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간의 본성과 교육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
2. 자기애와 교육의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3. 코메니우스의 교육에 대한 생각은 무엇인가?
2. 자기애와 교육의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3. 코메니우스의 교육에 대한 생각은 무엇인가?
본문내용
보면 이러하다.
M(master, 선생): 아이야, 이리 오너라. 우리 지혜를 배우자.
여기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코메니우스의 교육 목적이 지식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지혜를 배우는 것임을 알 수 있다.
P(학생):(건방진 표정) 지혜가 무엇입니까?
여기서 학생은 ‘왜(why)’라는 질문이 아니라 무엇인지 즉, 내용적인 측면을 물었다. 코메니우스는 학생에게 이렇게 질문 할 수 있는 자유과 권리를 주어야 한다고 생각한 것 같다.
M:(당황했지만 겸허하게) 지혜란 모든 것이다. 즉, 무엇이 필요한가에 대해 아는 모든 것과 그것을 올바로 이해하는 모든 것과, 그것을 올바로 행할 수 있는 모든 것과, 그것을 올바로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선생은 학생의 질문에 당황하더라도 겸허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지혜를 배우는 것은 단순히 암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표현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코메니우스는 모든 배움은 위에서 말한 단계를 거치면 지혜를 배울 수 있다고 하였는데, 여기서 지혜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지혜의 개념과 다르다. 그 옛날에 이러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던 코메니우스는 수세기를 앞서있는 사람이며, 그의 생각은 오늘날에도 중요하다. 예를 들면 우리가 무엇인가 알기 위해서 인터넷으로 검색을 할 때 우리는 검색어가 필요하다. 이 검색어를 알기 위해서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P:(아이가 다소 겸손해 졌지만 도전적으로) 그럼 누가 나에게 지혜를 가르칠 것인가요?
이 말은 교사론과 관련이 되는 말로 아주 도전적이며 심지어 건방지기까지 하다. 여기서 코메니우스가 ‘나다’라고 대답을 할까하는 생각을 해보았지만, 이것은 하나의 용기지만 또한 만용이다.
M:신과 함께한 나다.
여기서 교사는 학생을 막무가내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원리와 기준이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코메니우스에 의하면 이상적인 교사의 태도는 겸손하면서 어떤 원리와 기준을 가지고 자신감 있는 태도를 갖는 것인 것 같다.
P:(겁을 먹은 얼굴로) 그러면 어떻게 나를 형성할 것입니까?
여기서 아이는 최초에는 겁이 없었지만 교육의 단계에 들어가면 겁을 먹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시대 상황을 비판한 것으로 그 시대에는 전형적으로 교육을 강제로 가르쳤었다는걸 알 수 있다. 여기서 아이가 말한 ‘어떻게’는 교육의 방법을 묻는 것이다. 코메니우스는 아무리 교사가 하더라고 방법이 그릇된다면 그 교육은 아무 효과가 없다고 생각한 것 같다.
M: 나는 너를 이끌 것이다.
여기서 이끈다는 것은 강제로 외우게 하는 것이 아니라 그림을 보여주고 어떤 사물을 지시하고 명명하여 가르치겠다는 뜻이다. 이렇게 하면 세상의 이치를 자연스럽게 취득하게 되고 사고력과 창의력이 높아진다. 코메니우스의 이러한 생각으로 인하여 교수 학습의 방법이 엄청나게 발전하게 되었다. 여기서 명명이라는 것은 신이 인간에게 부여한 최고의 권위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언어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M(master, 선생): 아이야, 이리 오너라. 우리 지혜를 배우자.
여기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코메니우스의 교육 목적이 지식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지혜를 배우는 것임을 알 수 있다.
P(학생):(건방진 표정) 지혜가 무엇입니까?
여기서 학생은 ‘왜(why)’라는 질문이 아니라 무엇인지 즉, 내용적인 측면을 물었다. 코메니우스는 학생에게 이렇게 질문 할 수 있는 자유과 권리를 주어야 한다고 생각한 것 같다.
M:(당황했지만 겸허하게) 지혜란 모든 것이다. 즉, 무엇이 필요한가에 대해 아는 모든 것과 그것을 올바로 이해하는 모든 것과, 그것을 올바로 행할 수 있는 모든 것과, 그것을 올바로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선생은 학생의 질문에 당황하더라도 겸허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지혜를 배우는 것은 단순히 암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표현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코메니우스는 모든 배움은 위에서 말한 단계를 거치면 지혜를 배울 수 있다고 하였는데, 여기서 지혜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지혜의 개념과 다르다. 그 옛날에 이러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던 코메니우스는 수세기를 앞서있는 사람이며, 그의 생각은 오늘날에도 중요하다. 예를 들면 우리가 무엇인가 알기 위해서 인터넷으로 검색을 할 때 우리는 검색어가 필요하다. 이 검색어를 알기 위해서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P:(아이가 다소 겸손해 졌지만 도전적으로) 그럼 누가 나에게 지혜를 가르칠 것인가요?
이 말은 교사론과 관련이 되는 말로 아주 도전적이며 심지어 건방지기까지 하다. 여기서 코메니우스가 ‘나다’라고 대답을 할까하는 생각을 해보았지만, 이것은 하나의 용기지만 또한 만용이다.
M:신과 함께한 나다.
여기서 교사는 학생을 막무가내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원리와 기준이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코메니우스에 의하면 이상적인 교사의 태도는 겸손하면서 어떤 원리와 기준을 가지고 자신감 있는 태도를 갖는 것인 것 같다.
P:(겁을 먹은 얼굴로) 그러면 어떻게 나를 형성할 것입니까?
여기서 아이는 최초에는 겁이 없었지만 교육의 단계에 들어가면 겁을 먹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시대 상황을 비판한 것으로 그 시대에는 전형적으로 교육을 강제로 가르쳤었다는걸 알 수 있다. 여기서 아이가 말한 ‘어떻게’는 교육의 방법을 묻는 것이다. 코메니우스는 아무리 교사가 하더라고 방법이 그릇된다면 그 교육은 아무 효과가 없다고 생각한 것 같다.
M: 나는 너를 이끌 것이다.
여기서 이끈다는 것은 강제로 외우게 하는 것이 아니라 그림을 보여주고 어떤 사물을 지시하고 명명하여 가르치겠다는 뜻이다. 이렇게 하면 세상의 이치를 자연스럽게 취득하게 되고 사고력과 창의력이 높아진다. 코메니우스의 이러한 생각으로 인하여 교수 학습의 방법이 엄청나게 발전하게 되었다. 여기서 명명이라는 것은 신이 인간에게 부여한 최고의 권위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언어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추천자료
[서양, 건축, 디자이너, 패션, 미술, 미케네문명, 사상(철학), 교육, 인간관]서양의 건축, 서...
인간과 교육 - 평생교육의 필요성 및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이 갖는 교육적 시사점
인간과교육 -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와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이론이 주는 교육...
[인간과 교육]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인간과교육] 1.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 2.피아...
[인간과 교육] 1.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15점) &am...
[인간과 교육]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인간과 교육] 1.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2. 피아제...
로저스(Carl Rogers)의 인본주의 교육에 관하여 (로저스의 인간 이해, ‘충분히 기능하는 인간...
[인간과 교육]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대해 설명,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
[인간과교육공통] 1)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의 비교설명, 시사점 2) 에릭슨의 성격발...
방통대 3학년 2학기 인간과 교육 에릭슨 성격발달단계이론,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
인간과교육3공통) 후기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