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거의 역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주거의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선사시대
1)주거의 시작
(1)한반도의 구석기 주거유적.
(2)중석기
(3)신석기
(4)청동기

2. 고대 국가 시대
1) 지상 주거로의 발전과 온돌 난방법의 시작
(1)지상주거의 출현
(2)온돌의 발생
2)목조 가구법의 발달과 건축재료의 생산
(1) 권위건축의 건설; 지배자의 권위 표현.
(2) 목조가구법의 발달
3)주거 계층의 분화

3. 고려 시대의 주거
1) 고려의 개국과 사회적 배경.
2) 주거 문화의 지역적 교류
3)풍수의 전래와 적용
(1) 풍수의 전래와 적용.
(2) 고려시대의 풍수.
(3) 풍수의 적용.

4. 조선시대
(조선전기)
1)계층에 따른 주거형태
(1) 사대부 주거의 성격
(2) 중인주거의 성격.
(3) 서민주거의 성격.
(4) 천민주거의 성격.
2)성리학적생활문화의 파급
(1)유교적 생활문화의 성격.
(2) 가묘건립의 확산.
(3)남녀의 영역구분.
(4)가족제도의 변화에 따른 거주공간의 분리.

(조선중기)
1)씨족마을의 번성
(1) 씨족마을의 사회구성.
(2) 씨족마을의 공간구성
(3) 공동영역과 시설.
2)양택론의 정립
(1) 집터의 조건
(2) 주택의 배치.
(3) 주택의 평면과 공간
3)사대부주거의 개별적 확대
(1) 사랑채의 확대.
(2) 권위적 장식성의 추구.
(3) 별당의 발달.

(조선후기)
1)조선후기의 사회변동.
2)부농주거와 서민주거의 발달
(1) 부농주거의 출현.
(2)부농주거의 건축적 성격.
(3) 거대한 장원의 형성.
3)서민주거의 발달과 지역적 특성

5.근대주택의 특징

본문내용

의 내력성, 환경성능의 개선
⇒신석기에는 땅을 파서 움집을 건설하였으며 기후와 외력에 대응하는 능력이 진보되었다.
(4)청동기
·반움집, 움집에서 지상주거로의 중간단계
·집 터의 틀은 산의 낮은 곳에 위치
·집안 내부 구조가 복잡해짐
-수직 벽체가 있는 반 움집 →벽과 지붕이 분리
-바닥의 차별화 →높이 차를 두어 공간 구획 효과
-간막이 벽의 사용 →주거 내부 공간의 분리
·중앙에 위치하던 화덕이 한쪽에 편재되거나 2개 이상의 화덕
·북쪽 지방의 움의 깊이는 기후의 영향으로 중·서부 보다 깊다
2. 고대 국가 시대
1) 지상 주거로의 발전과 온돌 난방법의 시작
(1)지상주거의 출현
·배경: 계층 분화와 고급화
철제 건축공구의 발달(목재 가공 능력발전)
·의의: 출입동선 간편화
침수 피해 절감
지하 습기의 배제
수직 벽체에 창호 설치 가능(환기,일조 등 환경 성능 개선)
▷지상 주거가 대두됨에 대두 됨에 따라 새로운 난방방식 요구 ⇒온돌의 발생
(2)온돌의 발생
배경 ; 지상주거로 발전함에 따라 난방의 필요성 대두.
-신석기 시대 ; 움집의 지열과 화덕.
-청동기 시대 ; 화덕과 긴 부뚜막.
-철기 시대 ; 고래의 축조, 외줄고래.
-고대이후 ; 고래수의 증가, 전면온돌 설치, 아궁이와 온돌방의 분리.
·온돌 발달의 의미
-난방연료의 절감; 돌의 축열성능 이용, 적은 연료로 장시간 난방
-가사노동의 절약; 가열시간대와 난방시간대의 분리
-기거양식의 변화; 취침공간의 차별화, 좌식생활
-취침공간의 청결성; 아궁이의 분리와 함께 무연공간 형성
2)목조 가구법의 발달과 건축재료의 생산
(1) 권위건축의 건설; 지배자의 권위 표현.
 :궁실 및 권위건축의 필요성
 -삼국사기 봉상왕조 : \"임금은 백성이 우러러보는 바인데 궁실이 장려하지않으면 위엄과 무게를 보일 것이 없다\"
-고대건축기술의 유입; 한사군지역으로부터 한문명의 소개와 유입 가능성
-대규모 건축물의 조성; 미륵사, 황룡사 등 종교건축
-황룡사 구층탑(645); 상륜부까지 225척에 달하는 거대한 목조건축
-건설기술의 전문화, 조직화; 남산신성비, 황룡사 찰주본기, 분업화된 기술자
(2) 목조가구법의 발달
- 장척, 문척, 대장, 소장 등 전문 기술자의 명칭 기록.
- 배경 ; 대규모 목조 건축물의 조성
목재를 깎아 결합하는 방법 ; 이음, 맞춤, 장부 등
- 공포의 도입 ; 기둥머리에서 첨차와 소로를 이용하여 보와 도리를 결합하는 방식
증거; 고분벽화, 안압지 출토 공포부재(주두, 첨차, 소로 등)
- 인자대공, 서까래, 부연, 평고대 등 지붕구조체의 발달
- 인자대공 ; 종보 위에서 종도리를 받치는 부재
- 서까래 ; 지붕경사면을 덮는 부재
- 부연 ; 지붕처마를 길게 내밀기 위해 설치하는 덧서까래
(3) 석재 가공법의 발달과 건축재료의 생산.
- 석재가공기술의 발달; 석구조물의 조성(석탑, 첨성대, 석굴암, 포석정 등)
- 목구조와 결합 ; 주초, 기단, 계단 등 건물의 하분에 사용
- 기와와 전의 생산; 권위건축에서의 장식성
- 장식성의 추구 ; 와당, 문전, 치미, 수두; 삼국의 독특한 예술성 표현
3)주거 계층의 분화
(1) 가사규제의 시작.
- 가사규제; 주택의 규모, 재료, 형태, 장식 등을 법으로 규제
- 가사규제의 배경; 사치의 규제, 신분질서의 유지, 삼국사기 색복조의 교서 \"사람은 상하(上下)가 있고 지위는 존비(尊卑)가 있어 명칭과 법식이 같지 않고 의복도 다르다. 그런데 풍속이 점점 각박하고 백성들이 앞 다투어 사치, 호화를 일삼고 다만 외래의 진귀한 것만을 숭상하고 국산품을 저속하다고 싫어하니, 예절이 무너지고 풍속이 파괴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옛 법에 따라 엄명을 내리는 것이니 그래도 만일 일부러 범하는 자가 있으면 국법으로 다스릴 것이다.\"
신라의 가사규제
- 제정; 흥덕왕 9년(834), 삼국사기 권 33 잡지 제 2 옥사조
- 대상; 골품제에 따른 신분별 규제
- 내용; 규모, 재료, 구조, 장식 등 세부적 규제  
 
