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복지 정리 요약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복지 정리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아동복지의 개념
1.아동복지의 이념
2.아동복지의 정의
3.아동관의 변천
가.성인의 축소판
나.장래시민
다.성악설(性惡設
라.성선설(性善設)
마.아동백지(Tabura tasa)설
바.반복설(Recapitulation Theory)
4.아동의 권리
가.생존권(生存權)
나.발달권(發達權)
다.의료권(醫療權)
라.교육권(敎育權)
마.생활권(生活權)
바.환경권(環境權)
사.노동권(勞動權)
아.아동의 권리보장과 과제

II.아동의 특성
1.아동의 발달
가.발달의 개념
나.발달의 원리
다.발달단계
라.발단단계별 특성
1)태아기(胎兒期)
2)유아기(乳兒期)
3)유아기(維兒期)
4)아동기(兒童期)
5)청년기(靑年期)
마.발달과업
2.발달원리
가.적기성(適機性)
나.기초성(基礎性)
다.누적성(累積性)
라.불가역성(不可逆性)

III.아동복지의 발전과정
1.외국의 아동복지사(兒童福祉史)
가.중세사회(中世社會)
나.근대사회(近代社會)
다.현대사회(現代社會)
2.우리나라의 아동복지사(兒童福祉史)

IV.아동과 생활환경
1.아동과 가정환경
가.현대가정의 경향
나.부모의 역할
다.가족관계
2.아동과 학교환경
2.아동과 학교환경
가.사회환경의 중요성
나.현대의 사회상황

V.아동복지의 원칙과 기능
1.아동복지의 전제조건(前提條件)
가.부모의 계몽과 교육
나.가정생활의 강화
다.심신건강의 증진
마.교육
바.놀이 및 오락
사.노동으로부터의 보호
아.특수보호
2.아동복지의 원칙
가.권리와 책임의 원칙
나.보편성(普遍性)과 선정성(選定性)의 원칙
다.개발적 기능(開發的 機能)의 원칙
라.포괄성(包括性)의 원칙
마.전문성(專門性)의 원칙
3.아동복지사업의 기능과 유형

