게 된 원인 - 보편적인 이론 배경
Ⅱ. 본론
(1) 성의 차별성이 나타나게 된 원인
(2) 언어에 나타난 성의 차별성
(3) 문제점
Ⅲ. 결론
※참고문헌 및 참고 자료 출처
본문내용
한국여성민우회가 공동으로 ‘양성평등 미디어 언어 개발을 위한 모니터링 연구’ 사업을 시작해, 신문 기사, TV 프로그램, 인터넷 사이트, 광고 등을 대상으로 성차별성비하 언어의 사용 살태를 조사할 계획을 갖고 있다. 모니터를 주관하는 한국 여성 민우회는 성차별성비하 언어의 명확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경우를 나누어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도 고려하기로 했다. 또한 이런 언어를 찾아냈을 때, 그를 대신할 대체어 연구도 빠질 수 없는데, 이는 국립 국어원과 관련 전문 단체의 자문을 함께 얻어 제시할 계획이다. 이는 토론회와 언론 홍보를 통해 진행될 예정이며, 이것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건강한 미디어 환경을 조성하게 되고 나아가 그런 미디어를 통해 언어를 습득하게 되는 국민들의 평등한 언어구사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영어권에서는 ‘-man\'이 붙어, 마치 남성의 특권인 양 불리워지고 있는 단어들을 양성 평등한 단어인 \'-person\' 혹은 직위로 대체해 사용하는 ’성해방단어‘ 운동이 일고 있다. Freshman의 경우 Freshperson혹은 Freshpeople, Fireman은 Firefighter, Policeman은 Policeofficer로 대체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는 점차적으로 확산되어 대체된 언어가 주언어로 자리잡고 있는 추세이다.
Housewife → Homemaker, consumer, householder …
King-size → Jombo-size, Huge, Extra-size, Super-size
Father → God
Mankind → Humankind, Humanity, People, Humans …
Manpower → Workforce, Personnel, Resources …
Ⅲ. 결론
지금까지 ‘언어에 나타난 성의 차별성’을 문화환경적인 원인과 언어 체계의 원인,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러나 두 가지 원인을 각각 따로 구분할 필요는 없다. 위에서 서술하였다시피, 문화적인 영향과 함께 어휘 체계가 달라진 경우 등 두 원인은 분리되어있기보다는 서로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고 보는 것이 더 옳을 것이다. 국가는 그 나라의 문화로 형성이 되고, 그 국가의 언어 또한 그 문화의 영향으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 대신, 우리가 주목하여야할 것은 사회는 분명 세월을 거쳐 양성이 평등한 시대에 근접해왔으나, 언어는 그렇지 못한 것이 대다수 국가의 현실이라는 점이다. 그만큼 언어는 변하기가 어렵고, 그 안에 담겨있는 의미 또한 사라지기 힘들다. 이를 좀 더 빠르게, 평등한 언어로 바꿀 수 있는 첫 번째 방법은 우리의 인식 전환이며, 두 번째는 미디어 역할의 중요성이다. 미디어 매체, 언론 매체들은 오늘날 무한히 발전해 한 번에 많은 사람들의 눈과 귀를 자극한다. 즉, 한 번에 많은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는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얼마 전, 큰 인기를 끌며 종영한 ‘불량 주부’의 경우, 남성이 살림을 도맡아하는 모습을 중심 내용으로 잡으며 사람들의 ‘남성은 밖에 나가서 일해야 한다’는 인식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도록 한 대표적인 미디어라고 볼 수 있겠다. 또한, 한국의 ‘외과의사 봉달희’, ‘H.I.T.\', 미국의 \'Sex and the city\' 등 전문직에 종사하는 여성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여성은 집에서 살림만 해야 한다’는 인식을 바꾸는 계기 또한 계속적으로 마련되고 있다. 드라마 이외에도 남자 출장 청소팀 등을 취재하거나, 차별성 언어를 새롭게 고친 언어를 알려주고 앞으로는 사용할 것을 당부하는 등의 노력을 기한다면, 성차별적인 인식과 그런 의미를 담은 언어도 점차적으로 사라지게 될 것이라 본다.