라. 의의
- 당시 주택의 건축방식과 재료, 부재 등을 알 수 있음
- 당시 건축방식의 고급성을 알 수 있음
(2) 가사규제의 내용. 
- 규모의 제한; 건물폭의 제한
- 재료의 제한; 기와, 현어, 화강석, 금은, 백랍, 동랍, 산누릅나무 등
- 구조의 제한; 부연, 삼중계, 이중계, 루문, 사방문, 회랑 등
- 장식의 제한; 단청, 석회칠, 발과 병풍의 장식, 고급재료의 침상, 우물반자
(3)가사교제에 의한 신라의 주택건축
- 주택의 담장과 대문; 회랑, 담장, 소슬대문, 루문
- 주택내의 건물; 살림채와 부속건물(부엌, 창고, 마굿간 등)
- 주택의 규모; 3칸 정도
- 내부공간 ; 휘장이나 병풍으로 간막이, 문전바닥, 반자시설, 침상생활
- 주택형태; 석조기단과 계단, 초석, 중앙 출입문, 살창, 곡선기와지붕
- 주택의 구조; 목조가구, 공포, 부연, 단청, 장식기와
- 재료와장식; 금, 은, 동 등 금속재료 사용
부연, 현어, 치미 등 장식부재
침상 재료, 발과 병풍의 장식재료
3. 고려 시대의 주거
(1) 고려의 개국과 사회적 배경.
 - 고려개국; 호족들의 후삼국체제, 왕건의 통일 및 고려개국
- 문벌귀족사회; 호족연합정권, 호족의 지배세력화, 문벌귀족화
  귀족들의 고급주택 건설
- 도성의 이동; 경주에서 개성으로 문화중심권의 이동
평지문화권으로부터 산지문화권으로,
입지환경의 변화와 대응
- 국제정세의 변화; 북방민족의 발호와 침입,
중국과 자주적 외교관계, 칭제건원
자주적인 건축문화발전의 계기
(2)귀족주거의 발달.
 - 귀족의 장원경영; 대저택의 건설
  최승로(崔承老; 927-989)의 상소문.
 - 귀족들의 호화주택; 대규모, 금은 장식, 누각의 건설, 왕궁과 유사
 - 장식적 건축요소의 발전; 청자와, 화초무늬 담장
 
2) 주거 문화의 지역적 교류
-배경: 1.고려의 건국과 함께 수도의 개성 천도
2.북방 민족의 침략
*온돌의 계층적 확산과 지역적 전파.
- 발해 상경용천부; 궁전 침실, ㄱ자형 두줄고래
- 익산미륵사지; ㄱ자, ㄷ자형 쌍줄고래  
- 감은사 서회랑터; 4줄 고래
- 완도 법화사터; 4줄고래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6.17
  • 저작시기200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54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