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음운론적 분석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말의 음운론적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소설의 부분을 발췌하여 표준발음대로 적기

2. 음운변동이 나타난 예 분석 & 관련 표준 발음법

본문내용

선학동선학동 →[선학똥] : 된소리되기. 즉, 평장애음이 장애음 뒤에서 된소리로 바뀌는 현상이다. 여기서는 평장애음/ㄷ/이 음절말 불파 장애음/ㄱ/뒤에서 된소리의 자질인 긴장성을 획득하여 된소리/ㄸ/으로 바뀐다.
관련 표준 발음법 - 제23항 :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ㅍ,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나그네
선학똥 나그네
이 청 준
이 청 준
남도 땅 장흥에서도 버스는 다시 비좁은비좁은 →[비조븐] : 연음(連音). 앞 음절의 끝소리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뒤 음절의 첫소리로 이어진다. 여기서는 받침/ㅂ/이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가 오면서 그곳의 첫소리로 옮겨 갔다. 이렇게 연음이 되는 것은 형식형태소라서 자립성이 약하기 때문이다.
관련 표준 발음법 - 제13항 :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해안 도로를 한 시간 남짓 남짓 →[남짇] : 평파열음화(平破裂音化). 음절말의 장애음은 모두 제 조음 위치의 평파열음으로 바뀐다. 여기서는 치조 마찰음/ㅅ/이 제 위치에서 공깃길을 닫게 되어 /ㄷ/의 불파음과 같게 되었다.
관련 표준 발음법 - 제8항 : 받침소리로는 ‘ㄱ,ㄴ,ㄷ,ㄹ,ㅁ,ㅂ,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내리달린 끝에 끝에 →[끄테] : 연음(連音). 앞 음절의 끝소리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뒤 음절의 첫소리로 이어진다. 여기서는 받침/ㅌ/이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가 오면서 그곳의 첫소리로 옮겨 갔다. 이렇게 연음이 되는 것은 형식형태소라서 자립성이 약하기 때문이다.
관련 표준 발음법 - 제13항 :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
남도 땅 장흥에서도 버스는 다시 비조븐 해안 도로를 한 시간 남짇 내리달린 끄테,
늦가을 늦가을 →[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7.06.15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51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