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설의 부분을 발췌하여 표준발음대로 적기
2. 음운변동이 나타난 예 분석 & 관련 표준 발음법
2. 음운변동이 나타난 예 분석 & 관련 표준 발음법
본문내용
선학동선학동 →[선학똥] : 된소리되기. 즉, 평장애음이 장애음 뒤에서 된소리로 바뀌는 현상이다. 여기서는 평장애음/ㄷ/이 음절말 불파 장애음/ㄱ/뒤에서 된소리의 자질인 긴장성을 획득하여 된소리/ㄸ/으로 바뀐다.
관련 표준 발음법 - 제23항 :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ㅍ,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나그네
선학똥 나그네
이 청 준
이 청 준
남도 땅 장흥에서도 버스는 다시 비좁은비좁은 →[비조븐] : 연음(連音). 앞 음절의 끝소리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뒤 음절의 첫소리로 이어진다. 여기서는 받침/ㅂ/이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가 오면서 그곳의 첫소리로 옮겨 갔다. 이렇게 연음이 되는 것은 형식형태소라서 자립성이 약하기 때문이다.
관련 표준 발음법 - 제13항 :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해안 도로를 한 시간 남짓 남짓 →[남짇] : 평파열음화(平破裂音化). 음절말의 장애음은 모두 제 조음 위치의 평파열음으로 바뀐다. 여기서는 치조 마찰음/ㅅ/이 제 위치에서 공깃길을 닫게 되어 /ㄷ/의 불파음과 같게 되었다.
관련 표준 발음법 - 제8항 : 받침소리로는 ‘ㄱ,ㄴ,ㄷ,ㄹ,ㅁ,ㅂ,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내리달린 끝에 끝에 →[끄테] : 연음(連音). 앞 음절의 끝소리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뒤 음절의 첫소리로 이어진다. 여기서는 받침/ㅌ/이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가 오면서 그곳의 첫소리로 옮겨 갔다. 이렇게 연음이 되는 것은 형식형태소라서 자립성이 약하기 때문이다.
관련 표준 발음법 - 제13항 :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
남도 땅 장흥에서도 버스는 다시 비조븐 해안 도로를 한 시간 남짇 내리달린 끄테,
늦가을 늦가을 →[
관련 표준 발음법 - 제23항 :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ㅍ,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나그네
선학똥 나그네
이 청 준
이 청 준
남도 땅 장흥에서도 버스는 다시 비좁은비좁은 →[비조븐] : 연음(連音). 앞 음절의 끝소리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뒤 음절의 첫소리로 이어진다. 여기서는 받침/ㅂ/이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가 오면서 그곳의 첫소리로 옮겨 갔다. 이렇게 연음이 되는 것은 형식형태소라서 자립성이 약하기 때문이다.
관련 표준 발음법 - 제13항 :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해안 도로를 한 시간 남짓 남짓 →[남짇] : 평파열음화(平破裂音化). 음절말의 장애음은 모두 제 조음 위치의 평파열음으로 바뀐다. 여기서는 치조 마찰음/ㅅ/이 제 위치에서 공깃길을 닫게 되어 /ㄷ/의 불파음과 같게 되었다.
관련 표준 발음법 - 제8항 : 받침소리로는 ‘ㄱ,ㄴ,ㄷ,ㄹ,ㅁ,ㅂ,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내리달린 끝에 끝에 →[끄테] : 연음(連音). 앞 음절의 끝소리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뒤 음절의 첫소리로 이어진다. 여기서는 받침/ㅌ/이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가 오면서 그곳의 첫소리로 옮겨 갔다. 이렇게 연음이 되는 것은 형식형태소라서 자립성이 약하기 때문이다.
관련 표준 발음법 - 제13항 :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
남도 땅 장흥에서도 버스는 다시 비조븐 해안 도로를 한 시간 남짇 내리달린 끄테,
늦가을 늦가을 →[
추천자료
인터넷언어의 사용실태와 국어교육적 활용방안
7차교육 과정에 따른 문법 요약정리
체팅언어의 분석
[학습지도안/수업지도안]국어의 특질
[과외]중학 국어 3-1학기 기말 4-6단원 생활국어 예상문제(교사용)
[과외]중학 국어 3-1학기 기말 4-6단원 생활국어 기출문제
[과외]중학 국어 3-1학기 기말 4-6단원 생활국어 예상문제
통신언어의 문제점과 해결책
의미의 향상과 비하
[맞춤법과표준어]현행 한글 맞춤법의 원리 분석
[언어지식]언어지식학습(언어지식수업)의 기본방향, 언어지식학습(언어지식수업)의 필요성, ...
자음동화의 제약과 방향 연구
자음동화의 제약과 방향
[음파, 음파와 음파형, 음파와 음파전달, 음파와 음성학, 정상파, 공명, 소음, 오실로스코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