글을 마치며 당부하고자 하는 것은 우리가 조사를 하면서 소위 ‘페미니즘’적인 보고서가 되지 않도록, 양성이 받는 모든 차별을 조사하려 부단히 노력했다는 것과 생물학적인 접근할 수 있는 원인을 무조건 간과해버리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소위 양성평등을 외치려면, 여자도 서서 오줌을 누고, 남자도 아기를 낳으라는 억지를 쓰는 것도 아니며, 이제 여자는 집에서 살림하면 안 되고, 남자는 집에서 일해야 한다는 것 또한 아니다. 다만, 양성 모두가 할 수 있는 ‘일’이고 ‘말’인데도, 언어에 특정성을 못 박음으로써 차별을 두지 말자는 것이 우리의 의견임을 알아주었으면 한다.
※ 참고 문헌 및 자료, 도움주신 분
<참고 문헌>
언어와 여성의 사회적 위치 (박창원, 김창섭, 전혜영, 차현실 저, 태학사)
‘성’과 언어 (Jennifer Coats 저, 청주대학교 출판부)
섹시즘(Sexism) - 남자들에 갇힌 여자 (정혜경 저, 휴머니스트)
페미니즘 언어학과 성차별 메커니즘(말리스 헬링어 저, 부산대학교출판부)
여성과 언어(엔도 오리에 저, 박이정)
계집팔자 상팔자?(우리말에 나타난 성차별 구조) (강주헌 저, 황소걸음)
나는 여성보다 여자가 좋다(우리말에 나타난 성차별 구조를 넘어서) (강주헌 저, 황소걸음)
<일부분 참고 문헌>
큰 여자 깬 남자 (차옥덕 저, 역락)
- 제 4 장 여성의 목소리가 담장을 넘어가야 도둑도 쫓는다
언어와 사회(박육현, 김호진 저, 세종출판사)
- 제 5 장 언어와 성차별
열린 사회 자율적 여성(또 하나의 문화 편집부 저, 또 하나의 문화)
- 논설 ‘획일 문화와 성차별 언어’(김숙희)
<참고 논문>
성별에 따른 영어 대화 스타일의 차이(한양대학교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이경원, 1997)
<인터넷 자료>
Language and Gender - 네이버 오픈 사전 (작성자:stjohn1981-네이버 명예 지식인, TOP 50)
한겨례, 김재희의 여인열전 - 루이제 푸슈와 부조리한 3인칭
<도움주신 분>
독일어 관련 설명 : 경북대학교 독어독문학과 이송희, 이슬예, 전민
러시아어 관련 설명 :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배혜윤
아랍어 관련 설명 :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 강원구
일본어 관련 설명 : 일본아시아국제학교 고서연, 경기대학교 국제 관광학부 한나래
인도네시아어 관련 설명 :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안드리 셰프
Housewife → Homemaker, consumer, householder …
King-size → Jombo-size, Huge, Extra-size, Super-size
Father → God
Mankind → Humankind, Humanity, People, Humans …
Manpower → Workforce, Personnel, Resources …
Ⅲ. 결론
지금까지 ‘언어에 나타난 성의 차별성’을 문화환경적인 원인과 언어 체계의 원인,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러나 두 가지 원인을 각각 따로 구분할 필요는 없다. 위에서 서술하였다시피, 문화적인 영향과 함께 어휘 체계가 달라진 경우 등 두 원인은 분리되어있기보다는 서로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고 보는 것이 더 옳을 것이다. 국가는 그 나라의 문화로 형성이 되고, 그 국가의 언어 또한 그 문화의 영향으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 대신, 우리가 주목하여야할 것은 사회는 분명 세월을 거쳐 양성이 평등한 시대에 근접해왔으나, 언어는 그렇지 못한 것이 대다수 국가의 현실이라는 점이다. 그만큼 언어는 변하기가 어렵고, 그 안에 담겨있는 의미 또한 사라지기 힘들다. 이를 좀 더 빠르게, 평등한 언어로 바꿀 수 있는 첫 번째 방법은 우리의 인식 전환이며, 두 번째는 미디어 역할의 중요성이다. 미디어 매체, 언론 매체들은 오늘날 무한히 발전해 한 번에 많은 사람들의 눈과 귀를 자극한다. 즉, 한 번에 많은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는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얼마 전, 큰 인기를 끌며 종영한 ‘불량 주부’의 경우, 남성이 살림을 도맡아하는 모습을 중심 내용으로 잡으며 사람들의 ‘남성은 밖에 나가서 일해야 한다’는 인식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도록 한 대표적인 미디어라고 볼 수 있겠다. 또한, 한국의 ‘외과의사 봉달희’, ‘H.I.T.\', 미국의 \'Sex and the city\' 등 전문직에 종사하는 여성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여성은 집에서 살림만 해야 한다’는 인식을 바꾸는 계기 또한 계속적으로 마련되고 있다. 드라마 이외에도 남자 출장 청소팀 등을 취재하거나, 차별성 언어를 새롭게 고친 언어를 알려주고 앞으로는 사용할 것을 당부하는 등의 노력을 기한다면, 성차별적인 인식과 그런 의미를 담은 언어도 점차적으로 사라지게 될 것이라 본다.