V.아동복지사업의 실제
1.아동인구추이
2.아동복지관련조직 및 법규
3.상담사업
4.가정보호제도
다.자립생활관 설치운영

본문내용

동복지사업은 주로 구호적, 사후대책적 기능이 지배적이었으나, 그러한 기능으로는 사회변천과정에서 야기되는 부정적 요소들에 대처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앞으로는 예방적이며 의도적으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개발적 기능이 수행되어야 한다. 켄달(Kendall)은 개발적 기능에 개해 목적에서 적극성을 띄고, 접근방법에서 포괄성을 가지며, 대상인구가 각 부문에 관련돼야 하며, 종전까지의 순수한 치료적 혹은 미시적 수준에서 지역사회적,국가적,거시적 수준으로까지의 제 복지기능에 관여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즉 아동욕구의 발견 및 변화예측, 그 변화와 발전에 대한 사람들의 참여, 지도자의 계발, 기관과 집단간의 조정과 협력의 향상등과 관련되는 기능들이 적극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라.포괄성(包括性)의 원칙
아동복지의 기본전제가 되는 요소들과 관련되는 프로그램이나 서비스가 포괄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즉 보건복지부, 교육부, 문화체육부, 노동부등 여러 정부부처에서 산발적으로 관장하고 있는 아동의 복지와 관련되는 사업이나 프로그램들이 포괄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조직과 운영의 연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마.전문성(專門性)의 원칙
아동들의 욕구나 사고 및 행동문제에 관한 전문적 지식이나 기술이 없이는 옳바른 문제해결을 기하기 어렵다. 아동들의 건전한 발달을 위해서는 이를 위한 전문기구와 아울러 전문적 인력의 활용이 절실하다.
3.아동복지사업의 기능과 유형
아동복지사업은 부모와 아동사이의 역할수행의 불이행으로 빚어지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정도에 따라 카두신(Kadushin) 3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가.지지적(支持的) 서비스(supportive services)
아동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1차 방어선으로 아동을 가정에 머물게 하면서 부모와의 좋은 관계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상담등의 서비스를 통해서 가족들의 기능을 강화시키고 부모-자녀관계의 긴장을 완화시켜 주기 위한 방법이다. 이 때에 서비스가 바로 주어지지 않으면 가족내에 균열이 일어나 이혼.별거.유기 등의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아동상담소, 가정상담소, 집단활동기관, 미혼부모기관등이 있다.
나.보조적(補助的) 서비스(supplementary services)
아동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2차 방어선으로 가정 및 가족의 형태는 그대로 있으나 부모의 역할이 매우 부적절하므로 가정외부에서 지원해주므로써 부모의 역할을 대행하거나 도와주는 것이다. 경제적 지원, 가사보조사업(home helpservice),탁아사업등을 들 수 있다.
다.대리적(代理的) 서비스(substitute service)
아동문제에 대한 3차 방어선으로 부모-자녀관계가 임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해체되었을 때, 아동을 다른 가정이나 시설에 있게 함으로써 아동을 보호하는 것이다. 위탁가정보호, 입양,시설보호 등을 들 수 있다.
V.아동복지사업의 실제
1.아동인구추이
\'95년 18세 미만 아동인구는 전체인구의 28.5%인 12,801천명에 이르고 있으며, 2000년도에는 25.7%, 2010년도에는 23.1%로 점차 감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동인구추계
(단위: 천명)
--------------------------------------------------------------
구분 93 94 95 2000 2005 2010
---------------------------------------------------------------
총인구 44,056 44,453 44,851 46,789 48,434 49,683
아동인구 13,026 12,904 12,801 12,037 11,789 11,484
비율(%) 29.6 29.0 28.5 25.7 24.3 23.1
----------------------------------------------------------------
자료:통계청 장래인구추계(1991)
아동인구는 계속 감소추세에 있으나 성개방 풍조와 이혼 및 산업재해의 증가에 따른 결손가정은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요보호아동은 \'94년도에 516천명(전체아동인구의 4.0%으로 이들에게는 생계.의료.교육보호를 정부에서 지원하고 있다.
2.아동복지관련조직 및 법규
가.조직
아동복지사업은 중앙에는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정책실 가정복지심의관(국) 아동복지과에서, 지방은 시.도단위에서는 가정복지국 가정복지과 혹은 청소년과에서, 시.군.구에서는 가정복지과에서 관장하고 있다.유관조직으로는 아동복지법에 의해 아동복지위원회, 한국아동복지설협회, 한국복지재단(구.한국어린이재단)이 있다. 아동복지위원회는 아동복지정책의 심의, 아동복지제도에 관한 조사연구사업을 하며, 사회복지법인인 한국복지재단은 불우이웃 결연사업 및 어린이찾아주기쎈타 운영의 활동을 한다.
나.관련법규
아동복지사업 시행에 근거를 마련하고 있는 법규들은 아동복지법, 입양특례법, 보호시설에 있는 고아의 후견직무에 관한 법률, 사회복지사업법, 생활보호법, 공익법인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등이다.
다.아동복시설의 종류
영아시설, 육아시설, 아동직업보도시설, 교호시설, 정서장애아시설, 자립지원시설, 아동일시보호시설, 조산시설, 아동전용시설, 아동상담소
3.상담사업
요보호아동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일단 발생한 경우에는 사후지도까지 행하는 상담지도사업을 위하여 아동상담소가 \'94년 현재 공립 13개소, 사립38개소가 설치되어 있고, 시.군.구에 378명의 별정직 공무원인 아동복지지도원이 배치되어 상담과 지도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아동복지지도원과의 연계활동을 위해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이 위촉하여 지역사회에서 자원봉사차원의 아동복지활동을 하는 아동위원이 있다. 아동위원은 읍.면.동 단위로 반드시 2명 이상을 위촉하도록 되어 있고, 이들은 지역실정에 밝고 아동복지에 관한 경험이 풍부한 자들로 구성되므로 지역내 소년.소녀가장세대, 결손가정아동, 시설아동 등 불우아동의 결연, 후원자 개발 및 지역아동들의 복지조치에 적극적으로 참여시켜야 할 것이다.미아발생 예방을 적극 추진하고 미아발생시 이들을 신속히 가정에 복귀시켜 부모의 고통을 덜어주고 아동의 건전한 육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어린이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8.03.21
  • 저작시기200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20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