글을 마치며 당부하고자 하는 것은 우리가 조사를 하면서 소위 ‘페미니즘’적인 보고서가 되지 않도록, 양성이 받는 모든 차별을 조사하려 부단히 노력했다는 것과 생물학적인 접근할 수 있는 원인을 무조건 간과해버리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소위 양성평등을 외치려면, 여자도 서서 오줌을 누고, 남자도 아기를 낳으라는 억지를 쓰는 것도 아니며, 이제 여자는 집에서 살림하면 안 되고, 남자는 집에서 일해야 한다는 것 또한 아니다. 다만, 양성 모두가 할 수 있는 ‘일’이고 ‘말’인데도, 언어에 특정성을 못 박음으로써 차별을 두지 말자는 것이 우리의 의견임을 알아주었으면 한다.
※ 참고 문헌 및 자료, 도움주신 분
<참고 문헌>
언어와 여성의 사회적 위치 (박창원, 김창섭, 전혜영, 차현실 저, 태학사)
‘성’과 언어 (Jennifer Coats 저, 청주대학교 출판부)
섹시즘(Sexism) - 남자들에 갇힌 여자 (정혜경 저, 휴머니스트)
페미니즘 언어학과 성차별 메커니즘(말리스 헬링어 저, 부산대학교출판부)
여성과 언어(엔도 오리에 저, 박이정)
계집팔자 상팔자?(우리말에 나타난 성차별 구조) (강주헌 저, 황소걸음)
나는 여성보다 여자가 좋다(우리말에 나타난 성차별 구조를 넘어서) (강주헌 저, 황소걸음)
<일부분 참고 문헌>
큰 여자 깬 남자 (차옥덕 저, 역락)
- 제 4 장 여성의 목소리가 담장을 넘어가야 도둑도 쫓는다
언어와 사회(박육현, 김호진 저, 세종출판사)
- 제 5 장 언어와 성차별
열린 사회 자율적 여성(또 하나의 문화 편집부 저, 또 하나의 문화)
- 논설 ‘획일 문화와 성차별 언어’(김숙희)
<참고 논문>
성별에 따른 영어 대화 스타일의 차이(한양대학교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이경원, 1997)
<인터넷 자료>
Language and Gender - 네이버 오픈 사전 (작성자:stjohn1981-네이버 명예 지식인, TOP 50)
한겨례, 김재희의 여인열전 - 루이제 푸슈와 부조리한 3인칭
<도움주신 분>
독일어 관련 설명 : 경북대학교 독어독문학과 이송희, 이슬예, 전민
러시아어 관련 설명 :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배혜윤
아랍어 관련 설명 :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 강원구
일본어 관련 설명 : 일본아시아국제학교 고서연, 경기대학교 국제 관광학부 한나래
인도네시아어 관련 설명 :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안드리 셰프
추천자료
언어학과 음성학 용어 정리
언어의 특성 속성, 소리, 의미
TV 방송언어의 문제점
권위와 성별언어
텔레비젼 광고언어의 비판적 고찰
언어, 그리고 여성의 조건
여성과남성의언어차이
(언어)속담속에 나타난 한국인들의 여성에대한 심리성향
언어와 문화의 관계 비교 분석
제이언어습득 이론(Monitor Model, Markedness Differential Hypothesis, The Competition Mo...
언어발달이론 - 행동주의, 생득주의, 상호작용주의 이론
[그림책][포스트모더니즘][유아언어교육][그림책의 읽어주기]그림책의 정의, 그림책의 특징, ...
언어학의 역사를 읽고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 견해, 나의 소감, 시사...
언어발달에 대한 다양한 이론 중 하나를 골라 자신의 경험과 연결지어 해당 이론이 어떻게 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